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2 Drive 6V6_Single Amplifier
완성된 사진 입니다.
작업 소요일은 3일 걸렸습니다.
초단및 드라이브단 관 : 쌍3극관인 6922(6DJ8)
출력관 : RCA 6V6먹관
제가 설계한 회로도 입니다.
회로는 음질을 중시해 5극관으로 5극 결선이 아닌 UL결선을 하였고, 초단부터 드라이브단을 거쳐 출력단까지 전부 커플링 캐패시터 없는 직결회로이고, 신호를 드라이브단 플레이트가 아닌 캐소드에서 뽑았기에 소리가 더 좋다.
또한, 음질이 중요하므로 피드백(NFB)도 걸지 않았다.
출력은 4W이상도 뽑아낼수 있지만 너무 욕심내지않고 가장 이상적인 파형이 나오는 최대출력 2.6W로 확정했기에 볼륨을 최대로 올린다해도 안정화되어 왜곡된 소리는 나오지 않는다.
초단부 캐소드 바이패스 캐패시터는 FFT파형의 변화가 크기에 반드시 470uF 캐패시터를 부착해야 합니다. 소리결이 더 좋아집니다.
A2 드라이브 회로는 드라이브단을 중심으로 전단은 플레이트 직결이고, 후단은 캐소드에서 신호를 뽑아 직결로 출력단으로 넘겨준다.
따라서 드라이브단의 부하는 진공관이 자체로 안고 가기에 별도의 플레이트 부하저항은 필요없다.
하지만 드라이브단은 이득(증폭도)가 1배 밖에 안되기에 전단인 초단부에서 출력단의 바이어스를 충분히 충족할만한 증폭이 이루어져야 하며, 드라이브단은 초단부의 신호를 증폭없이 출력단으로 넘겨주는 역할만 하게된다.
그러므로 초단부의 소리가 좋아야하며, 적절한 증폭도 해주어야 하기에 이러한 회로는 제대로 설계하기가 쉽지않다.
증폭도: 6.5배
gain: 18db
THD: 8%
무왜출력: 2.6W
FFT: 25차 고차고조파
A2 Drive 6V6_Single 회로도의 UL결선 출력관의 최대 스윙구간을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일반적인 앰프의 바이어스는 0V부터 마이너스(-) 영역만 구동이 되지만, A2 드라이브 방식은 바이어스가 0V를 넘어 플러스(+) 영역까지 넘어가기에 증폭도가 더 나오고, 음질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게된다.
스윙구간의 전압은 90V~445V까지이고, 바이어스 구간은 +19V ~ -25V까지 구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출력파워가 증가하게 되는데... 6V6출력관을 UL결선하게 된다면 출력은 1.5W밖에 안되겠지만, A2 드라이브 회로구성 이기에 2.6W가 가능한 일이된다.
물론 출력을 더 뽑는다면 싱글로 4~5W까지도 가능하겠지만 그러다보면 높은 볼륨에선 FFT 고차고조파 파형이 일그러져 소리가 뭉개지게 되므로 좋지않다.
뭉개지는 소리를 잡기 위해선 피드백을 걸어야 하는데 그럼 소리에 데미지가 가게되므로 피드백은 권장하지 않는다.
회로는 6V6 출력관의 최대 소모전력인 12W출력을 거의 최대로 풀스윙 하도록 설계 되어있다.
4련24단 셀렉타의 50K_정임피던스 어테뉴에이터 감쇄기 조견표 입니다.
이것도 제가 설계 하였습니다.
50K_정임피던스 어태뉴에이터 감쇄기의 커브 곡선 그래프 입니다.
동경광음과 커브곡선을 똑같게 설계하여 제작했습니다.
그래프를 확대해서 보시게되면 녹색커브선이 보이는데...동경광음 커브선이고, 적색 커브선이 제가 설계한 50K 어테뉴 커브선 입니다.
그래프상 좌측표의 게인값이 동경광음 어테뉴이고, 우측표의 게인값이 제가 설계한 50K 어테뉴 입니다.
볼륨대신 사용한 4련24단 셀렉타로 50K_정임피던스 어테뉴에이터 감쇄기의 완성된 사진이다.
사용되어진 저항들은 1/4W 1% 저항들로 총 198개의 저항이 필요하다.
어테뉴에이터 감쇄기는 최소볼륨 -87db부터 시작해 최대볼륨 0db까지로 점차적으로 게인이 감쇄가 되고, 한 신호당 고정된 하나의 신호인 게인값 만을 가지기에 정임피던스만의 좋은 소리를 들려주게 될것이다.
초단부 FFT측정결과 그래프입니다...
이러한 모양의 그래프를 잘 눈여겨 봐주길 바랍니다...
초단관은 어떠한 진공관을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모양의 FFT고조파를 형성해야지만 가장 이상적인 그래프 일것이고, 음질에 상당한 도움이 될것입니다.
그런데 초단부에서 이러한 그래프가 나왔더라도 드라이브단이나 출력단과 연결하게된다면 그래프의 형상이 바뀌게된다...또한, NFB를 걸게되도 그래프 형상이 바뀌게된다...그러자면 플레이트 부하저항과 캐소드 저항및 드라이브단과의 연결로인한 회로구성이 적절히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만 가능해질수 있습니다.
초단관, 드라이브관, 출력관중 앰프 음질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하는 진공관은 어떤것일까...?
당연히 초단관입니다.
출력관도 소리에 영향이 크다지만 증폭률이 초단관보단 작기에 앰프의 음질에 영향이 있을지언정 초단관보단 못하다...물론 앰프의 소리경향은 출력관을 따라가기에 앰프의 이름을 명명할때 출력관 위주로 명명하는 것이지만서도...그래도 앰프의 음질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큰 요소는 증폭률이 가장큰 초단관인 것이다.
그렇기에 노이즈나 미세험은 거의 초단부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많게되는 이유입니다.
드라이브단 FFT고조파 배음의 파형이다...
고조파의 잔향감이 상당히 많아 보입니다...몇차 고조파인지 모를정도 입니다.
아웃트 FFT고조파 파형이다...
드라이브단의 영향으로 미세한 잔향감이 더 많이보인다...좋은 현상입니다.
A2 Drive 6V6_Single 우드 베이스 앰프를 제작 완성 했습니다.
개인 사정상 우드 베이스 사이즈를 너무 작게 재단한 관계로 부품실장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격었지만서도 어찌어찌해 제작을 완성후 테스트 거쳐 이상없이 잘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그라운드 배선이 중요한데요... 순차적으로 배선해 줘야 하는데 공간 제약상 그냥 순서 무시하고 뒤죽박죽 가까운데다 연결해 주었습니다.
그라운드 모선은 따로이 쓰지 않았고, 대신 사진상의 가운데 반달 모양의 동판이 그라운드 모선 역할을 하도록 제작 하였습니다.
이번에도 역시나 케이스가 없는 관계로 접지는 하지 않았고, 험 이나 노이즈 문제는 없었습니다.
완성후 진공관 각단의 플레이트 전압과 바이어스 전압을 체크해보니 LTSpice 회로로 시뮬레이션 한 전압과 전혀 차이없이 똑같은 전압이 나왔습니다.
별다른 문제없는 없었고, 소리도 잘 나고있기에 이제 마무리 하도록하고 녹음영상을 올려봅니다.
*.Source: YouTube Music
*.DAC: SMSL PL200 CDP
*.Pre Amp: C3g + 6922_HalfKill Pre Amplifier
*.Power Amp: A2 Drive 6V6_Single Amplifier
*.Volume: 24 Step_50k Constant Impedance Attenuator (50k 정임피던스 어테뉴에이터)
*.Speakers: Fyne Audio F500
*.Recording Device: Galaxy 휴대폰 녹음
초우 - 나윤선
https://youtu.be/10TZJdnF3gg?si=AUgNA-BES3hejmn0
첫댓글 정성이 가득한 대작입니다
멋지 작품입니다
감사합니다^^
별디오님께 여쭙고싶은게 있는데요...요즘 제가 PCB회로 기판 설계에 관심이 많은데 이게 은근히 까다롭더군요.
진공관 소켓은 아무리 찾아도 없는것 같은데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모르겠어서 고전하고 있거든요.
@J T KWON 9핀 pcb용 소켓은 여기저기 많은데요?
알리나 국내 판매 업체도 많구요
@별디오 아니요...PCB아트웤시 소켓심볼을 말씀 드리는 겁니다.
전원부 PCB 패턴은 끝났고, 이제 신호부 PCB 패턴을 뜨려고 합니다.
KiCAD를 사용하고 있는데...9핀 심볼 모양이 이상하게 생겼거든요.
4핀 심볼도 없더군요.
7핀, 8핀 심볼은있고, 정상적입니다.
와우~ 한편의 논문을 보는것 같습니다.
정성이 대단하고요....외관도 수준급 입니다.
울 카페가 화려해지는것 같습니다.
고생 많으셨고요...앞으로도 이론과 좋은작품 기대해 봅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간 되는데로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거의 경지에 도달을 하신것 같습니다.
아직 갈길이 멉니다^^
PCB아트웤도 공부하는 중인데 앰프 하나 때문에 배워야할게 많네요.
좋은 작품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더욱 분발해야 겠습니다.
상세한 설명과 제작기 감사합니다. 마구만들어보고싶은 생각이 들게하네요 ㅎ
만들어 보셔도 후회하진 않으실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