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1
25. Lamentations[læməntéiʃ-ənz 래먼테이션즈] : 예레미야 애가(哀歌)
* sources : “Good News Translation English Bible Overview” (GNT영어성경 개요)
(Korean Translation : Lee Chang-bok)
1) Lamentations Introduction (GNT Bible) : 예레미야 애가 소개
The book of Lamentations is a collection of five poems lamenting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n 586 b.c., and its aftermath of ruin and exile. In spite of the mournful nature of most of the book, there is also the note of trust in God and hope for the future. These poems are used by the Jews in worship on the annual days of fasting and mourning which commemorate the national disaster of 586 b.c.
애가서는 기원전 586년 예루살렘의 멸망과 이에 따른 폐허와 유배 후폭풍을 한탄하는 내용을 담은 시 5편을 엮은 것이다. 애가서의 전반적인 테마가 슬픈 노래, 애가 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에 대한 신뢰와 미래에 대한 희망의 조짐도 내포되어 있다. 이 시들은 유대인들이 기원전 586년의 국가적 재난을 매년 기념하는 단식일과 애도일 예배 시에 사용되었다.
2) Outline of Contents : 내용 개요
The sorrows of Jerusalem (1.1-22) : 예루살렘의 슬픔(1.1~22)
The punishment of Jerusalem (2.1-22) : 예루살렘의 형벌(2.1~22)
Punishment and hope (3.1-66) : 벌과 희망(3.1~66)
Jerusalem in ruins (4.1-22) : 폐허가 된 예루살렘 (4.1-22)
A prayer for mercy (5.1-22) : 자비를 비는 기도 (5.1-22)
*** 요약 2
Summary
Summary of the Book of Lamentations
This summary of the book of Lamentation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itle, author(s), date of writing, chronology, theme, theology, outline, a brief overview, and the chapters of the Book of Lamentations.
요약
애가서 요약
예레미야애가 요약본은 예레미야애가의 제목, 저자, 작성 날짜, 연대기, 주제, 신학, 개요, 간략한 개요 및 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Title
The Hebrew title of the book is 'ekah ("How . . . !"), the first word not only in 1:1 but also in 2:1; 4:1. Because of its subject matter, the book is also referred to in Jewish tradition as qinot, "Lamentations," a title taken over by the Septuagint (the pre-Christian Greek translation of the OT) and by the fourth-century Latin Vulgate.
제목
이 책의 히브리어 제목은 '에카("어떻게.... !")로, 1:1 뿐만 아니라 2:1, 4:1에서도 첫 번째 단어입니다. 이 책의 제목 때문에 이 책은 유대 전승에서 키노트, "애가"라고도 불리며, 이 제목은 칠십인역(구약의 기독교 이전 그리스어 번역)과 4세기 라틴 벌게이트에서 이어받은 제목입니다.
***이 책의 히브리어 성경의 제목(표제)은 비탄과 놀라움을 나타내는 감탄사 '에카(아! 어찌하여, 얼마나)입니다. 랍비들이 이 표제를 장례식에서 죽은 자를 애도할 때 사용하던 '키노트'(qinot, 애가 또는 만가)로 바꾸었고, 70인역본과 벌게이트역 또한 '애가'의 의미로 표제어를 삼았습니다. 개역성경도 이를 따라 "예레미야애가'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Author and Date
Lamentations is anonymous, although ancient Jewish and early Christian traditions ascribe it to Jeremiah. These traditions are based in part on 2Ch 35:25 (though the "Laments" referred to there are not to be identified with the OT book of Lamentations); in part on such texts as Jer 7:29; 8:21; 9:1,10,20; and in part on the similarity of vocabulary and style between Lamentations and the prophecies of Jeremiah. Moreover, such an ascription gains a measure of plausibility from the fact that Jeremiah was an eyewitness to the divine judgment on Jerusalem in 586 b.c., which is so vividly portrayed here. Nevertheless, we cannot be certain who authored these carefully crafted poems or who is responsible for putting them together into a single scroll.
저자 및 날짜
애가의 저자는 알려지지않았지만 고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 전승에서는 저자를 예레미야에게 돌립니다. 이러한 전승은 부분적으로 대하 35:25에 근거하고 있다(거기에 언급된 "애가"는 구약 애가서와 동일시되지 않습니다); 부분적으로는 렘 7:29; 8:21; 9:1,10,20;의 성경본문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리고 부분적으로 애가와 예레미야의 예언 사이의 어휘와 문체의 유사성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예레미야가 주전 586년에 예루살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목격했다는 사실로부터 그러한 판단은 어느 정도 그럴듯해집니다, 이것은 여기서 매우 생생하게 묘사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세심하게 만들어진 시를 누가 썼는지, 누가 그것들을 하나의 두루마리로 엮었는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Lamentations poignantly expresses the people's overwhelming sense of loss that accompanied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and the temple as well as the exile of Judah's inhabitants from the land Yahweh had covenanted to give Israel as a perpetual national homeland.
The earliest possible date for the book is 586 b.c., and the latest is 516 (when the rebuilt Jerusalem temple was dedicated). The graphic immediacy of Lamentations argues for an earlier date, probably before 575.
애가는 예루살렘과 성전의 멸망과 야훼께서 이스라엘에게 영원한 본향으로 주겠다고 언약하신 땅에서 유다 주민들이 추방당하는 일에 수반되는 백성들의 압도적인 상실감을 가슴 아프게 표현합니다.
이 책의 가능한 가장 빠른 연대는 주전 586년이고 가장 늦은 연대는 516년(재건된 예루살렘 성전이 헌납된 때)입니다. 애가의 생생한 직접적인 묘사를 비추어볼 때 저작시기가 575년 이전일 것이라며 더 이른 연대를 주장합니다.
Literary Features
The entire book is poetic. The first, second, fourth and fifth laments all contain 22 verses, reflecting the number of letters in the Hebrew alphabet. In the first and second laments each verse contains three poetic lines; in the fourth each verse contains two lines; and in the fifth each verse contains but one line. The first four laments are alphabetic acrostics (see NIV text notes on 1:1; 2:1; 3:1; 4:1). In the first, second and fourth, each numbered verse begins with the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dictated by the traditional order of that alphabet.
문학적 특징
책 전체가 시적입니다.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애가는 모두 히브리어 알파벳의 글자 수를 반영하는 22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애가와 두 번째 애가에서 각 구절에는 세 개의 시적 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네 번째에서 각 구절에는 두 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섯 번째 구절에는 각 구절이 한 줄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처음 네 개의 애가는 답관체踏冠體로 시입니다(1:1; 2:1; 3:1; 4:1에 대한 NIV 텍스트 설명 참조).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에서 번호가 매겨진 각 구절은 해당 알파벳의 전통적인 순서에 따라 지시된 히브리어 알파벳 문자로 시작됩니다.
*** 답관체踏冠體 : 예레미야 애가는 대부분 ‘답관체’라는 문학 기법을 사용했다고 한다. 영어로는 alphabetic acrostics라고 하는데, 각 구절의 첫머리가 22개의 히브리어 알파벳을 따는 방식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알파벳 순으로 22행시를 지은 셈이다. [출처] 예레미야 애가|작성자 성구리 / 참고 사이트 : Q. (biblenara.org)
The third (middle) lament is distinctive in that while it too is made up of 22 three-line units (like laments 1 and 2), in it the three lines of each unit all begin with the sequenced order of the letters of the alphabet (thus three aleph lines followed by three beth lines, etc.) -- after the manner of Ps 119. The fifth lament continues to reflect the alphabetic pattern in its 22-line structure, but the initial letters of these lines do not follow the alphebetic sequence (see note on 5:1-22). Use of the alphabet as a formal structuring element indicates that, however passionate these laments, they were composed with studied care.
세 번째(가운데) 애가 역시 애가 1과 2와 같이 22개의 3행 단위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 단위의 세 행은 모두 알파벳 문자의 순서대로 시작한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따라서 세 개의 알레프 행 다음에 세 개의 베스 행 등) -- 시편 119편의 방식을 따름. 다섯 번째 애도는 22 줄 구조의 알파벳 패턴을 계속 반영하지만이 줄의 첫 글자는 알파벳 순서를 따르지 않습니다 (5 : 1-22 참조). 알파벳을 시의 형식적인 구조 요소로 사용한 점은 이 열렬한 애가가 세심하게 짜여진 구조로 이루어졌음을 나타냅니다.
Themes and Theology
Lamentations is not the only OT book that contains individual or community laments. (A large number of the Psalms are lament poems, and every prophetic book except Haggai includes one or more examples of the lament genre.) Lamentations is the only book, however, that consists solely of laments.
주제와 신학
애가는 개인 또는 공동체 애가를 포함하는 유일한 구약 책이 아닙니다. (많은 시편은 애가 시이며 학개를 제외한 모든 예언서에는 애가 장르의 예가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애가만으로 구성된 책은 애가뿐입니다.
As a series of laments ov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the royal city of the Lord's kingdom) in 586 b.c., it stands in a tradition with such ancient non-Biblical writings as the Sumerian "Lamentation over the Destruction of Ur," "Lamentation over the Destruction of Sumer and Ur," and "Lamentation over the Destruction of Nippur." Orthodox Jews customarily read it aloud in its entirety on the ninth day of Ab, the traditional date of the destruction of Solomon's temple in 586 as well as the date of the destruction of Herod's temple in a.d. 70. Many also read it each week at the Western Wall (the "Wailing Wall") in the Old City of Jerusalem. In addition, the book is important in traditional Roman Catholic liturgy, where it is customarily read during the last three days of Holy Week.
기원전 586년 예루살렘(주님 나라의 왕도) 파괴에 대한 일련의 한탄시로서, 애가는 수메르의 "우르 파괴에 대한 한탄", "수메르와 우르 파괴에 대한 한탄", "니푸르 파괴에 대한 한탄"과 같은 고대 비성경적인 글들과 함께 전통을 지키고 있습니다. 정통 유대인들은 전통적으로 586년 솔로몬의 성전이 파괴된 날짜와 서기 70년 헤롯의 신전이 파괴된 날짜인 아브 9일에 그것 전체를 소리내어 읽었습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매주 예루살렘 구시가지에 있는 서쪽 벽(통곡의 벽)에서 성경을 읽습니다. 또한 이 책은 성주간의 마지막 3일 동안 관례적으로 읽히는 전통적인 로마 카톨릭 전례에서 중요합니다.
This Christian practice reminds us that the book of Lamentations not only bemoans Jerusalem's destruction but also contains profound theological insights. The horrors accompanying the Babylonian destruction of Judah are recited in some detail:
But this recital is integrally woven into the fabric of a poetic wrestling with the ways of God who, as the Lord of history, was dealing with his wayward people.
이 기독교 관습은 예레미야 애가가 예루살렘의 멸망을 한탄할 뿐만 아니라 심오한 신학적 통찰을 담고 있음을 상기시켜 줍니다. 유다의 바빌로니아 멸망에 수반되는 참상은 어느 정도 자세히 언급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낭송은 역사의 주님으로서 제멋대로인 백성을 다루신 하느님의 방식과 시적으로 씨름하는 구조로 통합적으로 짜여져 있습니다.
The author of these laments and those who preserved them understood clearly that the Babylonians were merely the human agents of divine judgment. It was God himself who had destroyed the city and temple (1:12-15;2:1-8,17,22;4:11). This was not a merely arbitrary act on the Lord's part; blatant, God-defying sin and covenant-breaking rebellion were at the root of his people's woes (1:5,8-9; 4:13; 5:7,16). Although weeping (1:16;2:11,18;3:48-51) is to be expected and cries for redress against the enemy (1:22;3:59-66) are understandable (ps 5:10), the proper response to judgment is acknowledgment of sin (1:5,8,14,22;2:14;3:39;4:13;5:7,16) and heartfelt contrition (3:40-42).
이 애가의 저자와 그것을 보존한 사람들은 바벨론 사람들이 단지 하나님의 심판을 집행하는 인간 대리인에 불과하다는 것을 분명히 이해했습니다. 그 도성과 성전을 파괴하신 분은 바로 하나님이셨습니다(1:12-15;2:1-8,17,22;4:11). 이것은 단순히 주님 편에서 자의적인 행동이 아니었습니다; 뻔뻔스러울 뿐만아니 하나님을 대적하는 죄와 언약을 깨뜨리는 반역이 그의 백성의 불행의 뿌리에 있었습니다(1:5,8-9; 4:13; 5:7,16). 울부짖음(1:16;2:11,18;3:48-51)이 예상되고 원수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부르짖음(1:22;3:59-66)은 이해할 수 있지만(시 5:10), 심판에 대한 적절한 반응은 죄를 인정하는 것(1:5,8,14,22;2:14;3:39;4:13;5:7,16)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통회(3:40-42)입니다.
Trust in God's mercies and faithfulness must not falter. The book that begins with lament (1:1-2) rightly ends with an appeal to the Lord for restoration (5:21-22). In the middle of the book, the theology of Lamentations reaches its apex as it focuses on the goodness of God. He is the Lord of hope (3:21,24-25), of love (3:22), of faithfulness (3:23), of salvation and restoration (3:26). In spite of all evidence to the contrary, "his compassions never fail. / They are new every morning; / great is your faithfulness" (3:22-23). Near the end of the book, faith rises from Jerusaem's lamentable condition to acknowlege Yahweh's eternal reign: "You, O Lord, reign forever; / your throne endur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5:19; see introductions to Ps 47; 93; see also note on Ps 102:12).
하나님의 자비와 신실하심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지 않아야 합니다. 애통으로 시작하는 책(1:1-2)은 회복을 위해 주님께 호소하는 것으로 적절하게 끝납니다(5:21-22). 책 중반부에서 애가신학은 하나님의 선하심에 초점을 맞추면서 절정에 이릅니다. 그분은 소망(3:21,24-25), 사랑(3:22), 신실함(3:23), 구원과 회복(3:26)의 주님이십니다. 반대되는 모든 증거에도 불구하고, "그의 긍휼이 무궁하십니다. 이것들이 아침마다 새로우니 주의 성실하심이 크십니다"(3:22-23). 책의 말미에 예루살렘의 한탄스러운 상태에서 야훼의 영원한 통치를 인정하는 믿음이 샘솟습니다: "주여, 영원히 통치하소서; / 왕위는 대대로 존속합니다." (5:19; 시 47; 93; 시 102:12 참조, 또한 시 102:12에 대한 설명 참조).
Outline
개요
예루살렘의 비참함과 황폐(1장)
자기 백성에 대한 여호와의 진노(2장)
유다의 불평과 위로의 근거(3장)
시온의 과거와 현재의 대조(4장)
용서와 회복을 위한 유다의 호소(5장)
From the NIV Study Bible, Introductions to the Books of the Bible, Lamentations
Copyright 2002 © Zondervan. All rights reserved. Used with permis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