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자살군인 국가유공자 인정 어디까지
99년 이후 점차 확대…
기준은 여전히 엄격
견디지
못해 자살한 군인과 경찰을 국가유공자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논란이 발생한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의 법제도가 자살 군경에 대한 국가배상 인정 여부와 국가유공자 인정 여부에 대해 다른 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배상법 제2조는 이들이 직무수행 중 타인의 고의과실로 손해를 입은 것으로 보고 손해배상을
인정하고 있으나, 국가유공자예우및지원에관한법률 제4조5항4호는 직무수행 중 사망했더라도'자해행위'로 인한 사망을 국가유공자에서 제외하고 있다. 때문에 자살군인이 국가유공자로
인정받는 것은 마치 '낙타 바늘귀 들어가기' 만큼 어렵다. 이같은 지적에 따라 대법원은 지난 99년 자살한 군인을 처음으로
국가유공자로 인정한 이후 점차 국가유공자 인정범위를 확대해 오고 있는 추세다.
◇ 99년 첫 인정후 확대 경향= 대법원은 86년 팬텀기 조종사로 근무하던 중 갑작스런 전출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발병, 자살한 공군장교 A씨의 유족들이 국가를 상대로 낸 국가유공자유족등록거부처분취소소송(☞99두3331)에서
원고 패소판결을 내린 원심을 깨고 처음으로 원고 승소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은'자살한 근로자에 대한 업무상재해 인정여부'에
관한 판례의 법리를 원용해 자살 군인도 일정한 경우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대법원은 첫 인용판결이 있은 이듬해인 2000년 7월
의무경찰로 근무하다 상급자의 가혹행위로 생긴 우울증으로 휴가 도중 스스로 목을 매 숨진 함모씨를 국가유공자로 인정한 하급심 판결을 지지하면서 자살군인을
국가유공자로 인정한 판례를 내놨다(☞2003두13595).
◇ 대부분 판결들 유공자 불인정= 대법원은 이들 일부 판결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사건에서 자살군인을 국가유공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엄모씨 사건이다. 엄씨는 2000년 3월
포병대대에 전입됐으나 내성적이고 소극적인 성격으로 인해 상명하복의 엄격한 통제사회인 군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다가 암구호 전파방법 등을 암기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구타 등 가혹행위를 당하다 허리끈을 이용해 자살했다.
대법원은 엄씨의 유족들이 낸 소송(☞2003두2205)을 심리한 끝에 원고 승소판결을 내린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
이밖에 자살군인에게 정신과적 병력이나 증상이 있던 경우 자해행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유공자로 불인정한 판례는 2002두4136 판결과 2003두14789 판결, ☞2005두14578 판결 등이 있다. 우울증
등의 정신병적 증상이 매개되지 않은 경우로서 유공자로 불인정한 판례는 2003두12202 판결과 2003두10404
판결, 2003두6702 판결 등이 있다.
◇ 자살 군인 유공자인정 요건= 자살군인이 국가유공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세
가지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구타 등 가혹행위가 있어야 하고,
둘째 가혹행위와 정신적 고통 및 스트레스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하며, 셋째 자살 행위가
정신적 고통으로 인해 스스로'자유로운 의지'를 벗어나 법이
규정하고 있는'자해행위'에 해당하지 않아야 한다.
자살군인이 국가유공자로 인정받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대법원이'자유의지 상실 여부'에 대한 판단에 있어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기 위한 근로자의 자살보다 매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왔기 때문이다.
◇ 대법 판례 재검토 필요= 대법원 판례의 태도는 우리나라가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고, 군대사회가 통제성과 폐쇄성으로 인해 고도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게 될 개연성과 비인간적인 처우를
받기 쉽다는 점을 등안시 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의문사진상조사위원회 상임위원인 김호철 변호사는"대법원은 초기 군 자살자에 대한
국가유공자를 인정해 유족들에게'황금의 문'을 열어 주었던것에
비해 그동안 '자유의지' 여부를 지나치게 좁게 해석해 지금은 '통곡의 벽'이 됐다"고
지적하고"현행 대법원 판례태도는 반드시 재검토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승택 대법원 재판연구관은 "자살자의 국가유공자 인정과 같은 중요한
문제의 판단과 관련해 자유의지의 유무라는 다소 추상적인 기준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법리적 제약이 있다"며"현행 법제 아래서는 군 자살자를 국가유공자로 포섭해 보상을 해주기에는 여러 난점이 있으므로 제3의 보상체계를 도입하는 내용으로 법률이 제정돼 군 자살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첫댓글 군 생활을 견디지못하고. 자살한 사람을 국가유공자로 인정한다(?) 허허 참~
허허 참---------
국가유공자 참 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