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서는 북위해서, 초서는 손과정의 서풍(書風)으로 썼다. 字의 크기는 약 1.8Cm이고 7호(毫) 겸호면상필(兼毫面相筆)을 사용했다.>
論語集註大全
논어집주대전
論語 :
공자(孔子)가 제자들이나 당시 사람들과 논란(論難: 어떤 문제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따져 논하는 것) 하고 힐문(詰問: 잘못된 것을 따져 물음) 한 말을 제자들이 기록한 것이다.
集註 :
주자(朱子)가 서술한 주(註)를 명칭하는 것으로 송유십일가(宋儒十一家)의 주석(註釋)에서 좋은 점을 초출(抄出) 하고 논어 주소본(註疏本)에서 주(註)를 모아 자신의 학설을 덧붙여서 집주(集註)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大全 :
명(明) 나라 성조(成祖)가 영락 년(永樂年) 중에 주자(朱子)의 집주(集註)를 근간(根幹)으로 하여 국가에서 발간을 한 영락대전본(永樂大全本)이다. 이 영락대전본은 명나라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교과서로 채택했다.
논어(論語)는 맹자(孟子)와 마찬가지로 편명(篇名)에는 뜻이 없다. 옛날 죽간을 말아놨을 때 제일 첫 번째 나온 글자 「子曰은 자주 나오므로 편명(篇名)으로 삼지 않고」그다음의 두 글자 또는 세 글자를 편명으로 삼았다. (그러나 學 자를 제일 먼저 둔 것은 공자가 배움을 먼저 거론한 뜻이 있다고 본다.)
이 편은 모두 옛날과 지금의 인물에 대한 현부(그 사람이현명함과 현명하지 않음)와 득실(잘함과 못함)을 논평하였으니 격물 궁리(사물의이치를 궁구함) 하는한가지 일이다. 모두 27장이다. 호 씨(胡寅)는 아마도 대부분 자공의 문도(門徒)가 기록한 것인듯하다.라고 말하였다.
★ 공야장(公冶長) 이하는 당시 사람들에 대한 논평이고, 공문자(孔文子) 이하는 고인(古人)에 대한 논평이다.
★ 格物窮理의 격(格)은 궁구(窮究)의 뜻이 있고, 물(物)은 사물의 이치(理致)를 말하므로 격물(사물의 이치를 궁 구함)과 궁리(이치를 궁 구함)는 같은 말인데 겹쳐서 나온다. 아마도 주자가 주를 달고 수정을 할 때 미쳐 못한 것으로 보인다.
[十三章]
子路는 有聞이요 未之能行이면 唯恐有聞하더라。
자로는 유문이요 미지능행이면 유공유문하더라。
자로는 선언(善言: 교훈이 될만한 좋은말)을 들은 것이 있고 선한 말을 잘 실천하지 못했으면 오히려 선언을 들은 것이 있을까 염려(두려워) 하였다.
★聞(듣고서 깨우침)을 잘하는 사람이 자로이다. 제자들도 인정한다. 그래서 자로의 행적을 뒤에다 넣었다.
有聞 : 聞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공자의 문장(夫子之文章)과 모든 선언(善言)도 포함된다.
未之能行 : 未能行善言이다.
唯 : 猶와 통한다.
前所聞者 旣未及行이라 故 恐復有所聞하여 而行之不給也라.
앞에서 들은 것을 아직 실천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다시 선언을 들은 것이 있어서 실천이 넉넉하지 못한 것을 염려한 것이다.
범 씨(范祖禹)가 말하기를 자로는 선언(善言)을 들었으면 반드시 실천하는 데에 용감하였으니 문인들이 스스로 자로에게 미치지 못한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나타낸(기록해놓은) 것이다. 자로와 같은 사람은 자신의 용기를 잘 사용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 이 장(章) 까지가 금인(今人)에 대한 평가이다.-
- 이 장(章) 부터는 고인(古人)에 대한 평가이다. -
[十四章]
子貢 問曰 孔文子 何以謂之文也잇고 子曰 敏而好學하며 不恥下問이요 是以 謂之文也라。
자공 문왈 공문자 하이위지문야잇고 자왈 민이호학하며 불치하문이라 시이 위지문야라。
자공이 묻기를 공문자를 무엇 때문에 그의 시호(諡號)를 문이라고 하였습니까?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성품이 명민(明敏) 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며,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이 때문에 <그의 시호를> 문이라고 한 것이다.
★何以謂之文也 : 일반적으로 문인들의 시법(諡法: 시호를 짖는 법)에는「經天緯地道德博文」인데 經天緯地(천지의 법도가 되는 것)는공자만이다. 퇴계는 문순공(文純公)이고, 율곡은 문성공(文成公)이고 주자도 문공(文公)이다. 대개 도덕 박문(道德博文: 도덕을 지니고 있고 글을 널리 함)이나 호학 박문(好學博文: 학문을 좋아하고 글을 널리 함) 등이 시호를 文으로 하는데 자공이 물은 것은 道德博文도 아니고 勤學好文도 아니고 백성을 사랑하는 慈惠愛民도 아닌데 어떻게 이 사람을 文이라고 했는지를 물은 것이다. 자공이 물은 이유는 공문자가 행실이 안 좋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성품이 명민(明敏) 한 자는 대부분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고 지위가 높은 사람은 대부분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 그러므로 시호를 짖는 법에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하는 것을 문이라고 하는 것이 있으니 이것도 사람들이 행하기 어려운 것이다. 공어가 시호를 얻어서 문이 된 것은 이것 때문일 뿐이다.
소 씨(蘇轍)가 말하기를 공문자가 태숙질로 하여금 그의 본처를 내쫓게 하고 자기(공문자) 딸을 아내 삼게 하였는데 태숙질이 본처의 여동생과 간통을 하니 공문자가 노하여서 <태숙질 에게>공격을 하려고 할 때 중니(공자)를 방문하여서 물었는데 공자께서 대답하지 않으시고 수레에 멍에를 매라고 명하시고 떠나가셨다. <공문자가 태숙질을 공격하니> 태숙질이 <패하여> 송나라로 달아났는데 공문자가 <태숙질의>동생인 유로 하여금 공길(공문자의 딸)을 아내 삼게 하였으니 그의 사람됨이 이와 같았다. 그런데 시호를 문이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자공이 의문이 있어서 질문하게 된 이유이다. 공자께서는 그의 좋은 점을 묻어버리지 않고서 능히 이와 같이 하여도 <시호를> 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하였으니 하늘과 땅의 법도가 된다는 문은 아니다.
자위 자산하사되 유군자지도사언하니 기행기야공하며 기사상야경하며 기양민애혜하며 기사민야의니라。 공자가 자산을 평론하시기를 군자의 도(道) 네 가지가 그에게 있으니 그는 몸가짐이 공손하였으며, 그는 윗사람을 섬기는 것을 공경하였으며, 그는 백성을 기르는 것이 은혜로웠으며, 그는 백성을 부리는 것은 의(事物當然之理: 사리에 맞음)롭게 하였다.
子産은 鄭大夫公孫僑라. : 자산은 정나라 대부 “공손교”이다
恭은 謙遜也요 : 공은 겸손한 것이고
敬은 謹恪也요. : 경은 매우 조심하는 것이고
惠는 愛利也라 : 혜는 사랑을 하면서 이롭게 해주는 것이다.
使民義는 如都鄙有章하고 上下有服하며 田有封洫하고 廬井有伍之類라.: 백성을 부리는데 사리에 맞게 하였다는 것은 도시와 농촌에 알맞은 법도가 있으며 윗사람과 아랫사람은 의복에 차등이 있으며 전지(田地)에는 밭두둑과 봇도랑이 있었으며 여와 정(廬井: 25家)에는 인보(隣保)가 있는 따위이다.
오 씨(吳棫)가 말하기를 그 일을 헤아려서 꾸짖는 것은 그가 잘하는 것이 많은 것이니 <예를 들면> 장문중에게는 인하지 못한 것이 세 가지가 있고, 지혜롭지 못한 것이 세 가지가 있다.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그 일을 헤아려서 칭찬을 하는 것은 오히려 지극하지 못한 것이 있다는 것이니 <이를테면> 자산에게 군자의 도(道) 네 가지가 있다는 것이 이것이다. 지금 간혹 한마디 말을 가지고서 한 사람을 개론(蓋論: 모든 것을 덮어서 말함) 하고, 한가지 일을 가지고 한때를 개론하니 모두 잘못된 것이다.
[十六章]
子曰 晏平仲은 善 與人交로다 久而敬之온여。
자왈 안평중은 선 여인교로다 구이경지온여。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안평중은 사람들과 교제를 잘한다. 오래되었는데도 벗을 공경하고 있다.
《논어 주소(註疏) 해석》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안평중은 사람들과 교제를 잘한다. 오래되었는데도 사람들은 그를 공경하고 있다.
久而敬之 : 황본(皇本), 당본(唐本), 고본(古本) 논어에는 「久而人敬之」으로 “人”자가 더 있다.
晏平仲 : 제(齊) 나라 영공(靈公), 장공(莊公), 경공(景公) 삼대의 재상(宰相)을 지낸 사람인데 항상 백성을 구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자기 능력을 자랑하지 않았고, 삼대의 임금을 보필하면서도 사욕을 차리지 않은 사람이다. 사마천(司馬遷)은 안평중을「進思盡忠 退思補過: 사진(仕進) 하였을 때는 충성을 다 바칠 것을 생각하고, 물러났을 대는 자신의 잘못을 보완할 것을 생각한다」라고 평가하였다. 《제나라 경공이 이계(尼谿)의 전지(田地)를 가지고 공자를 봉하려고 할 때 반대한 사람이기도 하다.》
晏平仲은 齊大夫니 名嬰이라. : 안편중은 제나라 대부이니 이름은 “영”이다.
程子曰 人交久則敬衰하나니 久而能敬은 所以爲善야라.
정자(伊川)가 말하기를 사람은 교제한 지가 오래되면 공경이 쇠하는 것이니 오래되었는데도 공경하는 것이 교제를 잘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