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弔民伐罪는 : 백성을 조문(위로)하고 죄를 친(정벌한) 이는 [26] 周發殷湯이라 : 주나라 무왕(發)과 은나라 탕왕이다.
[26] 周發殷湯이라 : 주나라 무왕(發)과 은나라 탕왕이다.
ㅡ周(나라 주, 두루 주) 發(필 발, 쏠 발) 殷(나라 은, 성할 은) 湯(끓을 탕)
101. 周(두루 주, 고루 주, 나라 주) : 口部 周는 用(쓸 용)에 口를 더해서, 입을 활용하여 두루 자신의 뜻을 상대에게 표현한다는 뜻이다. 한편 口를 동그라미의 형태로 보면, 천체를 둥글게 돌면서 밖으로 운행 작용하는(用) 일월의
주기적 의미가 있다.
[참고] 周易은 주나라의 역이라는 뜻이므로, 본래 周는 나라의 명칭을 가리킨다. 그러나 易에 일월의 晝夜 交易에 대한 뜻이 담겨 있듯이, 周에도 천체의 일월운행과 관계된 뜻이 내포되어 있다.
① 用(朋) + 口(ㅇ) : 用을 쪼개면 朋이 되는데 곧 두 달의 상수인 60일에 해당하고, 口는 ㅇ의 변형자로서 천체의 운행을 뜻한다. 이를 미루어보면 周에는 天干인 10干과 地支인 12支의
조합에 의한 60간지의 운행 주기에 대한 뜻이 들어 잇다. 주역의 60번째 괘는 수택절(水澤節)이며 그 마지막 효도 한 해의 주천상수에 해당하는 3
60번째 효인데, 공자는 절이제도(節以制度) 즉 절로써 도수를 짓는다고 말씀하셨다.
천도운행의 節度를 구하고자 60干支를 활용한 것이 周이다. 60干支를 節用으로 하는
달력(태음태양력)이 周易 원리에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用(卜+中)+口 : 卜과 中(가운데 중, 맞출 중)을 합한 用은 사물의 길흉화복을 점쳐서
중도에 맞게(절도있게) 쓴다는 뜻이다. 따라서 周는 입을 활용해서 두루 의사 소통한다는
뜻만이 아니라 한편으로 편중되지 않고 사리에 맞게 말한다는 뜻도 있다.
102. 發(필 발, 쏠 발) : 癶(등질 발, 걸을 발→필발머리)部 發은 본래 발로 풀을 뭉개는 뜻인 '짓밟을 발(癹)'에 弓을 더해서, 두 발로 힘있게 땅을
디디고 활을 쏜다는 뜻이다. 활시위를 당겨 쏘는 것이 마치 맺혀 있던 꽃망울이 활짝 터져
꽃피는 것과 같으므로 대개 '필 발'이라고 한다.
103. 殷(성할 은, 나라 은) : 殳(창 수, 칠 수)部 殷의 왼편은 身(몸 신)의 비틀림 즉 몸을 뒤집고 비트는 反身의 상이며, 殳는 몽둥이(막대기) 또는 창을 본뜬 것으로 치고 두들기는 뜻이 있다. 몸을 비틀면서 춤추고 북과 장구 등의
악기를 연주하는 가운데 '풍악의 성대함'이 나온다.
104. 湯(끓을 탕) : 氵(水)部 湯은 물을 뜻하는 氵에다 따스한 볕을 뜻하는 昜(陽의 本字)을 더해서 불을 때어 데운
물이 마침내 펄펄 끓음을 말한다.
|
첫댓글 공자는 절이제도(節以制度) 즉 절로써 도수를 짓는다고 말씀하셨다
좋은자료 올려주셔서 공부 잘하고 갑니다...
周發殷湯이라易에 일월의 晝夜 交易에 대한 뜻이 담겨 있듯이, 周에도 천체의 일월운행과 관계된 뜻이 내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