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정당일원
우리의 문화재/창덕궁 2011-04-18 16:53:22
------------------------------------------------------------------------------
침전에서 편전으로 바뀌어 사용된 곳
희정당은 1985년1월8일 보물 제815호로 지정
희정당의(熙政)이란 "화평하고 모든 일이 잘 다스려지는 즐거운 정치"를 말합니다.
인정전이 창덕궁의 최고의 편전이지만 희정당은 왕이 가장 많이 머물고 정사도 하던 곳으로 원래 건물의 이름은 숭문당이었으나 1496년(연산군 2년)에 지금의 희정당으로 바뀌었는데 승지들의 반대가 엄청났다하는데 이는 성종임금이 26년간 거처했고 세종임금과 창덕궁을 지은 태종임금도 숭문당에서 기거했던 탓에 반대가 있었으나 연산군은 창덕궁에는 정사를 돌보는 정(政)자가 들어가는 인정전과 선정전이 있다는 명목으로 희정당이라 이름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희정당의 매화문양 과 돌출 전각
희정당은 편전인 선정전은 비좁고 종종 국장을 치르는 혼전으로 쓰이면서 침전이었던 희정당은 편전으로 기능을 대신하고는 했습니다.
이러한 희정당은 1917년 원인모를 화재(일본인들의 방화로 추정)로 불타 없어지자 경복궁의 강녕전을 헐어다 지으므로 창덕궁과 경복궁 양쪽의 건물이 모두 훼손이 되었습니다.
희정당을 새로 지을 당시 임금이 외국에서 차를 수입하여 이용하였으므로 차량을 이용할 때 비를 가리기 위해 돌축전각을 덧대어 지었으며 돌축전각3면에 있는 매화문양은 이씨왕조의 표상인 오얏리(李)의 매화꽃을 개겨넣은 것이다.
강녕전이었던 건물을 증명하는 뜻에서 지금의 희정당 합각의 동쪽에는 강(康), 서쪽에는 녕(寧)을 통풍구로 새겨 달아 전신이 강녕전이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희정당의 동쪽 합각벽 환풍구(강녕전의 康)
희정당의 서쪽 합각벽 환풍구(강녕전의 寧)
희정당은 창건당시(숭문당)부터 있었던 건물로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광해군 때 다시 지었고 인조반정 때 다시 소실된 것을 다시 복원했다가 순조임금 때 다시 소실되어 광해군이 인왕산 자락에 짓다가 중단된 인경궁을 헐어 이곳으로 옮겨 지었는데 1917년 화재 때 다시 소실되어 경복궁의 강녕전을 이곳으로 옮긴 것입니다.
응접실 동쪽 벽에 그린 "총석정절경도"
응접실 서쪽 벽에 그린 "금강산만물초승경도"
응접실 우측 벽에는 "긍강산 만물 초승경도" 좌측 벽에는"총석정 절경도" 2개의 등록문화재인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이 그림은 20세기초 금강산을 가장 많이 그린 서예가이자 대나무 그림의 화가로 유명한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 의 대작으로 이 그림을 그리기 위해 금강산을 3번을 다녀왔다는 설도 있으며 보물2호인 서울 종로의 보신각 종각의 편액인 「普信閣」과 덕수궁 희정당의 「해금강총석정」(海金剛叢石亭)도 해강 선생의 작품이라고 합니다.
해강의 그림도 희정당 내부에서 한 몫을 차지하고 있지만 또 다른 볼거리는 내부에 진열된 가구입니다.
구한말 명성황후가 쓰던 가구들로 대부분 유럽. 이태리 또는 프랑스에서 들여온 것이라고 합니다.
응접실 벽면의 용 조각상
희정당은 원래의 이름이 숭문당이었으며 연산군2년 12월8일 숭문당(崇文堂)을 고쳐 희정당(熙政堂)이라 명하였는데 이때 승지들이 아뢰기를 『이 당(堂)은 성종께서 26년간 거처하던 곳 입니다. 이미 인정전과 선정전이 있는데 또 숭문으로 이름한 것은 여기서 정사를 들을 뿐 아니라 글을 닦는 의미도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지금 희정당이라 이름하는 것이 아름답기는 합니다만은, 선왕께서 거처하던 당의 이름을 지금에 와서 고치는 것이 온당치 않은 듯합니다. 』하니 연산은 “이미 희정당이라 편액하였다, 그러나 숭문당이라고 세글자를 써서 드리게 하라“고 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연산이 자기 마음대로 전각의 이름을 바꾸니 정승이 반발하자 희정당과 숭문당 2개의 편액을 걸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
희정당 내부에는 1920년에 설치한 전등도 옛날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희정당 내부의 전등
아름다운 장식 문양굴뚝
장수의 상징 쌍 사슴
상제가 타고 하늘을 달린다는 천마
코끼리
우리나라에는 없는 코끼리가 이색적인데 코끼리는 한자로 상(象)이어서 같은 음을 딴 상(祥)으로 길상을 의 합니다
장수의 상징 쌍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