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중으로 살면서 전국의 유명한 절에서 공부한 일기라 해야겠다. 함께 했던 원로스님들을 일일이 호명 하면서 관계를 기록했다. 아름다운 절의 풍경과 그 선원에서 공부하면서 보고 듣고 체험한 일들과 어려움, 선승들과 만남을 기록했다.
읽는 도중 어려운 낱말, 모르는 불교용어들이 너무 많아 사전 찾기에 온 시간을 투자했다. 불교인이 아니라 더 읽기가 매끄럽지 못하다. 그래도 사전을 찾으며 이해가 많이 갔던것 같다. 그리고 인제의 백담사. 설악산의 호랑이 오현스님도 언급했다.아는 분, 가본적있는 우리 동네 절이야기가 반갑다. 돌아가신 오현스님이 그립다.
단월 : 절이나 스님에게 물건 따위를 봉양하는 일
포행 : 승려들이 참선을 하다가 잠시 방선을 하여 한가로이 뜰을 걷는 일
방선 : 좌선을 하거나 불경을 읽는 시간이 다 되어 감
사중 : 살생, 투도, 사음, 망어를 금지하는 계율
일종식 : 하루에 한 끼니 만 먹는 시기
산철 : 산에 자주 오르는 시기
입승 : 절에서 대중의 기강을 맡은 직책
가행정진 : 번뇌를 끊고 성불하기 위하여 더욱 힘껏 수행함
외호 : 밖에서 보호함
방부 : 수행자가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하는 일
선방(禪房) : 참선하는 방
방함록 : 안거할 때에 안거객들의 직명, 성명, 법명, 절, 나이, 본적을 적어 두는 기록
삼보 : 불보, 법보, 슬보의 세가지를 이르는 말
발월 :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빎
회향 : 염불을 외우거나 경을 읽는 등의 불사를 통해서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빎.
자기가 닦은 공덕을 자신이나 중생에게 널리 베풀어깨닫도록 함
안거 : 승려들이 4워르16일~7월 15일 까지 한곳에 모여 외출를 일절 금하고 수행 하는 일
좌복 : 세상에 드러나지 않게 숨어서 지내다
용상방 : 절에서 큰일을 치를 때에 각자 할 일을 정 해 붙이는 명단
고준 : 공사를 다 마침
여법 : 마땅히 지키고 따라야 할 법령이나 규범에 맞음
다각실 : 차를 마시는 곳
차담 :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내놓는 다과
법거량 : 스승에게 깨침을 점검 받는 것, 특히 간화선은 화두를 참구해서 깨침을 얻는다
동중공부 : 동중공부>정중공부. 동중공부 : 시끄러운 곳에서 공부하는 것
탁마 : 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식장 : 식을 거행하는 장소
그릇을 넣어두는 장
겉을 치장하거나 매만져 꾸밈
수승 : 특별히 뛰어남. 승려들의 우두머리
근기 : 참을성 있게 견디는 힘. 중생이 교법을 듣고 제각기 이를 깨달을 만한 능력
습의 : 옷을 갖추어 입음
취부득사부득 : 취부-부억에서 음식을 만드는 여자. 사부 : 스승과 아버지르르아울러 이르는 말
업장 : 불도의 수행과 선행을 막는 세 가지 장애 중 하나
반연 : 얽혀서 맺어지는 인연
지대방 : 절의 큰방 머리에 있는 작은 방
차담 :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내놓은 다과
운수행각 : 운송, 운반을 맡아 여러 곳을 다니며 수행함
승속 : 승려와 속인
소참법문 : 수도자가 때를 정하지 않고 그때그때 스승에게 도리, 법문을 묻고 답하는 일
확철대오 : 크게 깨달음
활구 : 시문 따위에서, 특히 생동하는 듯하여 돋보이는 글귀
화두 : 마음에 중요하게 여겨 생각할 거리가 되는 말
결사 : 죽기를 각오하고 있는 힘을 다할것을 결심함
결제 : 처리하여 킅을 내다
만행 : 불교 수행자들이 지켜야 하는 온갖 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