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장三十八章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덕스러움德이 아니었다. 그것은 이른바 (저절로 그러한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덕스러움德이었다. (그러나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잃어버리지 않는 덕스러움德이었다. 그것은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저절로 그러한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덕스러움德이었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다. 이른바,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로써 일삼았다. (그러나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은 일부러 일삼았다. 이른바,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일삼았다.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上德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로부터 일삼았다는 것, (이것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로써 일삼았다는 것이다.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부터 일삼았다는 것, (이것은)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일삼았다는 것이다. (이른바,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인) 인仁은 일부러 일삼는 바였다. 그러나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로써 일삼는 바였다.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인) 의義는 (또한) 일부러 일삼는 바였다. 그러나 (그것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로써 일삼는 바였다.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인) 예禮는 (또한) 일부러 일삼는 바였다. 그러나 (그것은) 응하지 않으면 소매를 걷어붙인 채 잡아끄는 바였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무위無爲의) 이치(道; 上德)를 잃어버리게 되자,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 下德)이 뒤따르게 되었다.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 上德)을 잃어버리게 되자, (그 아래의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인) 인仁이 뒤따르게 되었다. 인仁을 잃어버리게 되자, 의義가 뒤따르게 되었다. 의義를 잃어버리게 되자, 예禮가 뒤따르게 되었다. (따라서) 이른바, 예禮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가) 참된 바가 정말로 얇아진 바이고, (따라서) 이른바 (예禮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가 참된 바가) 정말로 어지러운 바이다. (이른바, 그 아래의 먼 옛날의) 앞에 자리했고,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上德을) 알아차렸던 제후와 천자天子는 (무위無爲에 대해) 밝았고, (따라서 유위有爲) 안에 자리하지 않았다. (이른바, 그는 무위無爲) 앞에 자리하는 바를 얻었고,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살았다. 이른바, 그는 (상덕上德) 앞에 자리했고, (상덕上德을) 알아차렸다. (따라서 무위無爲) 그것을 이치로 삼았고, (그것을) 꽃 피웠다. 따라서 (유위有爲) 그것을 어리석어질 바로 삼았고, (무위無爲를) 비롯할 바로 삼았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그 (무위無爲가) 두터운 바(厚; 上德)에 머물지, 그 (무위無爲가) 얇은 바(薄; 下德)에 머물지 않았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에 대해) 날카로워졌는데,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은 천하는 무위無爲에 대해) 재빠르게 되었고, (무위無爲를) 얻게 되었으며, (무위無爲를) 이름 지어 부르게 되었던 것이고, (유위有爲가) 얇은 바(薄; 上德)를 일삼게 되었(던 것이)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유위有爲를) 물러났는데,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는 무위無爲를) 기르게 되었고, (무위無爲를) 늘리게 되었으며, (무위無爲를) 비롯하게 되었던 것이고, (무위無爲가) 두터운 바(厚; 上德)를 일삼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그 (무위無爲가) 참된 바(實; 上德)에 머물지, 그 (유위有爲가) 꽃핀 바(華; 下德)에 머물지 않았다. 따라서 (그 아주 먼 옛날의 천하는 유위有爲) 저것을 버리게 되었고, (무위無爲) 이것을 얻게 되었다.
上德, 不德, 是以有德. 下德, 不失德, 是以無德. 上德, 無為. 而無以為. 下德, 為之. 而有以為. 為之, 於無, 曰無以為. 為之, 於有, 曰有以為. 上仁, 為之. 而無以為. 上義, 為之. 而有以為. 上禮, 為之. 而莫之應, 則攘臂而扔之. 故失道, 而後德. 失德, 後仁. 失仁, 而後義. 失義, 而後禮.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 前識者, 明, 非在內. 取前境, 而生, 謂之, 前識. 道之, 華. 而愚之, 始. 是以大丈夫, 處其厚, 不居其薄. 銳, 而捷得名者, 為薄. 退, 而養眾始者, 為厚.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 取此.
(이른바) 나아가는 호랑이와 표범은 (그) 앞(前; 無爲)으로 나아가지, 그 (뒤有爲로) 물러나는 바를 생각하지 않는다. (이른바) 새로 심은 나무가 그 꽃(華; 有爲)을 무성하게 하면, 그 뿌리(根; 無爲·性·德·自然·命·道)를 단단하게 하지 못하게 된다.
虎豹之行, 進而前, 不能顧其卻. 新木之植, 盛其華, 則不能固其根.
따라서 (먼 옛날의) 앞(인 아주 먼 옛날)에 자리하(고,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上德을 알아차렸던 제후와 천자는 새로 심은 나무처럼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所; 有爲)가 없었다. (이른바, 그는 호랑이와 표범처럼 뒤有爲로 물러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었을 따름이다. 그는 이른바 (무위無爲에 대해) 투박한 사람으로서, (먼 옛날의) 앞(인 아주 먼 옛날)에 자리했다!
然不能無所前矣. 無已. 其, 以樸者, 前乎!
(이른바, 먼 옛날의) 앞 (시대인 아주 먼 옛날)에 자리했던 제후와 천자(者; 大丈夫)는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바(難; 有爲)를 벗어났다. (이른바, 먼 옛날의 앞 시대인 아주 먼 옛날에 자리했고, 따라서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바를) 물러났던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로써 천하를) 바꾸는 바를 살폈다.
前者, 犯難. 卻者, 觀變.
따라서 (먼 옛날의 앞 시대인 아주 먼 옛날에 자리했고, 따라서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바를 벗어났던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를) 무겁게 여기게 하는 바를 도탑게 했고, 따라서 (천하는 무위無爲에 대해 깜짝) 놀라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먼 옛날의 앞 시대인 아주 먼 옛날에 자리했고, 따라서 무위無爲로써 천하를) 바꾸는 바를 살폈던 제후와 천자는 (무위無爲의) 공능(功能; 勢)을 말미암았고, 따라서 (천하는) 서서히 (유위有爲로부터) 나누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먼 옛날의 앞 시대인 아주 먼 옛날에 자리했고, 따라서 무위無爲가 어지러운 바를 벗어났던 제후와 천자는) 이른바 (유위有爲) 그것을 알아차리지 않았고, (따라서) 그는 무위無爲를) 날카롭게 했으며, (따라서 그는 유위有爲를) 가로막았고, (따라서) 천하는 (무위無爲의 정도와 수준이) 높아지고 가팔라지게 되었다.
以犯難者, 敦重, 而不驚. 以觀變者, 因勢, 而徐辨. 故不以識, 之, 銳抵, 天下之, 巇.
어째서 그런가?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무위無爲의) 주인이 되고 (무위無爲를) 즐겁게 여기며 (무위無爲를) 얻는 바를 잃어버리게 되면, 이른바 (천하가 유위有爲의) 이름을 아름답게 여기게 되고, 따라서 (유위有爲) 그것을 가까이하게 되며, 이름 지어 부르게 되기 때문이다. 이른바, (제후와 천자가 무위無爲를) 등지고 (유위有爲를 불러) 모으며 (유위有爲를) 아름답게 여기게 되면, (천하) 그것이 (유위有爲에) 젖어 들게 되기 때문이다.
何也? 以失主樂取, 夫美名, 而暱稱之, 以背眾美, 之, 涵也.
(이른바, 천하가 유위有爲의 이름을 아름답게 여기게 되고, 유위有爲를 가까이하게 되며, 이름 지어 부르게 되고, 유위有爲에 젖어 들게 하는 덕스러움德) 이것이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 下德)이고, 인仁이며, 의義이고, 예禮이다. (따라서 제후와 천자가 그것을 일삼게 되면, 천하) 그것이 (그것을) 이름 지어 부르게 되고, 따라서 (천하가 무위無爲에 대해) 늘 그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是, 德, 仁, 義, 禮. 之, 可名, 而不常者也.
따라서 (지금의 제후와 천자가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인 인仁·의義·예禮로) 나아가게 되면, (천하가) 이른바 (인仁·의義·예禮에 대해 두터워지는 바를) 꽃 피우는 바를 더하게 되고,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上德으로) 돌아가게 되면, (천하가) 이른바 (인仁·의義·예禮에 대해) 얇아지는 바를 (꽃 피우는 바를) 더하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제후와 천자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오로지 그 (자신의) 앞 (시대인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인 인仁·의義·예禮)을 경계하는 바를 앞세우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그 자신의 앞 시대인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 下德)이 아니라, 이른바 (그 먼 옛날의 앞 시대인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 上德)을 일삼기를 잘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며, (그 먼 옛날의 앞 시대인 아주 먼 옛날의 덕스러움德·下德인) 무위無爲로써 일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故出, 而逾華, 反, 而逾薄. 唯先戒其前者, 為能不德而德, 無為以為.
(따라서 한漢나라 시대) 엄준嚴遵은 일컬었다. “(지금의 제후와 천자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지극한 바(至; 上德)에 이르러야 하는데, 따라서 (천하가) 하나같이 (유위有爲에) 자리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천하가) 어찌 (하나같이 유위有爲에) 자리하지 않게 되었는가?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제후와 천자는 천하를 일삼는 데 있어서 하나같이 무위無爲에 대해) 참되었고, (따라서 하나같이 유위有爲를 가지는 바가) 없었으며,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천하는 하나같이 유위有爲) 그것에 자리하지 않게 되었다.
嚴君平雲: 「至至. 而一不存.」 豈不存哉? 誠無, 以存之.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