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골난망 결초보은 배은망덕
= 진(晉)나라 와 관련된 사자성어
결초보은 이라는 사자성어가 은혜를 갚는다는 의미로 쓰이게 된 것도 춘추전국시대 진(晉)나라와 관련이 있다.
말 그대로 풀어쓰면 결초보은은 "풀을 맺어서 은혜를 갚는다" 는
뜻 이 되는데..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恩 은혜 은
"춘추좌씨전"에 전하는 고사성어. 선공 15년의 기록에 붙은 주석에 나온다.
춘추시대 진(晉)의 대신이었던 위무자는 젊은 후처를 얻었는데, 위무자가 병이 들자 아들 위도자에게 후처를 순장시키지 말고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시키라고 유언했다가 병이 중해져 정신이 오락가락해지자 위무자는 말을 바꿔 아들에게 후처를 순장시키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위도자는 아버지의 상반된 유언 중에 무엇을 따를지 고민하다가 아버지가 정신이 온전했을 때 남긴 유언을 따르기로 하고 아버지의 후처를 순장시키지 않고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시켰다.
후에 진(秦)나라 군대가 쳐들어오자 위도자는 전쟁터에 나가 싸웠다. 그러던 중 두회라는 장수와 맞서게 되었는데 용맹하고 무시무시해서 진(晉)나라 군사들이 감히 맞서지를 못했다. 전황이 위군에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위군이 퇴각할 상황에 처했으나 두회가 탄 말이 갑자기 그만 고꾸라져 두회는 떨어졌고 위도자는 손쉽게 두회를 사로잡아 큰 공을 세우게 되었다. 그런데 알고보니 두회가 고꾸라진 자리에 풀들이 매여져 있었다.그날 밤에 위도자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났는데 그는 아버지 후처의 친정 아버지였다. 친정아버지는 위도자에게 후처를 순장하지 않고 살려서 친정으로 돌려보낸 뒤 개가를 도와준 것을 감사히 여겨 그 은혜를 갚기 위해 풀을 엮어 두회를 사로잡게 했다고 한 것이다.
흔히 깊은 은혜를 잊지 않고 죽어서라도 갚는다는 의미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백골난망, 각골난망 등이 있다.
刻 새길 각 ,骨 뼈 골 ,難 어려울 난,忘 잊을 망
반면에 은혜를 잊고 배신을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고사성어인 배은망덕도 진(晉)나라 와 관련이 있다.
背 등 배, 恩 은혜 은 ,忘 잊을 망 ,德 큰 덕
진(晉)의 22대 군주.진혜공(晉惠公)
진무공의 손자. 진헌공의 아들. 진문공의 이복 아우.
진헌공 사후 혼란에 빠진 진(晉)나라를 수습하기 위해 진목공의 원조를 받아 군주가 되었다. 그리고 진(秦)과의 신의를 저버리고 진(秦)나라와 자주 다투었다.
진목공의 원조를 받아 즉위해 5개 성을 주겠다고 약속해 놓고 주지 않았으며, 자신이 흉년이 들 때 진목공에게 징징대고서는 진목공이 흉년이 드니까 입을 싹 씻었을 뿐 아니라 오히려 한원전투를 벌이는 배은망덕한 짓을 저질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