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g:v | 객관적 상태 | 성경적 판단 | 선택 | 방법 | 결과 |
아내 | 연애 | 늙고 매력無 | 아내는 여자. | 복되게 하라 즐거워하라 | 아내에게 미쳐라 | 샘-복, 생명을 나옴 아름다운 가정 경건한 자손 |
음녀 | 연애 | 젊고 예뻐 | 구토물 봉투 | 예쁘다고 미치지 마라 | 음녀에게 미치면 죽는다 | 죽고 혼미(인생이 꼬임) |
나 | 혼미 |
|
|
| 누구에게 미칠 까? |
|
hg:v(shagah): 정신을 잃다, 취하여 비틀거리다, 빗나가다, 그릇되다, 실수하다, 아랍어-wrapping
아내에게 정신을 잃어라. 아내를 보면 제 정신이 아니어야 한다.
이방여인(nakree-음녀) 정신을 잃으면 인생이 꼬이고 결국 죽는다.
현 아랍어에서 솨가는 ‘둘둘말다. 랩으로 싸다... ’, 한국표현 치마폭에 싸이다.
어려서 취한 아내가 아직도 예쁜가? 아내가 안 예쁘면 남자의 책임도 반이 넘는다. 여자도 많은 책임이 있다. 핑계하지말고 여자는 예뻐지고 남자는 예쁘게 되도록 화장품, 옷, ...제공하라.
거룩한 부모와 거룩한 자녀
1. 모세의 부모 /
경건한 부모가 모세를 만든다
2. 사사 입다/ 삿10: 사사시대 최고의 의인이며
4-4-4 평행구조 구조의 핵심(대표)에 입다가 있다. 사사기는 그를 가장 탁월한 사사 제시한다.
| 3 小 사사 | 1大 사사 |
|
1차 | 에훗 삼갈 드보라 | 기드온 | 아내 수십명-자식 파멸 |
2차 | (아비멜렉) 돌라 야일 | 입다 | 무남독녀-거룩유지, 주께 헌신한 딸 |
3차 | 입산 엘론 압돈 | 삼손 | 드릴라, 기생- 파멸 |
기드온은 삿 8:30 “아내가 많으므로” 결국 기드온의 모든 자녀들은 모두 죽게된다. 아무리 많이 낳아도 하나님이 인정하지 않으신다. 삼손도 처음에는 멋있게 한 것 같은데 14:17 “아내를 인하여” 죽고 망한다.이후로 단지파 망하고 이스라엘에서 없어진다. 그러나 입다는 천출이지만 끝까지 한 아내를 사랑하며 순종하는 모범을 보였고, 이런 아버지를 본 딸도 결혼하지 않고 평생 성전 봉사자가 된다. 딸을 낳은 것을 보면 무정자증이 아니다. 많은 유력자들이 딸을 주겠다고 했을 텐데....
3. 세례요한의 부모/
부모의 경건한 삶이 자녀들에게 복이 된다. 자녀들이 잘 되는 것이 목사장로의 영광이다. 자녀들이 당신의 삶을 증언할 것이다. 하나님이 떠난 엘리제사장의 집안은 몰락했다. 엘리(나의 하나님)는 이름만 멋진 제사장이었다.
다윗의 후계자는 누구였나?
다윗+밧세바= 삼무아, 소밥, 나단, 솔로몬 마 1: 아브라함>..>이새>다윗>솔로몬>르호보암....요시아>바벨론 스알디엘>스룹바벨... 눅 3: 아브라함<..<이새<다윗<나단 >맛다다...... 네리>바벨론 스알디엘>스룹바벨... |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나오는 예수님의 족보는 순서만 다른 것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솔로몬으로 이어지는 왕의 가문을 폐위시킨다. 누가은 왕의 가문을 인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나단으로 이어지는 거룩한 가문을 구원자(예수)의 가문으로 인정하고 있다. 마태는 솔로몬으로 이어지는 계보를 인정하여 유대인들을 배려했다.
역사에 대한 두 관념
열왕기 학파와 선지자 학파의 견해 차이이다. 열왕기 학파의 꿈은 다윗 왕조의 재건에 관심을 둔다. 마태복음은 열왕기적 사관으로 다윗 왕조의 재건을 이룰 메시야를 추구한다. 그래서 예수님이 아브라함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누가복음은 다윗 왕조의 복원과는 상관없이 예수님이 하나님으로부터 다윗 나단으로 이러지는 계보를 가진 영적 제사장의 가문을 잇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즉, 유대인의 족보는 원래부터 두가지 버전이 전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누가는 선지자 족보를(스가랴12:12 온 땅 각 족속이 따로 애통하되 다윗 족속이 따로 하고 나단 족속이 따로,, 레위 족속이 따로... 시므이 족속이...) 취하고 있다.
스가랴 12:12은 다윗의 집과 이스라엘에게 은총과 간구하는 심령을 부어 주리니 그 찌를 바를 보고 그를 위해 통곡 한다고 전하다. 이때 회개가 일어날 것인데 이때 다윗, 나단 레위의 순서가 된다. 말한다. 이로 보건대 참된 대를 잇는 것은 혈통이 아니라 인격적 영적 동질성이다.
나단은 누구인가?
솔로몬의 형으로 밧세바의 3째 아들이다. 당시 나단 선지자의 이름을 딴 것으로 볼 때 그와 나단의 관계, 즉, 밧세바와 다윗 나단의 친밀성을 추정할 수 있다(삼하5:14, 대상3:5;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