■ 제 1 장 - 코트의 규격과 시설
제 1 조 - 코트와 규격
1. NABA 공식 코트의 규격과 표시는 원칙적으로 다음의 코트도면과 같다.
(정규코트의 절반 즉,사이드라인 14m ,엔드라인 15m으로 하되 다만, 코트의 규격에 있어 경기장 사정상 규정과 차이가 있는 경우 NABA 경기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자유투 레인 양쪽의 공간 표시와 중립지역 표시를 제외 한 모든 자유투 레인 경계선은 레인의 일부분으로 본다.
■ 제 2 장 - 심판과 임무
제 2 조 - 심 판
경기를 관장하는 심판은 1명으로 구성되며, 경기감독관 외에 1명의 기록원과 1명의 계시원을 두며, 20초게시원으로 1명 포함하여 총 3명을 둘수도 있다. 심판은 NABA가 지정한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제 3 조 - 기타사항에 대한 심판의 결정
성공한 야투가 득점으로 인정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주심의 주요 임무이다. 심판은 본인이 판단할 수 없는 경우 계시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심판이 보지 못한 경우에는 계시원에게 문의한 후 심판이 최종결정을 내린다.
제 4 조 - 기록원의 의무
1. 기록원은 한 선수에게 4개째 개인파울이 선언되는 즉시 심판에게 이를 알려야 하며, 각 팀의 작전타임 수를 기록해야 하고, 한 팀에서 1번째 작전타임 요청 시 심판을 통해 해당 팀 감독에게 알려야 한다.
2. 선수가 퇴장 당할 때마다 기록원이나 계시원은 부저나 경적 등의 명확히 들릴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심판에게 알려야 하며, 기록원은 심판이 4개째 개인파울과 팀 파울 페널티 슛을 알리는 부저소리를 들었는지 확인 해야 한다.
3. 기록원은 전광판 또는 표시판에 팀 파울 수를 총 5개까지 기록하여 해당 팀이 페널티 상태에 이르렀음을 표시해야 한다.( 6개째 자유투 수도)
제 5 조 - 계시원의 의무
계시원은 경기종료 후 득점이 되는 경우 경기시간 계시기를 멈춰 실제 경기시간만을 표시해야 한다.
■ 제 3 장 - 교체선수, 감독
제 6 조 - 팀
1. 경기 개시되는 각 팀은 3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어떠한 경우라도 출전선 수의 수가 3명 아래로 내려갈 수 없다.
2. 볼이 인플레이 중에 선수가 코트에서 나와야 할 정도의 부상을 당하는 경우 심판은 그 팀이 새로이 소유권을 얻는 즉시 경기를 중단시켜 부상선수를 교체할 수 있고,그 부상선수는 잔여 경기시간에 재교체하여 출전할 수 없다
제 7 조 - 선발선수 명단
경기시작 예정시간 10분전까지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 5명의 이름, 배번이 기록되고, 스타팅 라인업 3명이 표시된 선수명단이 기록원에게 제출되어야 한다. 한번 제출된 선수명단은 정정이 불가하다. 위 조항을 위반하는 경우 해당 팀 감독에게 테크니컬 파울이 선언된다.
제 8 조 - 교체선수
공수전환이나 데드볼일 경우 본부석에 사전 통보하고 계시원이 심판에게 알려 선수를 교체한다. 단,속공상황은 교체가 불가하다
■ 제 4 장 - 정 의
제 9 조 - 경기개시
각 팀 주장이 등뒤로 하여 가위, 바위, 보로 공수를 정한다
제 10 조 - 공격준비선 (경기개시지점)
공수전환으로 일어나는 경우에 엔드라인 12.2m 및 정규코트 하프라인 1.8m으로만 긋는 지점부터 한다 ( 1.8M 공격 준비선에서만 좌우로 몇걸음을 움직여 패스하는 것도 무방하나 1.8M를 벗어나 드리블을 하면 바이올레이션이다.)
제 11 조 - 공격선 (3점라인)
점프볼 및 수비리바운드일 경우 공격선 (3점라인)을 정당한 것(패스)을 거쳐 공격해야하며, 수비 리바운드하여 당해선수는 반드시 두발이 공격선을 벗어나야 한다
제 12 조 - 공수전환규정 (어웨이규정)
1. 상대팀이 득점한 경우, 자유투 집행 후 등은 공수전환으로 공격준비선에서 공격한다.
2. 공격팀의 볼이 백보드나 링에 맞지않거나, 스틸 볼(인터셉트한 볼)의 공수전환은 바로 그 지점에서 공격이 가능하다.
3. 공격리바운드는 바로 공격가능하고 수비리바운드는 공격선 밖에서 공격한다.
4. 자유투 집행시 마지막 구가 성공 관련없이 공수전환한다.(단,테크니컬 파울은 제외한다.)
5. 공격제한시간(20초)의 규정을 위반할 경우 공격 준비선으로 한다.
6. 데드볼에 인한 공수전환규정은 공격 준비선에서 시작한다.
제 13 조 - 자유투
자유투는 선수에게 자유투 선 뒤에서 방해 없이 1,2,3득점 짜리 슛을 시도 하는 특권이 주어지는 것을 말한다. 자유투는 10초 이내에 시도되어야 한다. 자유투 라이인업은 없다
제 14 조 - 점프볼
헬드 볼은 두 명의 상대선수가 볼을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동시에 꽉 쥐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는 최초 공격개시 반대팀이 소유하며, 매 점프볼인 경우 서로 바꾼다.
제 15 조 - 몰수경기
경기 중에 일어난 폭력, 고의적 경기포기, 팀 전원이 5분 후 도착시에는 몰수경기로 하며,20:0으로 처리하고 리그 순위에 0점으로 처리한다 (리그 순위시 패 1점 , 승 2점)
제 16 조 - 자격상실패
경기 중 선수부족으로 일어난 상황(경기개시 2명 출전, 1명이하 선수로 경기를 진행 할 경우)에는 자격상실패로 하며 당팀이 진경우에 당시 점수화하여 종료하고, 이겼을 경우는 2:0으로 상대팀이 이긴 것으로 간주하여 정식기록에 남기고 리그순위는 패점 1으로 한다.
■ 제 5 장 - 득점과 경기시간
제 17 조 - 득점
일반대회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2점슛, 3점슛 ,자유투1구 1점으로 정한다. 여성 및 40대 이상 선수의 득점은 +1점을 적용한다.
제 18 조 - 계시규정
1. NABA 정규경기의 단판 경기시간은 10분이다.(로컬룰인 경우 시간조정가능)
2. 연장시간은 3분이고 1회이다.
3. 재연장전은 없고 각팀 3명이 자유투로 정하고 그 결과가 동점일 경우 주장 또는 주장이 지명한 선수가 1인 1구로 정한다. (이때는 퇴장선수는 집행할 수 없다.)
4. 정규작전타임에는 각팀 1회 30초가 허용된다.
5. 퇴장 당한 선수를 교체하는 데에는 30초가 허용된다.
6. 경기 종료전 및 연장전 경기시간 계시기상에 2분 또는 그 이하가 남아있을 때에는 경기종료 2분전, 1분전, 1분전이하 10초단위, 10초이하는 카운트로, 계시원이 이를 장내에 통보해야 한다.
제 19 조 - 동점 - 연장전
경기 종료시 스코어가 동점인 경우 3분 이내에 경기는 가위, 바위, 보로 볼의 소유권을 정하고 연장전으로 재개된다.
제 20 조 - 계시기의 정지
1. 심판의 휘슬이 있을 때마다 계시기는 정지된다.
가. 개인파울 또는 테크니컬 파울
나. 점프볼
다. 바이얼레이션
라.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한 경기의 지연
마. 다른 위급한 상황으로 인한 플레이의 취소 (선수교체 허용 안됨)
바. 정규 작전타임
2. 야투가 성공한 직후에는 계시기가 정지되고 공격준비선에서 라이브볼일 경우 계시는 작동한다.
제 21 조 - 정규 작전타임 - 30초 (각팀 1회 및 연장전 1회)
감독 또는 코치의 작전타임 요청은 데드볼이나 상대팀이 득점한 경우에만 허용되며, 이외의 요청은 무시된다.
제 22 조 - 경기시간의 측정
1. 경기시간 계시기가 정지된 이후 경기가 속개되어 코트내의 한 선수가 볼 을 합법적으로 터치하면 계시기의 작동이 시작된다.
2. 자유투가 집행에 따른 공수전환으로 공격준비선에서 한 선수가 볼을 터치하면 경기시간 계시기의 작동이 시작된다.
3. 아웃 오브 바운드에서 드로우 인으로 경기가 속개되는 경우 코트내의 한 선수가 합법적으로 볼을 터치하는 순간 경기시간 계시기의 작동이 시작된다.
4. 경기가 점프볼로 속개될 때에는 볼이 합법적으로 탭 되는 순간 경기시간 계시기가 작동을 시작한다.
■ 제 6 장 - 경기의 개시 - 라이브 볼 / 데드 볼
제 23 조 - 라이브 볼
1. 점프볼에서 심판이 볼을 토스하였을 때
2. 드로우 인을 하는 공격선수에게 볼이 주어졌을 때
3. 공격준비선에 (심판이 수도하지 않는다) 한 선수에게 볼이 주어질때
제 24 조 - 데드 볼
1. 심판이 휘슬를 부는경우
2. 자유투 집행후
3. 야투 또는 자유투가 성공되고 경기를 속개하기 위해서 공격준비선에서 선수가 라인 밖에서 볼을 잡을 때까지의 사이.
■ 제 7 장 - 20초 계시기(공격제한시간)
제 25 조 - 정의
경기장의 20초 장치는 "20초 계시기"라고 부른다.
제 26 조 - 20초 계시기의 작동과 정지
1. 20초 계시기는 플레이중인 볼을 한 팀이 새롭게 소유하게 되었을 때 작동이 시작된다.(수비팀이 합법적으로 리바운드를 한 경우부터 공격시간이 적용된다.)
2. 드로우인 상황에서 20초 계시기는 볼이 코트내의 선수에 합법적으로 터치 될 때 작동이 시작된다.
3. 팀은 볼의 소유권을 갖은 후 20초 이내에 야투시도를 해야 한다. 합법적 인 야투시도는 볼이 20초가 경과하기 전에 상대팀의 링에 맞아야 한다.
4. 팀의 볼 콘트롤은 다음의 경우 끝난다 :
가. 합법적인 야투의 시도(상대팀의 링 맞음)
나. 상대팀이 소유권을 얻게 될 때
5. 계시기가 없을 때 계시원은 공격 5초 이하를 방송 없이 손으로 카운트 하며 0과 동시에 휘슬을 불고 20초 계시기가 0을 나타내면 경적소리가 울리지 않았어도 20초 바이얼레이션이나 심판의 판단으로 결정한다.
■ 제 8 장 - 바이얼레이션과 벌칙
제 28 조 - 아웃 오브 바운드
1. 공수전환이 되는 바이올레이션이 발생한 경우 공격준비선에서 시작된다.
2. 공수전환이 되지 않을 경우 (수비팀의 반칙 및 파울은 계속공격진행)는 발생지점에서 가장 프리드로우 연장사이드에서 볼이 주어진다
제 29 조 - 3초 제한 룰
선수는 자기 팀이 볼을 콘트롤하고 있는 동안에는 자유투 지역의 페인트가 칠해진 공간에 3초 이상 머무를 수 없다.
■ 제 9 장 - 파울 및 벌칙
제 30 조 - 언스포츠맨라이크 파울 (비신사적행위 파울)
볼을 가지고 있던 가지고 있지 않던 선수에게 신체접촉이 발생하고 그것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언스포츠라이크파울이 주어진다. 개인 파울이 위반한 선수에게 주어지고 팀 파울이 팀에 주어진다.
벌 칙 : 두 개의 자유투가 주어지고 소유권을 얻어 볼이 공격준비선에서 공격한다.
제 31 조 - 팀 파울 벌칙
각 팀은 추가벌칙 없이 5개의 팀 파울로 제한되어 6개째 상대팀에게 2개의 자유투가 주어진다.
제 32 조 - 개인파울
한 선수가 파울이 4개째 퇴장한다.
제 33 조 - 더블 파울
1. 더블파울이나 싸움과 관련한 파울이 발생하면 휘슬이 울렸을 때 볼을 소유하고 있던 팀이 볼의 소유권을 다시 갖는다.(소유권이 없을시 이전 점프볼로 소유한 반대팀이 공격)
2. 야투가 성공하면서 발생하는 더블파울이나 싸움과 관련한 파울에 대해서는 다른 득점 상황과 마찬가지로 득점을 당한 팀이 공격준비선에서 경기를 속개한다.
제 34 조 - 공격자 및 수비자 파울
1. 공격자 파울일 경우 볼은 공격준비선에서 상대팀에게 주어진다.(공수전환규정)
2. 수비자파울일 경우 볼은 발생지점에서 가까운 코트의 경계선에서 주어진다.
* 프리드로우 라인 이하시 파울은 프리드로우 슛라인 연장사이드에서 공격한다
■ 제 10 장 - 기 타
제 35 조 - 기재되지 않은 룰
기재되어있지 않은 룰은 NABA의 심판경기위원회에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