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활용하는 동정(同定, identification) 도감
한반도에 보고된 잠자리 123종을 해설하고
100종을 사진과 함께 소개
우리는 잠자리를 몇 종이나 알까?
잠자리 이름을 10종 이상 아는 사람이 드물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123종이나 되는 잠자리가 살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 잠자리를 조금 더 알아보아 주자.
고추잠자리가 빨갛다는 걸 누구나 안다.
하지만 고추잠자리 암컷은 노랗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또한 덜 자란 수컷도 암컷처럼 노랗다는 것까지 아는 사람은 더욱 드물다.
우리는 된장잠자리도 잘 안다.
누런빛을 띠어 된장잠자리라고 부른다는 것도 물론 안다.
그러나 이름만큼이나 친근한 된장잠자리가 해마다 여름이면 저 멀리 동남아시아에서
우리나라로 날아와 여름 하늘을 수놓다가 일생을 마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처럼 우리는 잠자리를 잘 아는 것 같으면서도 실은 잘 알지 못한다.
잠자리들은 자라면서 색깔이 자주 변하고, 암수의 모양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잠자리는 색깔보다는 가슴의 줄무늬와 배 끝의 부속기로 구별해야 한다.
이 책이 잠자리를 정확히 구별하는 데 친절한 참고서가 되어 줄 것이다.
그다지 친절하지만은 않은 책
지난 10여 년 간 출간된 우리나라의 도감들은
‘누구나 볼 수 있는’, ‘알기 쉬운 우리말로 풀이한’, 또는 ‘핵심만 간단히 짚은’ 같은
대중성을 앞세워 편히 읽히고 내용을 간략화한 것들이 많았다.
많은 사람들이 생물을 친근히 여기도록 하려는 좋은 의도였지만 그러면서 포기한 부분도 많았다.
종을 정확히 구별하는 데 필요한 여러 요소들이 생략되고, 한 꺼풀 벗기다 만 양파처럼 속살 깊이까지 파고들지 않은 것이다.
용어를 풀기보다는 외우기를 당부하고, 1차적인 구별에서 끝나기보다는 2차, 3차의 구별 요소를 더 파악하기를 권하는
구성이 조금 불친절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더 많은 정보를 담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해 주길 바란다.
잠자리 구별 포인트를 제시
잠자리 암수, 가슴 옆면과 등판의 줄무늬 숫자와 모양, 배 끝의 부속기 모양,
물속에서 생활하는 애벌레의 생김새를 표본 사진으로 제시하고 설명을 덧붙였다.
독자들은 색깔과 전체적인 모양을 비교해 잠자리를 1차적으로 구별하고,
가슴의 줄무늬로 2차적인 구별을 하면 대부분의 잠자리를 분류할 수 있다.
그것으로도 충분하지 않을 때는 확대해서 실은 부속기 사진과 비교해 3차적으로 구별을 할 수 있다.
또한 암수의 색깔, 성숙한 개체와 미성숙한 개체의 차이 등은 생태 사진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최초 공개되는 의미 있는 종들
지금까지 북한을 비롯해 한반도에서 기록된 잠자리는 모두 123종이다.
이 책에서는 한반도 기록종 전체를 해설하고 그 중 100종은 사진을 함께 수록했다.
최근 새롭게 신종으로 발표된 ‘한국개미허리왕잠자리’를 비롯해, 기록으로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았다가
생태가 밝혀진 노란잔산잠자리의 생태 사진이 공개되고,
긴꼬리고추잠자리, 산측범잠자리, 노란배측범잠자리 등의 생태 사진도 처음으로 소개했다.
특히 한국개미허리왕잠자리는 저자에 의해 신종으로 발표되었으며,
노란잔산잠자리는 1964년 일본 학자의 기록으로만 남았다가 2009년 최초 관찰한 뒤,
그동안 서식지 및 생태를 연구해왔으며,
그 희귀성을 인정받아 올해 새롭게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된 종이다.
정광수_정광수 선생은 1962년 강원도 태백에서 태어났다.
중견 섬유회사의 회계담당자로 평범한 직장생활을 하다가 10년 전인 2002년 산책길에서
우연히 실잠자리를 만나며 잠자리의 형태 및 생태적인 매력에 푹 빠졌다.
이후 본격적으로 잠자리를 관찰하기 시작하면서 체계적으로 우리나라 잠자리를 연구하고자
안동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해 석사․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잠자리를 사랑하게 되고, 함께 잠자리를 공부하고 토론하는 장을 만들고자
‘한국의 잠자리(www.jasa.pe.kr)’ 웹사이트와 한국잠자리연구회를 만들어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현재 한국잠자리연구소 소장, 월간 <자연과생태>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기후변화 생물종 분포조사, 한강하구 습지조사, 멸종위기 동식물 선정 자문위원 등
연구 활동 및 많은 사람들에게 잠자리의 참모습을 알리고자 교육 활동도 열심히 하고 있다.
앞으로 잠자리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물속 곤충을 꾸준히 연구할 계획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잠자리 생태도감』(일공육사, 2007), 『한국 곤충 총 목록집』(자연과생태, 2010),
『한국 잠자리 유충』(자연과생태, 2011) 등이 있다.
#
어느 날 열병처럼 다가온 잠자리를 만난 지 올해 꼭 10년이 된다.
곤충을 각별히 좋아하는 주변의 여러 지인들에 비하면 짧은 기간이지만
나에게는 참으로 길고 행복한 삶이었다.
담수생태계의 중요한 조절자, 인간과 함께하며 동심을 부풀게 했던 잠자리의 가치를 강조하기에 앞서,
잠자리를 처음 만났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기억을 더듬으며 이 책을 준비했다.
#
내 경험으로 볼 때 종을 구분해 알아볼 수 있는 것이 생태를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였던 듯하다.
그래서 잠자리를 잘 구별할 수 있도록, 구별 점을 강조해 구성했고, 생태에 대한 자료들을 간략히 추렸다.
도시의 확산과 가속화로 자연과 생태에 대한 욕구가 더 커져가는 시대다.
자연은 우리 삶의 일부이자 목적이기도 하기에 보존과 적절한 이용, 그와 더불어 생태계를 이해하는 것이
생활에 여유와 향기를 더해줄 것이라 생각한다.
이 책이 독자 여러분께서 잠자리의 매력을 느끼고 생태를 이해하며, 나아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저자의 말 중에서
11 잠자리의 분류와 특징
12 잠자리의 출현
13 잠자리의 분류와 종류
14 분포와 서식환경
14 잠자리의 특징
16 잠자리의 구조
24 잠자리의 한살이
32 잠자리의 비행
33 잠자리의 성장
34 한국산 잠자리 목록
43 잠자리목 성충의 과별 분류
46 잠자리목 유충의 과별 분류
51 한국 잠자리의 형태와 생태
52 물잠자리과 Calopterygidae
58 실잠자리과 Coenagrionidae
92 방울실잠자리과 Platycnemididae
98 청실잠자리과 Lestidae
108 왕잠자리과 Aeshnidae
136 측범잠자리과 Gomphidae
172 장수잠자리과 Cordulegastridae
174 청동잠자리과 Corduliidae
184 잔산잠자리과 Macromiidae
192 잠자리과 Libellulidae
254 자료 부족종, 검토 필요종, 비래종, 북한 서식종
264 참고문헌
270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