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12. 개별원가계산제도에 있어 각 작업별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를 집계, 기록되 는 장소는?
① 작업원가표 ② 제조지시서 ③ 세금계산서 ④ 매입주문서
26-10. 다음은 개별원가계산제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제품을 비반복적으로 생산하는 업종에 적합한 원가계산제도이다.
② 조선업, 건설업 등 주문생산에 유리하다.
③ 공장전체 제조간접비 배분율을 적용하는 것이 제조부문별 제조간접비 배분율을 적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원가배분방법이다.
④ 제조간접비는 일정한 배분기준에 따라 배부하게 된다.
39-13. 다음 중 종합원가계산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작업원가표 작성 ② 제조공정별로 원가집계
③ 제조원가보고서 작성 ④ 동종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업
46-13. 종합원가계산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① 종합원가계산은 다품종 소량생산방식의 생산형태에 적합하다.
② 제조공정이 2이상 연속 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③ 기초재공품의 완성도에 관계없이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원가계산액은 동일하다.
④ 종합원가계산은 재공품을 완성품환산량으로 환산하여 집계한다.
38-13. 다음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은?
① 제분업, 시멘트생산업 등은 종합원가계산에 적합하다.
② 작업원가표를 작성하는 것은 개별원가계산이다.
③ 다품종소량생산의 형태는 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한다.
④ 종합원가계산은 개별원가계산에 비해 제조간접비배부문제가 중요하다.
34-13. 다음 중 종합원가계산방식이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① 소형차 ② 비행기 ③ 특별주문 드레스 ④ 선박
33-13. 종합원가계산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① 동종의 유사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② 주문을 받고 그 주문내역에 따라 생산하는 경우
③ 다양한 품질의 제품이 한 개씩 생산되는 경우
④ 제조지시서별로 원가를 구분, 집계하여 계산하려고 하는 경우
32-13. 다음은 개별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종합원가계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원가계산이 가능하다.
② 원가기록업무가 비교적 단순하여 경제적이다.
③ 제품별로 손익분석이 가능하다
④ 제조지시서별로 원가계산표를 작성한다.
31-12.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개별원가계산은 다품종 소량주문 생산, 종합원가계산은 동종제품 대량 생산하는 업종에 적합하다.
② 개별원가계산은 각 작업별로 원가를 집계하나 종합원가계산은 공정별로 원가를 집계한다.
③ 개별원가계산은 제조지령서별로 개별원가계산표를 작성하며, 종합원가계산은 공정별로 제조원가보고서를 작성한다.
④ 개별원가계산은 완성품환산량을 기준으로 원가를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배부하며, 종합원가계산은 작업원가표에 의해 원가를 배부한다.
30-13. 석유화학산업, 제지업, 시멘트제조업, 식품가공업 등과 같이 표준화된 작업공정을 통해 주로 동종제품을 대량생산하는 제조환경에서 사용하는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계산방법은?
① 개별원가계산 ② 표준원가계산 ③ 종합원가계산 ④ 실제원가계산
25-12. 다음은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조선업 같은 주문생산에 유리하다.
② 원가를 재료비와 가공비로 구분하여 계산한다.
③ 원가계산을 하기 위해 완성품환산량의 개념이 필요하다.
④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제품형태에 적합하다.
(2) 종합원가계산
28-10. 다음은 종합원가계산에서 원가를 기말재공품과 완성품에 배부하기 위한 절차이다. 올바른 순서는?
ⓐ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의 계산 ⓑ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의 원가계산
ⓒ 물량흐름의 파악 ⓓ 배부될 원가의 요약
ⓔ 완성품환산량의 계산
① ⓔ-ⓐ-ⓒ-ⓓ-ⓑ② ⓒ-ⓔ-ⓓ-ⓐ-ⓑ③ ⓓ-ⓔ-ⓐ-ⓒ-ⓑ④ ⓓ-ⓒ-ⓔ-ⓐ-ⓑ
37-13. 다음의 괄호에 들어갈 적당한 말을 고르시오.
( )은 완성품환산량이라고 하는 인위적 배부기준에 따라 원가배부를 통하여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의 계산이 이루어진다.
① 요소별원가계산
② 부문별원가계산
③ 개별원가계산
④ 종합원가계산
47-12. 종합원가계산에서 평균법을 적용하여 완성품환산량의 원가를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할 원가는?
① 당기총제조비용
② 당기총제조비용과 기말재공품재고액의 합계
③ 당기총제조비용과 기말재공품재고액의 차액
④ 당기총제조비용과 기초재공품재고액의 합계
45-13. 종합원가계산하에서는 원가흐름 또는 물량흐름에 대해 어떤 가정을 하느냐에 따라 완성품환산량 이 다르게 계산된다. 다음 중 평균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전기와 당기발생원가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당기발생원가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② 계산방법이 상대적으로 간편하다.
③ 원가통제 등에 보다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④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총원가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41-13. 다음 자료를 보고 평균법에 의한 재료비의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 기초재공품 12,000단위 (완성도: 60%)
· 기말재공품 24,000단위 (완성도: 40%)
· 착 수 량 32,000단위 완성품수량: 20,000단위
· 원재료와 가공비는 공정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① 25,600단위 ② 29,600단위 ③ 34,000단위 ④ 54,000단위
36-12. 평균법으로 종합원가계산을 하고 있다. 기말재공품 200개에 대하여 재료비는 공정초기에 모두 투입되고, 가공비는 제조 진행에 따라 80%를 투입하고 있다. 만일 완성품 환산량 단위당 재료 비와 가공비가 각각 380원, 140원이라면, 기말재공품의 원가는 얼마인가?
① 16,000원 ② 53,200원 ③ 98,400원 ④ 100,000원
43-13. 기초재공품은 20,000개(완성도 20%), 당기완성품 수량은 170,000개, 기말재공품은 10,000개(완성도 40%)이다.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의 가공비에 대한 완성품환산량의 차이는 얼마인가? 단, 재료는 공정초에 전량 투입되고, 가공비는 공정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투입된다.
① 4,000개 ② 5,000개 ③ 6,000개 ④ 7,000개
26-13. 종합원가계산을 적용하여 원가계산을 진행해온 (주)한국은 2006년 1월 1일 현재 기초재공품 3,000개(가공비 완성도 30%)이며 당기 중 완성품 수량은 18,000개이고 기말재공품은 2,000개 (가공비 완성도 70%)였다. 선입선출법과 평균법의 가공비에 대한 완성품 환산량의 차이는 몇 개 인가?
① 900개 ② 1,400개 ③ 2.000개 ④ 4,000개
44-13. 다음 중 종합원가계산에서 재료비와 가공비의 완성도에 관계없이 완성품환산량의 완성도가 항상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첫댓글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