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늬꾹저구 : Gymnogobius opperiens Stevenson
► 외국명 : (영) Striped floating goby, (일) Shimaukigori (シマウキゴリ)
► 형 태 : 크기는 전장 10㎝ 정도이다. 몸은 긴 편이며 머리는 위아래로 심하게 납작하고 앞에서 볼 때 옆으로 폭이 넓다. 몸은 가슴지느러미 뒤에서부터 좌우로 납작해 지기 시작한다. 입은 크고 위를 향한다. 눈은 비교적 작고 머리의 위쪽에 있다. 두 눈 사이는 넓고 평편하다. 아래턱은 위턱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앞으로 나와있다. 상악골의 뒤끝은 눈의 후단에 이르거나 또는 지난다. 머리, 뺨, 아가미 뚜껑에는 비늘이 없다. 머리와 몸은 황갈색 바탕이며 약 7~8개 정도의 큰 반문이 체측에 배열되어 있고 꼬리지느러미 기저부 쪽에 있는 반문은 색이 더 검어보인다. 가슴지느러미 기조들의 맨 아래 기저부에 흰색 점들이 있다. 제1등지느러미 뒤 가장자리에 검은 반점이 하나 있고 그 아래에 붙어서 흰색 점들이 있다.
크기는 몸길이 10㎝ 정도이다. 미병부는 측편되어 있다. 체형은 긴막대형이다. 두부와 체측의 체색은 황갈색이며, 복부는 연황색이다. 두부와 체측에 소흑점이 산재되어 있고 복부에는 소흑점이 없다. 두부 등 쪽과 체측에 흑갈색 불규칙 구름무늬가 있고 아가미 후단부터 미병부까지 체측 중앙에 안경보다 크기가 약간 큰 연황색 반점이 7개가 있다. 꼬리지느러미 기저에는 Y자형 흑색 반문이 있다. 제1등지느러미 기저와 인접한 연조에 연갈색 종대반문이 2~3열이 있으며, 6극의 기저막은 흑색이다. 제2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외연은 투명하며, 외연을 제외한 부위는 점열형 갈색 반문이 다수 열로 배열되어 있다. 가슴지느러미 기저는 진갈색이다. 배지느러미는 진회색이다. 제1등지느러미의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중앙보다 약간 전방 위치에서 시작한다. 제1등지느러미에 사상구조는 없으며, 외연은 둥글다.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는 안경간격만큼 분리되어 있다. 제2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는 제1등지느러미 기저 길이보다 현저히 길고, 외연은 둥글다. 가슴지느러미 상단연조는 유리되어 있지 않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고 그 후단은 제1등지느러미 기저 후단에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융합되어 흡반구조이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후단을 이르지 못한다. 항문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제2등지느러미 전반부 연조에 위치하며 외연은 둥글거나 일직선이다. 뒷지느러미 기저 후단은 제2등지느러미 기저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절형이며, 외연은 둥글다. 주둥이의 하악은 상악보다 약간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후단을 훨씬 지나서 전새개부 외연까지 이른다. 양안간격은 안경 거리와 비슷하여 넓고 편평하다. 안경은 두부 상단에 위치한다. 안경전방의 비공은 2개이다. 뺨에 3개의 유두상 돌기가 있다. 좌우 새막은 분리되어 협부와 융합되어 있다. 전새개부와 새개부 외연에 가시는 없다. 혀 말단은 결각이 있어, 2분지되어 있다. 상하악에 이빨이 있으며, 서골과 구개골에 이빨이 없다. 즐린이 체측에 덮여 있다.
► 설 명 : 하구 주변의 모래, 뻘 지역에 서식한다. 꾹저구와 비슷한 환경에 서식하며, 꾹저구와 같은 하천에 살고 있는 경우에는 꾹저구가 물이 고여 있는 곳에 있는 반면에 무늬꾹저구는 물살이 있는 평여울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수에는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주로 야간에 깔따구 등 수서곤충의 유충과 실지렁이 등 소형동물과 수중 식물을 먹는다. 꾹저구와 같이 잡히며, 동일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관상용으로 사육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동해안, 주로 삼척, 양양), 일본(혼슈와 홋카이도, 쿠릴열도, 사할린 섬), 러시아(연해주, Primorski Krai) 등 극동 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