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 벌게이트 성경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 보자
* 보통 불가타라고 칭한다
* 불가타역에 역사 흐름은 두 가지로 나뉜다.
1, 구 라틴 벌게이트
2, 제롬의 라틴 벌게이트
* 구 라틴 벌게이트는 보통 AD 3세기 까지 초기 교부 들에 의해서 원본에 준할 정도로 필사 되었다고 볼수 있다
Vetus Latina" 라틴어로 불린다. 고대 라틴어를 뜻한다.
Vetus Latina Bible"은 단 하나도 없다. 대신, Vetus Latina는 Jerome의 Vulgate보다 앞선 Septuagint와 New Testament 구절의 라틴어 번역 인 성경 사본 텍스트 모음입니다
Vetus Latina"
2. 구 라틴 불가타의 주요 사본
구 라틴 불가타의 완전한 성경책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여러 조각난 필사본과 교부들의 저술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본:
Codex Bezae (베자의 사본, 5세기경
- 신약 사본으로, 그리스어와 라틴어 대역본이 함께 적혀 있음.
- 일부 문장이 불가타와 많이 다름.
- 북아프리카에서 사용되었으며, 마가복음과 마태복음 일부를 포함
-
- Codex Vercellensis (베르첼리 사본, 4세기)
- 북이탈리아에서 필사된 것으로 보이며, 요한복음이 특히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입니다
- 구 라틴 불가타 신약의 가장 오래된 사본 중 하나.
- 북아프리카에서 사용되었으며, 마가복음과 마태복음 일부를 포함.
- 바울 서신을 포함하고 있으며, 불가타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많음
코덱스 베자 사본
2,제롬의 라틴 벌게이트
* 4세기 후반의 번역된 성경
* 382년 교황 다마수스 1세로부터 로마 교회가 사용하는 베투스 라티나 복음서를 개정하는 위임을 받은 제롬은 자신이 직접 개정 번역 작업을 하고 라틴역 대부분의 책이 제롬의 역이다.
* 로마 카톨릭 공식적인 성경이 되었다.
신약 성경이 헬라어로 되어 있음에도 라틴어로 번역된 역사적 이유
초기 기독교 시대에 신약 성경은 헬라어(그리스어, Κοινὴ Ἑλληνική)로 기록되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2세기부터 라틴어로 번역되기 시작했고, 이후에는 불가타(Vulgate) 성경이 기독교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라틴어 번역이 이루어진 역사적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로마 제국의 공용어 변화
초기 기독교가 태동하던 시기(1세기경), 지중해 세계에서는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으로 코이네 그리스어(Koine Greek)**가 널리 사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