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하의 공연을 “gala show”라고 하던데요
과연 그 뜻이 뭔가 궁금했어요
어원은 아래와 같다고 하는데요
[어원] gala(이탈리아 전통 축제 복장) → 축하하기 위한 행사 |
모르면 기대는 곳이 있지요
세계의 언어라는 할배들인데요
아무리 변해도 그 원형은 유지하는 특성이 있으니까요
어렵게 생각했고 감이 전혀오지 않았었는데요
원래의 형태는 아주 단순했듯이
“(축제에) 갈래”나 “(축제에) 가라”로 보였습니다
아마도 “갈래”와 “가라”가 하나로 표현되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힌트는 덴마크어 galla인데요. “(축제에) 갈래”로 보였습니다
크로아티아어는 proslave인데요
“바로 쓸어삐”로 보였습니다.
“(축제에 가서) 바로 쓸어버려”가 원형이 되겠지요
너무 진도가 나갔나요? 뭐 제 마음 아닙니까?
헝가리어에는 galata라고 하네요
“(축제에) 가라(고) 했다”나 “(축제에) 갈려하다”로 보였습니다
아이슬란드어는 hatið라고 하네요
“(축제를) 했댔어”로 보였습니다
그러니 분위기가 뭔지 알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과감히 질렀습니다
“(축제에) 갈래”나 “(축제에) 가라”로 정해 버렸습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어거지일 수도 있습니다
거의 원시시대에 뭘 가지고 “축제”를 했을까요?
별 것도 아닌 것일지도 모릅니다. 풉~
그리고 gala 인데 발음은 “갈라”로 할까요?
원형이 galla 일 것이라고 추측을 해 봅니다
2489. gala (갈라, 축제, 축제의, 특별한 행사의, 유쾌한, 화려한):
1. (축제에) 갈래?가 어원
2. (축제에) 가라
* 터키남아프리카, 카탈루냐, 스페인,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체코, 포르투갈,
노르웨이, 폴란드, 말레이시아, 라틴어: gala ((축제에) 가라, 갈래)
* 크로아티아: proslave ((축제에 가서) 바로 쓸어삐)
* 덴마크: galla ((축제에) 갈래, 가라)
* 핀란드: gaala ((축제에) 가라)
* 헝가리: galata ((축제에) 가라(고) 하다)
* 아이슬란드: hatið ((축제를) 했댔어)
* 일본: ガラ
* 스웨덴: galan ((축제에) 가라 하는)
* 베트남: thuyet gaia (축제에 가야) (* ㅇ ⇌ ㅈ 호환 관계 적용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