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장
跂者不立, 跨者不行. 自見者不明, 自是者不彰, 自伐者無功, 自矜者不長. 其在道也, 曰餘食贅行,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也.
(일부러 일삼아 두) 발뒤꿈치를 땅에 붙이지 않는 사람은 (저절로 그러하게 바로) 서지 못하고, (일부러 일삼아 두) 넓적다리 사이에 물건을 끼우는 사람은 (저절로 그러하게 바로) 걷지 못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살피는 사람은 밝아지지 못하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옳다 하는 사람은 빛나지 못하게 되며, 일부러 일삼아 징벌懲罰하는 사람은 공功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불쌍히 여기는 사람은 오래 가지 못하게 된다. (요컨대, 일부러 일삼아 두 발뒤꿈치를 땅에 붙이지 않는 일과 일부러 일삼아 두 넓적다리 사이에 물을 끼우는 일) 그것은 도道에 있어서, (버려지고) 남겨진 음식이고, (군살과) 덧살인 행위이며, (따라서)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이고, 따라서 도道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그것에) 머물지 않는 바이다.
足, 不着地, 曰跂. 股, 間夾物, 曰跨. 跂者, 不能自立. 跨者, 不能自行. 發此兩句以明下四句之意. 又繼之曰, 此, 於道也, 猶食之餘棄, 行之贅疣. 爲物所惡, 故有道者, 不處也.
(두) 발뒤꿈치가 (일부러 일삼아) 땅에 붙지 않는 모양과 모습, 일컬어 기跂라 한다. (두) 넓적다리가 (일부러 일삼아) 사이에 물건을 끼운 모양과 모습, 일컬어 과跨라 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두) 발뒤꿈치를 땅에 붙이지 않는 사람은 저절로 그러하게 (바로) 설 수 없다. (일부러 일삼아 두) 넓적다리 사이에 물건을 끼운 사람은 저절로 그러하게 (바로) 걸을 수 없다. (노자는) 이 두 문장을 일컬음으로써, 다음의 네 문장의 뜻을 밝혔다. 따라서 (노자는) 이어서 일컬었다. “(기跂와 과跨) 이것은 도(道; 自然)에 있어서, 음식이 (일부러 일삼아) 남겨지고 버려지는 것과 같고, 걸음이 (일부러 일삼아) 군살이 되고 덧살이 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기跂와 과跨, 이것은)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를 일삼게 된다. 따라서 도(道; 自然)를 가지는 바가 있는 사람은 (기跂와 과跨, 이것에) 머물지 않는 것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