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정말 오래전부터 풀지 못했던
“적이나, 정반대의, 맞은 편”의 의미를 가진 opposite입니다
발음 때문에 저는 “엎어짔다”로 하니
앞뒤가 맞지를 않았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아퍼시트”라고도 읽는답니다
그러니 “(적이) 앞에 있었다”가 되네요
정말 기분이 좋았습니다
오랫동안 창고에 쳐박아 놨었거든요
유명인터넷에 나오는 opposite의 어원입니다
[어원] 라틴어 oppositus (면전에 있는, 반대의) |
제가 보기엔 “(적은) 앞에 있었댔어”로 느껴집니다
세계의 언어들도 거의 적과의 관계를 말하네요
2961. opposite (아퍼시(지)트, 정반대의, 상대, 상반되는, 맞은 편의, 서로 마주하는):
(적이, 상대가) 앞에 있었다, (적이, 상대가) 앞에 있다가 어원
* 라틴어: oppositum ((서로 마주보며) 앞에 있었다메)
* 카탈루냐: oposat ((서로 마주보며) 앞에 있었다)
* 포르투갈: oposto ((서로 마주보며) 앞에 있었다)
* 스페인: opuesto ((서로 마주보며) 앞에 있었다)
* 노르웨이: motsatte ((반대편에) 마드섰다 ⇒ 마주섰다)
* 덴마크: modsat ((반대편에) 마드섰다 ⇒ 마주섰다)
* 스웨덴: motsatt ((반대편에) 마드섰다 ⇒ 마주섰다)
* 터키: zit ((반대편에) 섰다) (* ㅅ ⇌ ㅈ 호환 관계)
* 말레이시아: sebaliknya ((반대편에) 서버렸구나)
* 크로아티아: suprotan ((반대편에) 서버렸다는)
* 헝가리: szemben ((반대편에) 서삐는)
* 폴란드: przeciwienstwo ((반대편에서) 봤었다삐)
* 핀란드: vastapaata ((반대편에서) 봤었다삤다)
* 한국: 반대
* 중국: 對面的 (대면적)
* 일본: 反對 (반대)
* 베트남: trai nghia (對應: 대응)
* 아이슬란드: andsæðta (반대(편에) 섰었다) (* ㅇ ⇌ ㅂ 호환 관계)
* 남아프리카: teenoorgestelde ((반대편에) 떼 놓아 줬다라데)
* 체코: naproti ((반대편에) 놔버렸디 ⇒ 놔버렸지)
* 이탈리아: difronte ((적이 있으면) 뛰어 뿌른다)
* 인도네시아: di depan ((적이라고) 더 떼삐는)
* 아일랜드: os coinne ((상대방이) 왔으까네)
* 네덜란드: tegenover ((적하고) 떼어 놔 봐)
* 프랑스: contraire ((상대방이) 건드려)
* 독일: gegenteil ((앞에서) 개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