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4-8/8節절
* 飛龍비룡 辛鐘洙신종수 總務총무님 提供제공.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4절
p.347 【經文】 =====
易无思也无爲也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非天下之至神其孰能與於此
易无思也, 无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
易은 无思也하며 无爲也하야 寂然不動이라가 感而遂通天下之故하나니 非天下之至神이면 其孰能與於此리오.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니,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한 者자가 아니면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하겠는가.
中國大全
p.347 【小註】 =====
程子曰老子曰无爲又曰无爲而无不爲當有爲而以无爲爲之是乃有爲爲也聖人作易未嘗言无爲惟曰无思也无爲也此戒夫作爲也然下卽曰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是動靜之理未嘗爲一偏之說矣
程子曰, 老子曰, 无爲. 又曰, 无爲而无不爲. 當有爲而以无爲爲之, 是乃有爲爲也. 聖人作易, 未嘗言无爲, 惟曰无思也, 无爲也, 此戒夫作爲也. 然下卽曰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是動靜之理, 未嘗爲一偏之說矣.
程子정자가 말하였다. “『老子노자』에 “함이 없다” 하고 또 “함이 없으나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다” 하였다. 마땅히 큰일을 해내는 데에 ‘함이 없음’으로써 한다면 이것이 바로 큰일이 해내는 ‘함’이 될 것이다. 聖人성인이 『周易주역』을 지을 때에 ‘함이 없음’을 말한 적이 없고 “생각도 없고 함도 없다” 라고만 말했으니 이것은 일을 하는 것을 警戒경계한 말이다. 그러나 이어서 곧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함”이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움직일 때와 고요할 때의 理致이치로서 일찍이 한쪽으로 치우친 說설이 아니다.
○ 寂然不動感而遂通者天理具備元无少欠不爲堯存不爲桀亡父子君臣常理不易何曾動來因不動故言寂然雖不動感便通感非自外也
○ 寂然不動, 感而遂通者, 天理具備, 元无少欠, 不爲堯存, 不爲桀亡. 父子君臣, 常理不易, 何曾動來. 因不動, 故言寂然. 雖不動, 感便通, 感非自外也.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이라는 것은 天理천리가 具備구비되어 元來원래 조금도 缺陷결함이 없으니 堯요임금 때문에 保存보존되는 것이 아니고 桀王걸왕 때문에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父子間부자간이나 君臣間군신간은 떳떳한 理致이치를 바꿀 수 없으니 어찌 變動변동된 적이 있었겠는가? 變動변동되지 않기 때문에 ‘고요히’라고 한 것이다. 비록 變動변동되지는 않으나 느끼면 通통하니 느낌은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 寂然不動萬物森然已具在感而遂通感則只是自內感不是外面將一件物來感於此也
○ 寂然不動, 萬物森然已具在. 感而遂通, 感則只是自內感, 不是外面將一件物來, 感於此也.
‘고요히 움직이지 않음’은 이미 萬物만물이 빽빽이 갖추어 있는 것이다.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은 느낌은 但只단지 안으로부터 느끼는 것이니 外部외부의 어떤 일을 가지고 여기에서 느끼는 것이 아니다.
○ 寂然不動感而遂通此只言人分上事若論通則萬理皆具更不說感與未感
○ 寂然不動, 感而遂通, 此只言人分上事. 若論通, 則萬理皆具, 更不說感與未感.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은 사람인 分數분수의 일로 말하였다. ‘通통함’으로 論논하자면 온갖 理致이치가 모두 갖추어 있으니 느낌인지 느낌이 아닌지 더 以上이상 말할 必要필요가 없다.
○ 答與叔書曰心一也有指體而言者寂然不動是也有指用而言者感而遂通天下之故是也
○ 答與叔書曰, 心一也. 有指體而言者, 寂然不動是也, 有指用而言者, 感而遂通天下之故是也.
與叔여숙[주 252]에게 答답하는 便紙편지[주 253]에 말하였다. “마음은 하나이다. 本體본체를 가리켜 말한 것이 있으니 ‘고요히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 이것이고, 쓰임을 가리켜 말한 것이 있으니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일에 通통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252) 與叔여숙:呂大臨여대림의 字자이다. 陝西省섬서성 藍田남전 사람으로 처음에 張載장재에게 배우다 뒤에는 程顥정호・程頤정이의 門下문하에 들어갔다. 謝良佐사량좌, 游酢유초, 楊時양시와 함께 ‘程問四先生정문사선생’이로 불린다. 晩年만년에 太學博士태학박사・秘書省正字비서성정자가 되었다. 著述저술로 『玉溪集옥계집』과 『考古圖고고도』 等등이 있다. |
253) 이글은 『二程粹言이정수언』에 보인다. |
○ 感而遂通天下之故以其寂然不動小則事物之至大則无時而不感
○ 感而遂通天下之故, 以其寂然不動, 小則事物之至, 大則无時而不感.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함”은 ‘고요히 움직이지 않음’ 때문이니 작게는 事物사물이 다가올 때 느끼고 크게는 어느 때든 느끼지 않음이 없다.
○ 龜山楊氏曰惟无思爲足以感通天下之故而謂无思土木可乎此非窮神知化未足與議也
○ 龜山楊氏曰, 惟无思爲足以感通天下之故, 而謂无思, 土木可乎. 此非窮神知化, 未足與議也.
龜山楊氏구산양씨가 말하였다. “오직 생각이 없어야 느껴서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는데 생각이 없다는 것이 土木토목이라면 可能가능하겠는가? 이는 神신을 窮究궁구하여 變化변화를 아는 이가 아니고는 더불어 議論의논하기 不足부족하다.”
○ 藍田呂氏曰寂然之中天機常動感應之際本原常靜洪鐘在簴叩與不叩鳴未常已寶鑑在手照與不照明未嘗息
○ 藍田呂氏曰, 寂然之中, 天機常動, 感應之際, 本原常靜. 洪鐘在簴, 叩與不叩, 鳴未常已, 寶鑑在手, 照與不照, 明未嘗息.
藍田呂氏남전여씨가 말하였다. “고요히 움직이지 않는 가운데 天機천기는 늘 움직이고, 感應감응하는 즈음에 本原본원은 늘 고요하다. 鐘종틀(簴거)에 있는 큰 鐘종은 치건 치지 않건 間간에 울림이 그치지 않고, 손에 있는 보배로운 거울은 비추건 비추지 않건 間간에 밝음이 쉰 적이 없다.”
○ 張子曰一故神譬之人身四體皆一物故觸之而无不覺此所謂感而遂通不疾而速不行而至也
○ 張子曰, 一故神, 譬之人身, 四體皆一物, 故觸之而无不覺. 此所謂感而遂通, 不疾而速, 不行而至也.
張子장자가 말하였다. ““하나이기 때문에 神신이다”를 사람의 몸에 譬喩비유하면 四肢사지는 모두 하나의 몸이기 때문에 接觸접촉하면 느끼지 않음이 없는 것과 같다. 이것이 이른바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이고, “빠르게 하지 않아도 빠르고 다니지 않아도 이른다”는 것이다.”
p.348 【本義】 =====
此四者之體所以立而用所以行者也易指蓍卦无思无爲言其无心也寂然者感之體感通者寂之用人心之妙其動靜亦如此
此, 四者之體所以立, 而用所以行者也. 易, 指蓍卦. 无思无爲, 言其无心也. 寂然者, 感之體, 感通者, 寂之用, 人心之妙, 其動靜亦如此.
此는 四者之體所以立 而用所以行者也라 易은 指蓍卦라 无思 无爲는 言其无心也라 寂然者는 感之體요 感通者는 寂之用이니 人心之妙가 其動靜亦如此라.
이 말은 네 가지의 體체가 이렇게 서서, 네 가지의 用용이 이렇게 行행해지는 것이다. ‘易역’은 蓍草시초와 卦괘를 가리킨다. “생각도 없고 함도 없음”은 无心무심함을 말한다. “고요히”는 느낌[感감]의 體체이고 “느껴서 通통함”은 고요함[寂적]의 用용이니, 사람 마음의 神妙신묘한 動靜동정이 또한 이와 같다.
p.348 【小註】 =====
朱子曰易无思也无爲也易是箇无情底物事故寂然不動占之吉凶善惡隨事著見乃感而遂通又曰感而遂通感著他卦卦便應也如人來問底善便與說善來問底惡便與說惡所以先儒說道潔靜精微這般句說得有些意思又曰凡言易者多只指蓍卦而言蓍卦何嘗有思有爲但只是叩著便應无不通所以爲神耳非是別有至神在蓍卦之外也.
朱子曰, 易无思也无爲也, 易是箇无情底物事, 故寂然不動. 占之吉凶善惡隨事著見, 乃感而遂通. 又曰, 感而遂通, 感著他卦, 卦便應也. 如人來問底善, 便與說善, 來問底惡, 便與說惡. 所以先儒說道潔靜精微, 這般句說得有些意思. 又曰, 凡言易者多只指蓍卦而言, 蓍卦何嘗有思有爲. 但只是叩著便應无不通, 所以爲神耳, 非是別有至神在蓍卦之外也.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음”이니 易역은 뜻이 없는 物件물건이기 때문에 고요해서 움직이지 않음을 말한다. 占점을 쳐서 吉凶길흉과 善惡선악이 일을 따라 나타나야 이에 느껴서 드디어 通통한다.”
또 말하였다.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은 그 卦괘를 느끼면 卦괘가 곧 그것에 맞게 應응함이다. 마치 사람이 와서 묻는 것이 善선이면 곧 더불어 善선을 말하고 와서 묻는 것이 惡악이면 곧 더불어 惡악을 말하는 것과 같다. 이 때문에 예전의 學者학자들이 ‘淸潔청결하고 고요하며, 精密정밀하고 仔細자세함[潔靜精微결정정미]’[주 254]이라고 하였으니 이런 文句문구는 몇 가지 뜻이 담겨있다.”
또 말하였다. “易역을 말하는 것은 大部分대부분 蓍草시초와 卦괘를 가리켜 말할 뿐이다. 蓍草시초와 卦괘가 언제 생각이 있고 함이 있었던 적이 있었던가? 다만 물으면 이에 應응하여 通통하지 않음이 없다. 그래서 神妙신묘할 뿐이지 別途별도로 蓍草시초와 卦괘 밖에 至極지극한 神신이 있는 것이 아니다.”
254) 朱子주자, 「讀易法독역법」:潔靜精微, 是之謂易, 體之在我, 動有常吉. |
○ 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與窮理盡性以至於命本是說易不是說人諸家皆是借來就人上說亦通
○ 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 與窮理盡性以至於命, 本是說易, 不是說人. 諸家皆是借來就人上說, 亦通.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한다”와 “理致이치를 窮究궁구하고 本性본성을 다하여 天命천명에 이른다”는 本來본래 ‘易역’을 말한 것이지 ‘사람’을 말한 것이 아니다. 여러 學者학자들이 모두 이것을 사람의 觀點관점에서 말하였으니 또한 通통한다.
○ 寂然是體感是用當其寂然時理固在此必感而後發如仁感爲惻隱未感時只是仁義感爲羞惡未感時只是義.
○ 寂然是體, 感是用. 當其寂然時, 理固在此, 必感而後發. 如仁, 感爲惻隱, 未感時只是仁. 義, 感爲羞惡, 未感時只是義.
‘고요히’는 體체이고 ‘느낌’은 用용이다. 고요할 때 理리가 本來본래 여기에 있으나 반드시 느낀 뒤에야 드러난다. 例예컨대 仁인은 느끼면 惻隱之心측은지심이지만 느끼지 못할 때에는 다만 仁인이다. 義의는 느끼면 羞惡之心수오지심이지만 느끼지 못할 때에는 다만 義의이다.
○ 易无思也无爲也寂然不動忠也敬也立大本也感而遂通天下之故恕也義也行達道也
○ 易无思也无爲也寂然不動, 忠也敬也, 立大本也. 感而遂通天下之故, 恕也義也, 行達道也.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임이 없다가”는 忠충이며 敬경이니 大本대본을 세움이다.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함”은 恕서이며 義의이니 達道달도를 行행함이다.
○ 問无思也无爲也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者何也曰无思慮也无作爲也其寂然者无時而不感其感通者无時而不寂也是乃天命之全體人心之至正所謂體用之一源流行而不息者疑若不可以時處分矣然於其未發也見其感通之體於已發也見其寂然之用亦各有當而實未嘗分焉故程子曰中者言寂然不動者也和者言感而遂通者也然中和以性情言者也寂感以心言者也中和蓋所以爲寂感也
○ 問, 无思也无爲也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者, 何也. 曰, 无思慮也, 无作爲也, 其寂然者, 无時而不感, 其感通者, 无時而不寂也. 是乃天命之全體, 人心之至正, 所謂體用之一源, 流行而不息者, 疑若不可以時處分矣. 然於其未發也, 見其感通之體, 於已發也, 見其寂然之用, 亦各有當而實未嘗分焉. 故程子曰, 中者言寂然不動者也, 和者言感而遂通者也. 然中和以性情言者也, 寂感以心言者也, 中和蓋所以爲寂感也.
물었다.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함”은 어떤 것입니까?”
答답하였다. “思慮사려함도 없고 作爲작위함도 없어 고요한 것은 느끼지 않는 때가 없고 느껴서 通통함은 고요하지 않는 때가 없습니다. 이는 天命천명의 全體전체이자 사람의 至極지극한 바름으로 이른바 “體用체용이 한 根源근원”이고 “流行유행하여 쉼이 없음“으로 時間시간과 場所장소로 區分구분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發하기 前전은 느껴서 通통하는 體체임을 알 수 있고, 發발 한 뒤는 고요함의 用용임을 알 수 있으니 또한 各其각기 該當해당함은 있으나 實際실제로는 區分구분된 적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程子정자가 “中중은 고요히 움직임이 없음을 말하고 和화는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을 말한다”고 하였습니다. 中和중화는 性情성정으로 말한 것이고 寂感적감은 마음으로 말한 것이니, 中和중화는 大體대체로 寂感적감이 되는 것입니다.”
○ 平庵項氏曰蓍之變策之數爻之文卦之象皆寂然不動之物初不能如人之有思亦不能如人之有爲皆純乎天者也及問焉而以言則其受命也如響无有遠近幽深 遂知來物則感而遂通天下之故皆同乎人者也
○ 平庵項氏曰, 蓍之變, 策之數, 爻之文, 卦之象, 皆寂然不動之物. 初不能如人之有思, 亦不能如人之有爲, 皆純乎天者也. 及問焉而以言, 則其受命也如響, 无有遠近幽深 遂知來物, 則感而遂通天下之, 故皆同乎人者也.
平庵項氏평암항씨가 말하였다. “蓍草시초의 變化변화‧算산가지의 數수‧爻효의 文樣문양‧卦괘의 象상은 모두 고요히 움직임이 없는 物件물건이다. 物件물건은 애-初초에 사람처럼 생각이 있지도 못하고 함이 있지도 못하니 다 天理천리에 純粹순수한 것이다. 묻는데 말로써 하면 命令명령을 받음이 메아리 같아 멀고 가까우며 그윽하고 깊음에 相關상관없이 올 것을 알면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기 때문에 모두 사람과 같아진다.”
○ 潘氏曰易无思慮无作爲寂然不動若无與於物然一有所感則天下之故无不通者感於離則通乎綱罟之故感於夬則通乎書契之故大而天地微而鳥獸近而一身遠而萬物苟有感焉无不通者然非極天下之至神者不能也
○ 潘氏曰, 易无思慮, 无作爲, 寂然不動, 若无與於物. 然一有所感, 則天下之故无不通者. 感於離, 則通乎綱罟之故, 感於夬, 則通乎書契之故. 大而天地, 微而鳥獸, 近而一身, 遠而萬物, 苟有感焉, 无不通者. 然非極天下之至神者, 不能也.
潘氏반씨가 말하였다.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임이 없음”은 “일에 關與관여함이 없음”과 같다. 그러나 한 番번 느끼는 것이 있으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離卦리괘(䷝)에서 느끼면 그물의 緣故연고를 通통하고, 夬卦쾌괘(䷪)에서 느끼면 文字문자의 緣故연고를 通통한다. 크게는 天地천지를, 작게는 鳥獸조수를, 가까이는 한 몸을, 멀리는 萬物만물을 眞實진실로 느껴서 通통하지 않음이 없다. 그러나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한 者자가 아니면 할 수 없다.”
○ 雲峯胡氏曰象未[주 255]畫辭在策蓍未變占在櫝皆无思无爲寂然不動人心之寂也 如是揲蓍以求卦則天下之故无有不通者矣人心之感也如是非至精至變之外他有所謂至神神卽精與變之至妙至妙者也
○ 雲峯胡氏曰, 象未[주 255]畫, 辭在策, 蓍未變, 占在櫝, 皆无思无爲寂然不動, 人心之寂也 如是. 揲蓍以求卦, 則天下之故无有不通者矣, 人心之感也如是. 非至精至變之外, 他有所謂至神. 神卽精與變之至妙至妙者也.
雲峯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象상이 그어지기 前전에 말이 算산가지에 있고, 蓍草시초가 變化변화하기 前전에 占점이 算筒산통(櫝독)에 있음은 모두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임이 없음”이니 人心인심의 고요함이 이와 같다. 蓍草시초를 세어 卦괘를 求구하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지 않음이 없으니 人心인심의 느낌이 이와 같다. 至極지극한 精微정미함과 至極지극한 變化변화의 밖에 저 이른바 至極지극한 神妙신묘함이 있는 것이 아니다. 神신은 바로 精微정미함과 變化변화가 至極지극히 妙묘하고도 至極지극히 妙묘한 者자이다.”
255) 未미:『中國傳義大全중국전의대전』에 在재로 되어 있으나, 『周易本義通釋주역본의통석』의 “象未畫, 辭在策, 蓍未變, 占在櫝, 皆无思无爲寂然不動, 人心之寂也如是”에 依據의거하여, 未미로 바로 잡았다. |
韓國大全
【송시열(宋時烈) 『역설(易說)』】
易有聖人之道四焉以下
『周易주역』에는 聖人성인의 道도 네 가지가 있다. 以下이하.
言動制器卜筮四者, 卽聖人之道也. 自是以君子將有爲也, 至天下之至精其熟能與於此者, 卽以言而尙辭者也. 自參伍而變, 至天下之至變其孰能與此者, 卽以動而尙變者也. 以制器者, 如下傳第二章作結繩之類是也. 以卜筮者, 如下章蓍之德圓而神之類是也. 以其孰能與於此之文勢觀之, 似是. 此章之例言之, 可悚下文四焉者此之謂也, 分明是結語也. 寂然不動感而遂通, 似是應卜筮尙其占也, 制器尙象未知何指. 雖以此例言之, 或是箇衰例置否.
言언과 動동과 制器제기와 卜筮복서의 네 가지는 곧 聖人성인의 道도이다. “이러므로 君子군자가 큰일을 하고자 하거나, 施行시행하고자 할 때”부터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히 精密정밀한 者자가 아니면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할 수 있겠는가”까지는 말하는 者자는 『周易주역』의 말을 崇尙숭상한다는 것이다. “參삼과 伍오로 세어 變변하며”에서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하는 者자가 아니면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할 수 있겠는가”까지는 行動행동하는 者자는 『周易주역』의 變변을 崇尙숭상한다는 것이다. 器物기물을 만드는 者자는 「繫辭下傳계사하전」 二章2장의 노끈을 맨다는 類류가 그것이다. 거북-占점과 蓍草占시초점을 치는 者자는 아랫 章장의 蓍草시초의 德덕은 둥글고 神祕신비롭다는 類류가 그것이다.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할 수 있겠는가”는 文勢문세로 보면 그것과 비슷하다. 이 章장의 例예로 말하면 아랫 글의 “네 가지가 있다는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다”를 .. 수 있으니 分明분명 이것은 맺음말이다.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이라는 것은 “卜筮복서하는 者자는 占점을 崇尙숭상한다”는 것과 相應상응하는 것 같은데 器物기물을 만드는 者자는 象상을 崇尙숭상한다는 것은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 수 없다. 비록 이런 例예로 말해도 或혹 이것은...
【이만부(李萬敷) 「역통(易統)•역대상편람(易大象便覽)•잡서변(雜書辨)」】
易曰 易無思也, 無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니,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한 者자가 아니면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하겠는가.
朱曰云云. 聖人之心與道一, 故至誠不息. 才涉思爲便違仁離道, 昧寂然不動之體, 失感而遂通之用. 顔子不違仁, 歷三月之久, 而有一念思爲之間, 苟能恒之則聖矣. 夫天下之至神, 莫越乎心, 制心之道, 斯言爲至.
朱氏주씨가 말하였다, “云云운운. 聖人성인의 마음은 道도와 하나이기 때문에 至極지극한 精誠정성으로 쉼이 없다. 잠깐 생각과 行爲행위에 關與관여하면 곧 仁인을 어기고 道도를 떠나 고요히 움직이지 않는 本體본체에 어둡고 느껴서 드디어 通통하는 쓰임을 잃는다. 顔子안자가 仁인을 어기지 않음이 三個月3개월의 오랫동안인데 한 생각과 行爲행위의 사이에 眞實진실로 恒久항구할 수 있으면 聖人성인이다.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한 神신도 마음을 넘지 못하니 마음을 制御제어하는 道도는 이 말이 가장 至極지극하다.”
愚按, 大傳本旨據易而言, 故曰易無思也無爲也, 言其感通之神也. 若以心言之, 其體寂然不動, 而及其用之感通也. 其有意有思乃天理所乘之幾, 而非可以强閇者也.
내가 살펴보았다. 「繫辭傳계사전」의 本본 뜻은 『易역』을 根據근거로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다고 한 것은 느껴서 通통하는 神신을 말한 것이다. 萬若만약 마음으로 말하면 그 本體본체는 고요히 움직이지 않는 것이고 그 作用작용이 느껴서 通통함에 미친다. 뜻이 있고 생각이 있는 것은 天理천리가 타고 있는 幾微기미라서 억지로 닫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孟子曰, 心之官則思, 思則得之, 若不思何得之有.
孟子맹자가 말하기를, “마음의 器官기관은 생각하니 생각하면 얻어진다”고 했으니 萬若만약 생각하지 않으면 어떻게 얻어짐이 있겠는가?
書曰, 思曰睿, 睿作聖. 若不思, 何以作聖之有.
『書經서경』에서 말하기를, “생각은 슬기롭고 슬기로움은 聖人성인을 짓는다”고 하였으니 萬若만약 생각하지 않으면 어떻게 聖人성인을 지을 수 있겠는가?
故孔子之無意, 無私意, 非全無意也. 易所謂何思何慮, 亦爲憧憧往來者言, 非全無思慮也. 不然大學之敎, 何不言無意, 而言誠意, 中庸之訓, 何不言無思, 而言愼思也.
그러므로 孔子공자의 뜻이 없음은 私私사사로운 뜻이 없다는 것이지 全전혀 뜻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易역에서 말한 바 “天下천하가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걱정하리오”라는 것은 憧憧동동대며 오가는 것으로 말한 것이지 全전혀 생각과 걱정이 없다는 것이 아니다. 그렇지 않다면 大學대학의 가르침에 어찌 뜻 없음을 말하지 않고 뜻을 誠實성실히 함을 말했으며, 中庸중용의 가르침에도 어찌 생각 없음을 말하지 않고 愼重신중히 생각함을 말했겠는가!
惟聖人生知安行, 不見思爲之跡, 而無感不通, 亦何嘗牢閇其心, 絶聖棄智之謂哉.
오직 聖人성인이라야 나면서 알고 便安편안히 行행해서 생각하고 行爲행위하는 痕迹흔적을 볼 수 없고 느껴 通통하지 않음이 없으니 또한 어찌 일찍이 그 마음을 닫고 聖성스러움을 끊고 智慧지혜를 버리는 것을 이르겠는가?
是以聖賢千言萬語, 但欲操存省察以正其所發, 而養其本原, 不必以無意無思爲貴也. 顔子所從事於仁者, 惟於非禮處勿之而已. 循循見誘於博約之中, 則又豈可以無念思爲不違仁之證乎.
이렇기 때문에 聖賢성현의 千萬천만가지 말은 잡아 保存보존하고 살펴서 그 發발하는 것을 바르게 하여 그 本原본원을 기르고자 함이지 반드시 뜻이 없고 생각이 없음을 貴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顔子안자가 仁인에 從事종사한 것은 오직 禮예가 아니면 하지 않은 것일 뿐이다. 널리 배움과 簡略간략한 禮예의 가운데 循循순순히 引導인도되면 어찌 생각과 行爲행위가 없음으로써 仁인을 어기지 않음을 證明증명할 수 있겠는가?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易旡[至]之故
易역은 생각도 없고 [‧‧‧]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한다.
朱子曰, 人之一身知覺運用, 莫非神之所爲, 則心者固所以主於身, 而旡動靜語默之間者也. 然方其靜也, 事物未至, 思慮未萌, 而一性渾然, 道義全具, 其所謂中, 是乃心之所以爲體, 而寂然不動者也. 及其動也, 事物交至, 思慮萌焉, 則七情迭用各有攸主, 其所謂和, 是乃心之所以爲用, 感而遂通者也. 然性之靜也, 而不能不動, 情之動也, 而必有節焉, 是則心之所以寂然感通, 周流貫徹, 而體用未始相離也.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사람의 한 몸의 知覺運用지각운용은 神신이 하는 바가 아님이 없으니 마음은 本來본래 몸을 主管주관하여 動靜語默동정어묵의 틈이 없는 것이다. 그렇지만 고요할 때에 事物사물이 이르지 않고 思慮사려는 싹트지 않아 한 性品성품으로 섞여있고 道義도의가 온전히 갖추어지니 이른바 中중으로 마음의 本體본체가 되며 고요히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움직일 때 事物사물이 이르러 사귀고 思慮사려가 싹터서 七情칠정이 番번갈아가며 各各각각 主管주관하는 바가 있으니 이른바 和화로 마음의 作用작용이 되며 느껴서 드디어 通통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性品성품의 고요함은 움직이지 않을 수 없고 感情감정의 움직임은 반드시 調節조절이 있어야 하니 그러므로 마음이 고요하고 느껴 通통해 두루 흘러 꿰뚫어 軆用체용이 서로 떨어진 적이 없는 것이다.”
○案, 神者兼體用, 該寂感而言.
내가 살펴보았다. 神신은 軆用체용을 兼겸하고 寂然不動적연부동하면서도 感而遂通감이수통함을 通통틀어 말한 것이다.
小註, 程子說老子至不爲.
小註소주에 程子정자가 말한 老子노자의 함이 없음에 이른다.
道德經第一章, 聖人處旡爲之事, 三十七章道常旡爲而旡不爲. 註道常旡爲, 然天下之物莫非道之所爲.
『道德經도덕경』 第一章제1장에 聖人성인은 旡爲무위의 일에 處처한다고 하였고 三十七章37장에 道도는 늘 함이 없지만 하지 않는 것이 없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天下천하의 事物사물은 道도가 한 것이 아님이 없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易 旡思也, 旡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니,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한 者자가 아니면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하겠는가.
易指蓍卦也. 辭變象占爲易之體, 而其用因蓍而行也. 蓍之爲物无思无爲, 故於未發也寂然不動, 於已發也, 感而遂通. 故贊之曰天下之至神.
『易역』은 蓍草시초와 卦괘를 가리킨다. 辭사‧變변‧象상‧占점은 易역의 體체가 되고 그 쓰임은 蓍草시초를 通통해 드러나 行행해진다. 蓍草시초란 物件물건은 생각도 없고 行爲행위도 없기 때문에 發발하지 않을 때는 고요히 움직이지 않고 이미 發발해서는 느껴서 드디어 通통한다. 그러므로 贊嘆찬탄하여 말하기를,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한 神妙신묘함’이라 하였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易 旡思也, 旡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
易역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이지 않다가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를 通통하니, 天下천하의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한 者자가 아니면 누가 여기에 參與참여하겠는가.
此承上文辭變象占四者, 而總言易之道. 蓋蓍卦之體寂然而不動, 及其發而爲用, 旡不感通于天下之事故也.
이것은 윗 글의 辭사‧變변‧象상‧占점 네 가지를 이어서 易역의 道도를 通통틀어 말한 것이다. 蓍草시초와 卦괘의 本體본체는 고요해서 움직이지 않다가 發발해서 쓰임이 되면 天下천하의 일에 感通감통하지 않음이 없다.
【이진상(李震相) 『역학관규(易學管窺)』】
○ 程子說, 感非自外)
程子정자가 말한 “느낌은 밖으로부터 오지 않는다.”
感之者外物, 而感者只是心, 故曰感非自外. 然語類有內感外感之說.
느끼는 것은 바깥의 事物사물이고 느낌은 다만 이 마음일 뿐이다. 그러므로 느낌은 밖으로부터 오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語類어류」에 안으로 느끼고 밖으로 느끼는 說설이 있다.
○ 朱子說, 寂然者無時而不感)
朱子주자가 말한 고요함은 때로 느끼지 않음이 없음이다.
此恐是中和舊說. 蓋寂者必感, 而感則非寂, 感者必寂, 而寂則非感. 豈不可以時處分乎. 且云中和 蓋所以爲寂感, 亦恐未安. 中是寂然時性之德, 非所以爲寂也. 和是感通時情之德, 非所以爲感也.
이것은 아마도 中和중화에 關관한 옛 理論이론일 것이다. 고요함은 반드시 느끼지만 느끼면 고요함이 아니고, 느낌은 반드시 고요함이지만 고요하면 느낌이 아니다. 어찌 때와 場所장소에 따라 區分구분이 없겠는가? 그리고 中和중화가 寂感적감이 된다는 것은 온당치 않은 것 같다. 中중은 고요할 때의 性品성품의 德덕이지 고요함이 아니다. 和화는 느껴 通통할 때의 感情감정의 德덕이지 느낌이 아니다.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5절
p.350 【經文】 =====
夫易聖人之所以極深而研幾也
夫易, 聖人之所以極深而研幾也,
夫易은 聖人之所以極深而硏幾也니
『易역』은 聖人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살피는 것이니,
中國大全
p.350 【本義】 =====
研猶審也幾微也所以極深者至精也所以研幾者至變也
研, 猶審也. 幾, 微也. 所以極深者, 至精也. 所以研幾者, 至變也.
研은 猶審也요 幾는 微也라 所以極深者는 至精也요 所以研幾者는 至變也라.
硏연은 살핀다는 ‘審심’과 같고 幾기는 幾微기미이다. 깊음을 다한다는 것은 至極지극히 精密정밀함이고, 幾微기미를 살핀다는 것은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함이다.
p.351 【小註】 =====
或問如何是極深朱子曰聖人都曉得至深難見底道理都就易中見得問如所謂幽明之故死生之說鬼神之情狀之類否曰然問何如是研幾曰便是研磨出那幾微處.且如一箇卦在這裏便有吉凶有悔吝幾微毫釐處都研出來又問如此說正與本義所謂所以極深者至精也所以研幾者至變也正相發明曰然
或問, 如何是極深. 朱子曰, 聖人都曉得至深難見底道理, 都就易中見得. 問, 如所謂幽明之故死生之說鬼神之情狀之類否. 曰, 然. 問, 何如是研幾. 曰, 便是研磨出那幾微處.且如一箇卦, 在這裏便有吉凶有悔吝, 幾微毫釐處, 都研出來. 又問, 如此說, 正與本義所謂所以極深者至精也, 所以研幾者至變也, 正相發明. 曰, 然.
어떤 이가 물었다. “‘깊음을 다하다[極深극심]’는 무엇입니까?” 朱子주자가 答답하였다. “聖人성인은 모두 깊고 보기 어려운 道理도리를 깨우쳤는데 이는 다 『易역』 가운데서 알아낸 것입니다.”
물었다. “이승(明명)과 저승(幽유)의 緣故연고‧ 삶과 죽음에 對대한 主張주장‧ 鬼神귀신의 實情실정 따위를 말함입니까?” 答답하였다. “그렇습니다.” 또 물었다. “‘幾微기미를 살피다[研幾연기]’는 무엇입니까?” 答답하였다. “이는 幾微기미가 되는 것을 살펴 갈고 닦는 것입니다. 例예컨대 하나의 卦괘가 있으면 그 속에 吉凶길흉이 있고 悔吝회린이 있으니 그것의 幾微기미와 微細미세한 곳을 살펴 갈고 닦는 것입니다.”
또 물었다. “그런 말과 같다면 『本義본의』에서 말한 “깊음을 다한다는 것은 至極지극히 精密정밀함이고, 幾微기미를 살핀다는 것은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함이다”고 한 것과 서로 補完보완하여 밝혀주는 것입니까?” 答답하였다. “그렇습니다.”
○ 易便有那深有那幾聖人便用極出那深研出那幾研是研磨到底之意詩書禮樂皆是說那已有底事惟是易說那未有底事研幾是不待他顯著只在那芒昩時都處置了
○ 易便有那深有那幾, 聖人便用極出那深研出那幾, 研是研磨到底之意. 詩書禮樂, 皆是說那已有底事, 惟是易說那未有底事. 研幾是不待他顯著, 只在那芒昩時, 都處置了.
易역에는 깊은 곳도 있고 幾微기미도 있는데 聖人성인은 깊은 곳을 至極지극히 밝혀내고 幾微기미를 살펴내었으니 研연은 研磨연마해 이르는 뜻이다. 詩書禮樂시서예악은 다 이미 있는 일을 말하는데 『周易주역』만은 아직 있지 않은 일을 말한다. ‘幾微기미를 살피다[研幾연기]’는 그것이 드러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但只단지 작고 稀微희미할 때에 모두 措置조치하는 것이다.
○ 知至如極深能慮便是研幾又曰知至能慮與極深研幾句略相似
○ 知至如極深, 能慮便是研幾. 又曰, 知至能慮, 與極深研幾, 句略相似.
‘이를 곳을 안다[知至지지]’는 ‘깊음을 다하다[極深극심]’와 같고 ‘생각을 잘하다[能慮능려]’[주 256]는 ‘幾微기미를 살피다[研幾연기]’와 같다.
또 말하였다. “‘이를 곳을 안다[知至지지]’‧ ‘깊음을 다하다[極深극심]’와 ‘생각을 잘하다[能慮능려]’‧ ‘幾微기미를 살피다[研幾연기]’는 大略대략 文句문구가 서로 같다.”
256) 『大學대학』: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静, 静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
○ 平庵項氏曰至精至變至神者易之體也惟深惟幾惟神者易之用也故曰夫易聖人所以極深而研幾也立此一句以承上體起下用也
○ 平庵項氏曰, 至精至變至神者易之體也. 惟深惟幾惟神者易之用也. 故曰夫易聖人所以極深而研幾也. 立此一句, 以承上體起下用也.
至極지극히 精密정밀함[至精지정]‧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함[至變지변]‧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함[至神지신]은 易역의 體체이고, 깊음[惟深유심]‧기미[惟幾유기]‧神妙신묘함[惟神유신]은 易역의 用용이다. 그러므로 “『易역』은 聖人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살피는 것이다”고 하였다. 이 한 句節구절을 세워서 위의 體체를 잇고 아래의 用용을 일으켰다.
韓國大全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
夫易聖人之所以極深而研幾也
『易역』은 聖人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살피는 것이니,
至精故極深, 至變故研幾.
至極지극히 精微정미롭기 때문에 至極지극히 깊고 至極지극히 變변하기 때문에 幾微기미를 硏究연구한다.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夫易聖人之所以極深而硏幾也
『易역』은 聖人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살피는 것이니,
易之道至精至變, 所以聖人極其深而硏其幾也. 幾微也.
易역의 道도는 至極지극히 精微정미롭고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한다. 그래서 聖人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살피는 것이다. 幾기는 隱微은미함이다.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6절
p.351 【經文】 =====
唯深也故能通天下之志唯幾也故能成天下之務唯神也故不疾而速不行而至
唯深也, 故能通天下之志, 唯幾也, 故能成天下之務, 唯神也, 故不疾而速, 不行而至.
唯深也故로 能通天下之志하며 唯幾也故로 能成天下之務하며 唯神也故로 不疾而速하며 不行而至하나니
깊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할 수 있으며, 幾微기미이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일을 이룰 수 있으며, 神妙신묘하기 때문에 달리지 않아도 빠르며 가지 않아도 이른다.
中國大全
p.352 【小註】 =====
程子曰神无速亦无至須如此言者不如是不足以形容故也
程子曰, 神无速亦无至. 須如此言者, 不如是, 不足以形容故也.
程子정자가 말하였다. “神신은 빠름도 없고 이름도 없다. 굳이 이와 같이 말한 것은 이와 같이 말하지 않으면 充分충분히 形容형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p.352 【本義】 =====
所以通志而成務者神之所爲也
所以通志而成務者, 神之所爲也.
所以通志而成務者는 神之所爲也라.
뜻을 通통하고 일을 이루는 것은 神신이 하는 것이다.
p.352 【小註】 =====
朱子曰深是幽深通是開通人所以閉塞只爲他淺若是深後便能開通人志道理若淺如何開通得人所謂通天下之志亦只是開物相似所以下一句也說個成務易是說那未有底六十四卦皆是如此
朱子曰, 深是幽深, 通是開通. 人所以閉塞, 只爲他淺, 若是深後, 便能開通人志. 道理若淺, 如何開通得人. 所謂通天下之志, 亦只是開物相似, 所以下一句, 也說個成務. 易是說那未有底. 六十四卦, 皆是如此.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깊음[深심]은 그윽히 깊음[幽深유심]이고 通통함은 열려서 通통함[開通개통]이다. 사람이 닫히고 막힘은 但只단지 그가 얕기 때문이니 萬若만약 깊다면 사람의 뜻을 開通개통할 수 있다. 道理도리가 얕다면 어떻게 사람들을 開通개통시켜줄 수 있겠는가? 이른바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함”도 ‘萬物만물을 엶[開物개물]’과 서로 같기 때문에 아래 句節구절도 ‘일을 이룸[成務성무]’을 말하였다.[주 257] 『易역』은 아직 있지 않은 것을 말했으니 六十四卦64괘가 모두 이와 같다.”
○ 深就心上說幾就事上說幾便是有那事了雖是微畢竟是有深在心甚玄奧幾在事半徼半顯通天下之志猶言開物開通其閉塞也故其下對成務
○ 深就心上說, 幾就事上說. 幾便是有那事了, 雖是微畢竟是有. 深在心甚玄奧, 幾在事半徼半顯. 通天下之志, 猶言開物, 開通其閉塞也. 故其下對成務.
‘깊음’은 마음으로 말하였고 ‘幾微기미’는 일로 말하였다. 幾微기미는 그런 일이 있는 것으로 비록 微微미미하지만 結局결국은 있는 것이다. ‘깊음’은 마음에 있는 것으로 매우 深奧심오하며, ‘幾微기미’는 일에 있는 것으로 半반은 隱微은미하고 半반은 드러난다.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함은 ‘萬物만물을 엶[開物개물]’이라 하는 것과 같으니 그 닫히고 막힌 것을 開通개통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래에 ‘일을 이룸[成務성무]’으로 對대를 이루었다.
○ 極出那深故能通天下之志研出那幾故能成天下之務
○ 極出那深, 故能通天下之志, 研出那幾, 故能成天下之務.
깊이를 다하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할 수 있고 幾微기미를 硏磨연마하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일을 이룰 수 있다.
○ 問唯深也唯幾也唯神也此是說聖人能如此否曰此是說聖人亦是易如此若不深如何通得天下之志又曰他恁黑窣地深疑若不可測然其中卻事事有又曰事事都有一個端緖可尋又曰各有個絡脉線索在裏面所以曰唯幾也故能成天下之務研者便是研窮他問如何是幾曰這便是周子所謂動而未形有无之間者也
○ 問, 唯深也唯幾也唯神也, 此是說聖人能如此否. 曰, 此是說聖人, 亦是易如此, 若不深, 如何通得天下之志. 又曰, 他恁黑窣地深, 疑若不可測, 然其中卻事事有. 又曰, 事事都有一個端緖可尋. 又曰, 各有個絡脉線索在裏面. 所以曰唯幾也故能成天下之務. 研者便是研窮他. 問, 如何是幾. 曰, 這便是周子所謂動而未形有无之間者也.
물었다. “깊음‧幾微기미‧神妙신묘함은 聖人성인이 이와 같을 수 있다는 말입니까?
答답하였다. “이것은 聖人성인을 말하였고 또 『周易주역』도 이와 같다는 것이니, 깊지 않다면 어떻게 天下천하의 뜻에 通통할 수 있겠습니까?
또 말하였다. “그것은 이처럼 아득하게 깊어서 헤아릴 수 없을 듯하지만 그 안에 일마다 모두 갖추어 있습니다.” 또 말하였다. “‘일마다’는 그것을 찾을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가 있는 것입니다.”
또 말하였다. “그 안에 各各각각 脈絡맥락과 실마리가 있기 때문에 “幾微기미이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일을 이룰 수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살핌[硏연]’은 그것을 끝까지 살핀다는 뜻입니다.”
물었다. “幾微기미는 무엇입니까?” 答답하였다. “이것이 바로 周子주자가 말한 “움직여도 드러나지 않으며 있음과 없음의 사이”라는 것입니다.”
○ 通天下之志通是開通之意蓋當時之民遇事多閉塞不知所爲故聖人作易示以此理敎他恁地做便會吉如此做便會凶必恁地則吉而可爲如此則凶而不可爲所謂通天下之志開物亦只是如此
○ 通天下之志, 通是開通之意. 蓋當時之民, 遇事多閉塞, 不知所爲. 故聖人作易, 示以此理, 敎他恁地做便會吉, 如此做便會凶, 必恁地則吉而可爲, 如此則凶而不可爲. 所謂通天下之志, 開物亦只是如此.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한다”에서 ‘通통한다’는 開通개통의 뜻이다. 當時당시의 百姓백성이 일을 만나면 막힘이 많아 할 바를 몰랐다. 그래서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어 이 理致이치로써 보여주어 그들에게 이렇게 하면 吉길하고 이렇게 하면 凶흉하니, 반드시 이렇게 하면 吉길하여 할 수 있고 이렇게 하면 凶흉하여 해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다. 이것이 이른바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함이니 ‘萬物만물을 엶’[開物개물]도 이와 같을 뿐이다.
○ 臨川呉氏曰本義云極深者至精也研幾者至變也唯辭之能極深也故以辭爲占則可以前知而開通天下人之心志唯變之能研幾也故以變得象則可以制作而完成天下人之事務然辭占變象所以能如此者皆妙不可測之神爲之唯其妙不可測故不待疾之而自速不待行之而自至謂自然而然非人所能爲也
○ 臨川呉氏曰, 本義云, 極深者至精也, 研幾者至變也. 唯辭之能極深也, 故以辭爲占則可以前知而開通天下人之心志, 唯變之能研幾也, 故以變得象則可以制作而完成天下人之事務. 然辭占變象, 所以能如此者, 皆妙不可測之神爲之. 唯其妙不可測, 故不待疾之而自速, 不待行之而自至, 謂自然而然非人所能爲也.
臨川呉氏임천오씨가 말하였다. “『本義본의』에서 “깊음을 다한다는 것은 至極지극히 精密정밀함이고, 幾微기미를 살핀다는 것은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함이다” 라고 하였다. 오직 말이 깊음을 다할 수 있기 때문에 말로 占점을 치면 앞날을 알아서 天下천하 사람들의 마음과 뜻을 開通개통할 수 있고, 오직 變化변화가 幾微기미를 硏磨연마할 수 있기 때문에 變化변화로 象상을 얻으면 器物기물을 制作제작하여 天下천하 사람들의 일을 完成완성할 수 있다. 그러나 辭사‧占점‧變변‧象상이 이와 같을 수 있는 것은 모두 神妙신묘하여 헤아릴 수 없는 神신이 그렇게 하는 것이다. 오직 神妙신묘해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에 달리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本來본래 빠르고 가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本來본래 이르니 저절로 그러하여 사람이 할 수 있는 바가 아님을 이른다.
○ 誠齋楊氏曰天下之理唯疾故速唯行故至未有不疾而速不行而至者也蓋不如是不足以爲神也然則聖人之神果何物也心之精也豈惟心之能神哉物理亦有之銅山東傾而洛鍾西應豈唯物理哉人氣亦有之其母齧指而其子心動此一物之理一人之氣相應相同有不疾而速不行而至者也况聖心之神乎是故範圍天地而一念不踰時經緯萬方而半武不出戶豈假疾而後速行而後至何爲其然也心之神也
○ 誠齋楊氏曰, 天下之理, 唯疾故速唯行故至, 未有不疾而速不行而至者也, 蓋不如是不足以爲神也. 然則聖人之神果何物也. 心之精也. 豈惟心之能神哉, 物理亦有之, 銅山東傾而洛鍾西應. 豈唯物理哉, 人氣亦有之, 其母齧指而其子心動. 此一物之理, 一人之氣, 相應相同, 有不疾而速不行而至者也. 况聖心之神乎. 是故, 範圍天地而一念不踰時, 經緯萬方而半武不出戶, 豈假疾而後速, 行而後至. 何爲其然也, 心之神也.
誠齋楊氏성재양씨가 말하였다. “天下천하의 理致이치는 달려야만 빨라지고 가야만 이르니 달리지 않아도 빨라지고 가지 않아도 이르는 것은 없다. 이는 이와 같지 않으면 神신이 되기에 不足부족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聖人성인의 神妙신묘함은 果然과연 어떤 物件물건일까? 마음이 精妙정묘하다. 어찌 마음만 神妙신묘할 수 있겠는가? 物件물건의 理致이치에도 神妙신묘함이 있으니 銅山동산이 東동쪽에서 무너지니 洛鍾낙종이 西서쪽에서 應응하였다.[주 258] 어찌 物件물건의 理致이치에만 神妙신묘함이 있겠는가? 사람의 氣運기운에도 있으니 어미가 손가락을 깨물면 子息자식의 마음이 움직인다.[주 259] 이는 物件물건의 理致이치나 사람의 氣運기운이 서로 應응하고 서로 같이해서 달리지 않아도 빠르고 가지 않아도 이르는 것이다. 하물며 聖人성인의 神妙신묘함은 어떻겠는가. 이런 까닭에 天地천지를 規定규정 지음에 한 생각도 때를 넘지 않고 온 世上세상을 다스림에 半반발자국도 門문을 벗어나지 않는다. 어찌 달린 뒤에야 빨라지고 간 뒤에야 이를 必要필요가 있겠는가? 어찌하여 그런가? 마음이 神妙신묘해서이다.”
257) 『周易주역‧繫辭傳계사전 11章장』:夫易, 開物成務, 冒天下之道, 如斯而已者也. |
258) 銅山동산이 …… 應응하였다:南朝時代남조시대 宋송나라 劉敬叔유경숙의 『異苑이원』에 “魏위나라 宮闕궁궐 앞의 큰 鐘종이 理由이유 없이 울리자 張華장화가 ‘蜀郡촉군의 銅山동산이 무너졌기 때문에 鐘종이 울릴 것이다’ 하였는데 蜀郡촉군에 가서 調査조사해 보니 張華장화의 말과 같았다”는 記錄기록이 있다. 이 일로 말미암아 ‘山崩鐘應산붕조응’은 事物사물이 서로 感應감응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
259) 어미가……움직인다:本來본래 懇切간절히 그리울 때 쓰는 말이다. 宋송나라 岑象求잠상구의 『吉凶影響錄길흉영향록』에 “曾子증자가 孔子공자를 따라 楚초나라에 갔는데 마음이 울렁거리자 下直人事하직인사를 하고 歸鄕귀향하여 어머니에게 물으니 어머니는 ‘네가 보고 싶어 손가락을 깨물었다’고 하였다”는 記錄기록이 있다. |
韓國大全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惟深也, 故能通天下之志, 惟幾也, 故能成天下之務, 惟神也, 故不疾而速, 不行而至
깊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할 수 있으며, 幾微기미이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일을 이룰 수 있으며, 神妙신묘하기 때문에 달리지 않아도 빠르며 가지 않아도 이른다.
深就心上說, 幾就事上說, 所以通志而成務者, 神之所爲也. 不疾不行, 卽寂然不動也, 速而至, 卽感而遂通也.
깊음은 마음으로 말했고 幾微기미는 일로 말했으니 뜻을 通통하고 일을 이루는 까닭이며 神신이 하는 바이다. 달리지 않고 가지 않음은 고요히 움직이지 않음이고 빨리 이름은 느껴서 通통하는 것이다.
【박윤원(朴胤源)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惟神也, 故不疾而速不行而至. 此神字卽上至神之神, 而平庵項氏分作體用說何歟. 至神該寂感而言, 則兼體用矣, 何以單言體歟. 惟神以不疾不行爲體, 以而速而行爲用, 則何以單言用歟.夫天下之事未有不疾而速不行而至者, 而惟神爲然, 其妙莫可測矣.
오직 神신이기 때문에 달리지 않아도 바르고 가지 않아도 이른다. 이 ‘神신’字자는 위의 ‘至極지극한 神신’의 神신인데 平庵項氏평암항씨는 軆用체용으로 나누어 말했으니 어째서인가? 至極지극한 神신은 고요함과 느낌을 모두 말해 軆用체용을 兼겸한 것인데 어찌 體체만 말한 것인가? 神신만이 달리지 않고 가지 않음을 體체로 하고 빠르고 가는 것을 用용으로 한다면 어찌 用용만 말한 것인가? 天下천하의 일에는 달리지 않고 빠르며 가지 않고 이르는 것은 없는데 오직 神신만이 그러하니 그 妙묘함을 헤아릴 수 없다.
程子曰, 神無速無至. 旣是無速無至, 則何以言而速而至歟, 而速而至, 只作無速之速無至之至看, 則意味尤深遠歟.
程子정자가 말하였다. “神신은 빠름도 없고 이름도 없다. 이미 빠름도 없고 이름도 없는데 어찌 빠르고 이른다고 하였는가? 빠르고 이르는 것을 다만 빠름이 없는 빠름이고 이름이 없는 이름으로 본다면 意味의미가 더욱 深遠심원할 것이다.”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7절
p.354 【經文】 =====
子曰易有聖人之道四焉者此之謂也
子曰, 易有聖人之道四焉者, 此之謂也.
子曰 易有聖人之道四焉者 此之謂也라.
孔子공자가 말하였다. ““『周易주역』에 聖人성인의 道도 네 가지가 있다”는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다.”
中國大全
p.354 【小註】 =====
朱子曰變化之道莫非神之所爲也故知變化之道則知神之所爲矣易有聖人之道四焉所謂變化之道也觀變玩占可以見其精之至矣玩辭觀象可以見其變之至矣然非有寂然感通之神則何以爲精爲變而成變化之道哉此變化之道所以爲神之所爲也所以極深者以其精也所以研幾者以其變也極深研幾所以不疾而速不行而至者以其神也此又覆明上文之意復以易有聖人之道四焉者結之也
朱子曰, 變化之道, 莫非神之所爲也. 故知變化之道則知神之所爲矣. 易有聖人之道四焉, 所謂變化之道也. 觀變玩占, 可以見其精之至矣, 玩辭觀象, 可以見其變之至矣. 然非有寂然感通之神, 則何以爲精爲變而成變化之道哉. 此變化之道所以爲神之所爲也. 所以極深者, 以其精也, 所以研幾者, 以其變也, 極深研幾所以不疾而速不行而至者, 以其神也. 此又覆明上文之意, 復以易有聖人之道四焉者結之也.
朱子주자가 말하였다. “變化변화의 道도는 神신이 하는 바가 아님이 없다. 그러므로 變化변화의 道도를 아는 者자는 神신이 하는 바를 안다. “『周易주역』에 聖人성인의 道도가 넷이 있다”는 것이 이른바 變化변화의 道도이다. 變化변화를 보고 占점을 玩味완미하면 精密정밀함의 至極지극함을 알 수 있고, 말을 玩味완미하고 象상을 보면 變化변화의 至極지극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요히 느껴 通통하는 神신이 아니라면 어떻게 精密정밀함과 變化변화가 되어 變化변화의 道도를 이루겠는가? 이는 變化변화의 道도를 神신이 하는 바이기 때문이다. 깊음을 다함은 그것이 精密정밀하기 때문이고, 幾微기미를 硏磨연마함은 그것이 變化변화하기 때문이며,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硏磨연마하여 달리지 않아도 빠르고 가지 않아도 이르는 것은 그것이 神妙신묘하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反復반복하여 윗글의 뜻을 밝히고, 다시 “『周易주역』에 聖人성인의 道도가 넷이 있다”는 것으로 마친 것이다.”
或曰至精至變皆以書言之矣至神之妙亦以書言之可乎曰至神之妙固无不在詳考之文意則實以書言之也所謂无思无爲寂然不動云者言在册策在畫蓍在櫝而變未形也至於玩辭觀象而揲蓍以變則感而遂通天下之故矣推而極於天地之大反而驗諸心術之微其一動一靜循環終始之妙亦如此而已矣嗚呼此其所以不疾而速不行而至也歟
或曰, 至精至變皆以書言之矣, 至神之妙亦以書言之可乎. 曰, 至神之妙固无不在, 詳考之文意則實以書言之也. 所謂无思无爲寂然不動云者, 言在册, 策在畫, 蓍在櫝, 而變未形也. 至於玩辭觀象而揲蓍以變, 則感而遂通天下之故矣. 推而極於天地之大, 反而驗諸心術之微, 其一動一靜循環終始之妙亦如此而已矣. 嗚呼此其所以不疾而速不行而至也歟.
어떤 이가 물었다. “‘至極지극히 精密정밀함[至精지정]’과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함[至變지변]’을 冊책으로 말하였는데 ‘至極지극히 神妙신묘함[至神지신]’의 神妙신묘함도 冊책으로 말해도 됩니까?”
答답하였다. “至神지신의 妙묘함은 正정말로 없는 곳이 없으니 文章문장의 뜻을 詳細상세히 살펴보면 實실은 冊책으로 말한 것입니다. 이른바 “생각도 없고 함도 없어 고요히 움직임이 없음”은 말은 冊책에 있고, 蓍策시책은 畫획에 있으며, 蓍草시초는 算筒산통(櫝독)에 있어 變化변화가 드러나지 않습니다. 말을 玩味완미하고 象상을 보아 蓍草시초를 헤아려 變化변화에 이르면, 느껴서 드디어 天下천하의 緣故연고에 通통합니다. 미루어 天地천지의 큼을 다하고 돌이켜 心術심술의 隱微은미함을 徵驗징험하면 ‘한 番번 움직이고 한 番번 고요함’으로서 循環순환하며 마치고 始作시작하는 神妙신묘함도 이와 같을 뿐입니다. 아, 이것이 달리지 않아도 빠르고 가지 않아도 이르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 平庵項氏曰四者雖云辭變象占而自君子將有爲也以下則皆論占也至此又以易有聖人之道四焉終之者蓋占則有辭變則有象擧其一則四事在其中矣
○ 平庵項氏曰, 四者雖云辭變象占, 而自君子將有爲也以下, 則皆論占也. 至此又以易有聖人之道四焉終之者, 蓋占則有辭, 變則有象, 擧其一則四事在其中矣.
平庵項氏평암항씨가 말하였다. “네 가지를 비록 辭사‧變변‧象상‧占점이라고 말하지만 “君子군자가 큰일을 하고자 하다[君子將有爲也군자장유위야]”以下이하는 모두 占점을 論논하였다. 여기에 이르러 또 “易역에 聖人성인의 道도가 넷이다[易有聖人之道四焉역유성인지도사언]”로 마친 것은 占점이 있으면 말이 있고 變化변화가 있으면 象상이 있으니 그 하나를 들면 네 가지 일이 그 가운데 있기 때문이다.”
韓國大全
【이익(李瀷) 『역경질서(易經疾書)』】
易者書也, 豈有思而有爲寂感, 雖曰心軆有如此, 而此則以易言者也. 聖人作易只有六十四卦三百六十四爻, 渾然畫出一天地. 寂然不動卽無思無爲之註脚. 若但如此, 易不過無能之一紙, 非憂患後世之意. 故聖人又作揲蓍求卦之法, 一有感觸三百八十四爻, 各以吉凶善惡, 通達蓍顯, 一與天地之心, 同其軆用. 下章洗心退藏, 發揮尤明易之至神如此. 下文不疾而速不行而至卽至神之註脚.
『易역』이라는 것은 冊책이니, 어찌 생각이 있고 함도 있고 고요히 느끼는 것도 있겠는가? 비록 마음의 本體본체가 이렇다하더라도 이것은 易역을 써서 말한 것이다. 聖人성인이 易역을 지음엔 다만 六十四卦64괘 三百六十四爻384효가 있을 뿐이어서 渾然혼연히 하나의 天地천지를 그어낸 것이다. 고요히 느껴 움직임이 없음은 생각도 없고 함도 없다는 것의 註脚주각이다. 다만 이와 같다면 易역은 無能무능한 하나의 종이에 지나지 않는 것이어서 後世후세를 근심하는 뜻이 없다. 그래서 聖人성인이 또 揲蓍설시하여 卦괘를 求구하는 方法방법을 만들어 한 番번에 三百六十四爻384효를 따라서 느껴 各各각각 吉凶善惡길흉선악으로 通達통달하여 드러내 天地천지의 마음과 더불어 하나가 되어 그 軆用체용을 함께 한다. 아래 章장의 마음을 닦고 물러나 감춤은 易역의 至極지극한 神신이 이와 같음을 더욱 分明분명히 한 것이고 아래 文章문장의 달리지 않아도 빠르며 가지 않아도 이른다는 것은 ‘至極지극한 神신’에 대한 註釋주석이다.
* 註脚주각: 論文논문 따위의 글을 쓸 때, 本文본문의 어떤 部分부분의 뜻을 補充보충하거나 풀이한 글을 本文본문의 아래쪽에 따로 단 것. |
* 註釋주석: 낱말이나 文章문장의 뜻을 쉽게 풀이함. 또는 그런 글. |
易之道其深也, 窮極到底其幾也, 磨研幾微, 天下之志至繁也, 天下之務至廣也, 不深而淺則象志或窒而無以通之也, 不幾而差則象務或敗而無以成之也. 惟其神也故不疾而速, 謂未著而先知也. 不行而至, 謂雖遠而能見也. 疾速屬幽深, 行至屬遠近, 此皆卜筮之事也, 易之至神也如此.
朱子謂周禮三易皆掌於太卜, 易爲卜筮之書. 然聖人分明道有此四道, 且四詩皆掌於太師, 詩固有聲樂之用故然耳. 若曰詩但爲聲樂之書, 未允何以異是, 但易之用多在於卜筮, 故本義必以尙占爲解.
易역의 道도는 깊으니 그 幾微기미의 窮極궁극에 到達도달한다. 幾微기미를 硏磨연마한다는 것은 天下천하의 뜻은 至極지극히 繁多번다하고 天下천하의 일은 至極지극히 넓으니 깊지 않고 얕으면 뜻을 象徵상징함에 或혹 막혀서 通통할 수 없고, 幾微기미에 밝지 못하고 어긋나면 일을 象徵상징함에 或혹 失敗실패하여 이룰 수 없다. 오직 神妙신묘하기 때문에 달리지 않아도 빠르며 가지 않아도 이른다는 것은 드러나지 않았는데 먼저 아는 것이다. 가지 않아도 이른다는 것은 비록 멀지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고 빠른 것은 그윽하고 깊음에 屬속하고 가고 이르는 것은 멀고 가까움에 屬속하니 이는 모두 卜筮복서의 일로 易역의 至極지극한 神신이 이와 같다.
朱子주자는 『周禮주례』 “三易삼역은 모두 太卜태복에게서 管掌관장되었다”고 하였으니 易역은 卜筮복서의 冊책이다. 그렇지만 聖人성인은 道도에는 이 4가지가 있다고 나누어 밝혀놓았다. 또 四家詩사가시는 모두 太師태사에게서 管掌관장되었으니 詩시는 本來본래 音樂음악의 用度용도가 있기 때문에 그러했을 뿐이나, 萬若만약 詩시가 다만 聲樂성악의 글이라고만 한다면 어떻게 이것과 다른지는 미덥지 못하다. 다만 易역의 쓰임은 卜筮복서에 많기 때문에 『周易本義주역본의』에서는 반드시 占점을 崇尙숭상하는 것으로 풀이하였다.
【윤행임(尹行恁) 『신호수필(薪湖隨筆)‧계사전(繫辭傳)』】
旡思旡爲者未發也, 故寂然不動. 感者已發也, 故遂通. 其所謂故者, 孟子言性者故也. 寂者坤也, 感者復也. 寂而感, 感而通, 通而又寂, 寂者隱也, 感而通者費也. 深者靜之根也, 幾者動之芽也. 根以藏焉, 芽以微焉. 藏則難知, 微則難見. 極者窮之也, 窮之則盡. 硏者磨之也, 磨之則精. 深靜而在心也, 故極之則萬人之志皆通. 幾動而爲事也, 故硏之則一代之務皆成. 若所謂神者, 不見其速而速, 不見其至而至, 如不言而喩者焉, 如不期而然者焉. 尋之而不得其迹, 詰之而不聞其聲. 其大也旡外, 其小也旡內, 孟子所謂聖而不可知之之謂神, 亶如斯歟.
생각도 없고 함도 없음은 發발하지 않을 때이기 때문에 고요해서 움직이지 않는다. 感應감응은 이미 發발한 것이기 때문에 드디어 通통한다. ‘故고’라고 한 것은 『孟子맹자』의 “性성을 말함은 現狀현상일 뿐이다”이다. 고요함은 坤卦곤괘(䷁)이고 感應감응은 復卦복괘(䷗)이다. 고요하다가 感應감응하고 感應감응하여 通통하며 通통하다가 또 고요하니 고요함은 隱微은미함이고 通통함은 쓰여짐이다.
깊음은 고요함의 뿌리이고 幾微기미는 움직임의 싹이다. 뿌리로 감추고 싹으로 隱微은미하다. 감추면 알기 어렵고 隱微은미하면 보기 어렵다. 極극은 窮極궁극이니 窮極궁극까지 하면 다 마친다. 硏연은 가는 것이니 갈면 精微정미롭다.
깊음은 고요해서 마음에 있기 때문에 다 마치면 聖人성인의 뜻을 모두 通통한다. 幾微기미는 움직여서 일이 되니 硏磨연마하면 한 世代세대의 일을 다 이룬다. 神신이라고 이른 것은 빠름을 보지 못했는데 빠르고 이름을 보지 못했는데 이름이니 말하지 않고도 깨우침과 같고 期約기약하지 않고도 그렇게 됨과 같다. 찾아도 그 자취를 얻을 수 없고 따져도 그 소리를 들을 수 없다. 커서 그 밖이 없고 작아서 그 안이 없다. 孟子맹자가 말한 聖성스러우면서도 알 수 없는 存在존재가 神신이란 것이 眞實진실로(亶단) 이와 같을 것이다.
重言聖人之道四焉者, 以結上文之意, 蓋詠歎極美之言也. 此章言心體, 五章言性, 夫子言心性, 惟於此乎見.
聖人성인의 道도가 넷이 있다고 거듭 말함으로써 윗글의 뜻을 맺었으니 至極지극한 아름다움을 길이 讚歎찬탄하는 말이다. 이 章장은 心體심체를 말했고 五章5장은 性성을 말했으니 孔子공자가 心性심성을 말함이 오직 여기에서 보인다.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夫易 聖人之所以極深而研幾也, 唯深也,故能通天下之志, 唯幾也, 故能成天下之務, 唯神也, 故不疾而速, 不行而至, 子曰 易有, 聖人之道四焉者, 此之謂也.[幾音機下同]
『易역』은 聖人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살피는 것이니, 깊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할 수 있으며, 幾微기미이기 때문에 天下천하의 일을 이룰 수 있으며, 神妙신묘하기 때문에 달리지 않아도 빠르며 가지 않아도 이른다. 孔子공자가 말하였다. ““『周易주역』에 聖人성인의 道도 네 가지가 있다”는 것은 이것을 말한 것이다.
極深言究極其精深也. 未有究深而不能通志者也. 研幾言研審其幾微也. 未有審幾而不能成務者也. 通天下之志者, 卽指受命如嚮也. 成天下之務者, 卽指成文定象也. 不疾不行卽寂然不動也. 而速而至卽感而遂通也.
極深극심은 精微정미로움을 極度극도로 硏究연구함을 말한다. 깊이 硏究연구하지 않고 通통할 수 있는 者자는 없다. 研幾연기는 幾微기미를 硏究연구하고 살피는 것이다. 幾微기미를 살피지 않고 일을 이룰 수 있는 者자는 없다. 天下천하의 뜻을 通통한다는 것은 命令명령을 받음이 메아리와 같음이다. 天下천하의 일을 이룬다는 것은 글을 이루고 象상을 定정함이다. 달리지 않아도 가는 것은 고요함의 本體본체이고 달려서 이르는 것은 느껴서 드디어 通통함이다.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8절
p.355 【經文】 =====
右第十章
右, 第十章.
右는 第十章이라.
以上이상은 第十章제10장이다.
中國大全
p.355 【本義】 =====
此章承上章之意言易之用有此四者
此章, 承上章之意, 言易之用, 有此四者.
此章은 承上章之意하여 言易之用이 有此四者하니라.
이 章장은 윗 章장의 뜻을 이어 『易역』의 쓰임에 이 네 가지가 있음을 말하였다.
韓國大全
【송시열(宋時烈) 『역설(易說)』】
參伍以變錯綜其數者, 指後天洛書之數. 縦橫左右上下皆三五也.
參삼과 伍오로 세어 變변하며 數수를 交錯교착하고 綜合종합한다는 것은 後天후천 「洛書낙서」의 數수를 가리킨다. 左右上下좌우상하가 縦橫종횡으로 모두 三3과 五5이다.
【박치화(朴致和) 「설계수록(雪溪隨錄)」】
有爲有行, 兼以言以動以制器者而言也. 問焉則以卜筮而言也.
큰일을 하고자 하거나 施行시행하고자 하는 것은 말과 行動행동과 器物기물을 만드는 것을 兼겸하여 말하였고, 묻는 것은 거북-占점과 蓍草占시초점으로 말한 것이다.
○ 言, 命龜之辭, 辭正則龜之受命如嚮. 辭正者能尙辭故也.
말은 거북에게 命令명령하는 말인데 말이 바르면 거북이 命名명명을 받는 것이 메아리와 같다. 말이 바른 것은 말씀을 崇尙숭상하기 때문이다.
○ 問焉, 以蓍問易, 尙占也. 以言, 問易而言, 尙辭也. 以言則人之受命也如嚮, 謂言則人易從也.
묻는 것은 蓍草시초로 易역에 묻는 것이니 占점을 崇尙숭상함이다. 말로써 함은 易역에 물어 말하는 것이니 말씀을 崇尙숭상함이다. 말로써 하면 사람이 命令명령을 받음이 메아리와 같다는 것은 사람이 따르기 쉽다는 말이다.
○ 問焉而以言問, 言, 以此解釋亦似無妨.
묻되 말로써 하거든. 이렇게 解釋해석해도 無妨무방할 듯하다.
○ 參伍以變錯綜其數, 謂揲蓍求卦之事. 通其變遂成天地之文, 謂成陰陽老少之畫. 極其數遂定天下之象, 謂定卦爻動静之象. 文亦象也, 故星宿謂之乾文.
參삼과 伍오로 세어 變변하며 數수를 交錯교착하고 綜合종합한다는 것은 揲蓍설시하여 卦괘를 求구하는 일이다. 變변을 通통하여 드디어 天地천지의 文樣문양을 이룸은 陰陽老少음양노소의 畫획을 이룸을 말한 것이다. 數수를 至極지극히 하여 드디어 天下천하의 象상을 定정함은 卦爻괘효 動靜동정의 象상을 定정함을 말한 것이다. 文樣문양도 象상이기 때문에 별자리를 하늘의 文樣문양이라고 한다.
○ 錯綜猶經緯也. 綜則經也, 故曰一低一昂之謂也.〈本義〉
錯綜착종은 經緯경위와 같으니 綜종이 經경이다. 그러므로 한 番번은 낮고 한 番번은 높다고 하였다.〈『本義본의』의 말이다.〉
○自揲蓍而成卦畫, 則謂之天地之文. 自卦爻而定物象, 則謂之天下之象.
揲蓍설시해서 卦畫괘획을 이루면 天地천지의 文樣문양이라 이른다. 卦爻괘효로 物象물상을 定정하면 天下천하의 象상이라 이른다.
○ 天地之文, 以卦爻陰陽言. 天下之象, 以象其物宜言. 陽爲天文, 陰爲地文, 以陰陽卦爻言.
天地천지의 文樣문양은 卦爻괘효의 陰陽음양으로 말하였다. 天下천하의 象상은 그 物件물건의 마땅함을 象徵상징한 것으로 말하였다. 陽양은 天文천문이고 陰음은 地文지문이니 陰陽음양의 卦爻괘효로 말하였다.
○ 未判者謂之天地之文, 已判者謂之天下之象.
아직 갈라지지 않은 것은 天地천지의 文樣문양이고 이미 갈라진 것은 天下천하의 象상이다.
○ 通其變, 以揲蓍成卦而言也. 極其數, 以卦爻老少定動静而言也.
變변을 通통함은 揲蓍설시하여 卦괘를 이루는 것으로 말하였다. 數수를 至極지극히 함은 卦爻괘효의 老少노소로 動靜동정을 定정한 것으로 말하였다.
○ 深故包含衆理. 能通天下之志, 幾故辨之於早, 能成天下之務. 幾深之著處
깊기 때문에 많은 道理도리를 품고 있어서 天下천하의 뜻에 通통할 수 있고, 幾微기미를 알기 때문에 일찍 分別분별하여 天下천하의 일을 이룰 수 있다. 幾微기미는 깊은 것이 드러난 곳이다.
○ 幾者, 變之漸.
幾微기미는 變化변화의 漸次점차이다.
○ 易道至精, 故極深, 易道至變, 故研幾.
『易역』의 道도는 至極지극히 精微정미하기 때문에 至極지극히 깊고 『易역』의 道도는 至極지극히 變化변화하기 때문에 幾微기미를 硏究연구한다.
○ 此章第一節分言辭變象占. 第二節第三節合說辭變象占, 而辭變象皆因占見, 故專以占言. 第四節承上言四者變化皆岀於自然, 而非人作爲之意也. 第五節第六節言易道如此, 故聖人所以極深而研幾也. 第七節結之以首章之意也.
이 章장의 第一節제1절은 辭變象占사변상점을 나누어 말하였다. 第二節제2절과 第三節제3절은 辭變象占사변상점을 合합해 말하였는데, 辭變象사변상은 모두 占점을 通통해 드러나기 때문에 占점으로만 말하였다. 第四節제4절은 윗글을 이어 네 가지의 變化변화가 모두 自然자연에서 나온 것으로 사람이 作爲작위한 뜻이 아님을 말하였다. 第五節제5절과 第六節제6절에서는 易道역도가 이와 같기 때문에 聖人성인이 깊음을 다하고 幾微기미를 살핀다는 것을 말하였다. 第七節제7절에서는 一章1장의 뜻으로 맺었다.
【심취제(沈就濟) 『독역의의(讀易疑義)』】
至精至變至神者, 精而變變而神也. 變之居中者, 變而後化之意也. 化者渾包周旋之意也, 變者致曲旁通之謂也. 不爲致曲而極其變通, 則何以泛應周旋乎. 此猶陰陽不體乎剛柔, 五行則何以成陰陽變化之功乎.
至極지극한 精微정미로움과 至極지극한 變化변화와 至極지극한 神妙신묘함은 精微정미로와야 變化변화하고 變化변화해야 神妙신묘하다. 變化변화가 그 中間중간에 있는 것은 變변한 뒤에 化화한다는 뜻이다. 化화라는 것은 合합해 包容포용하여 두루 도는 뜻이다. 變변은 曲盡곡진함을 이루어 곁으로 通통함을 말한다. 曲盡곡진함을 이루어 變通변통을 至極지극히 하지 못하면 어떻게 널리 呼應호응하고 두루 돌겠는가? 이것은 陰陽음양이 剛柔강유를 本본받지 않는 것과 같으니 五行오행이 어찌 陰陽음양의 變化변화의 功공을 이루겠는가?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此章承上章揲蓍求卦之意, 言易道有辭變象占四者, 而亦申明第二章之義也.
이 章장은 윗 章장의 揲蓍설시하여 卦괘를 求구하는 뜻을 이어 易역의 道도에 辭變象占사변상점 네 가지가 있음을 말했고, 또 第二章제2장의 뜻을 거듭 밝혔다.
【윤동규(尹東奎) 『경설(經說)-역(易)』】
第九章至十章, 言觀象玩辭, 觀變玩占, 設蓍求卦之法, 明神之用.
第九章제9장에서 十章10장까지는 卦象괘상을 보고 卦爻辭괘효사를 玩味완미한다. 變변함을 보고 占점을 玩味완미한다. 蓍草시초로 卦괘를 求구하는 法법을 設計설계하고 神신의 쓰임을 밝힌다.
四營而成易, 明來知德以謂營求也. 以四求. 如老陽數九, 以四求之, 則其策三十六. 老陰數六以四求之, 則其策二十四, 餘倣此. 其解四營之義, 恐爲得且四揲之後得成九六七八之數, 其義似分明可取. 右自第九章至十章.
‘네 番번 經營경영해서 易역을 이룸’은 明명나라의 來知德래지덕은 經營경영함은 求구함이니 四4로 求구함을 말한다고 하였다. 老陽노양의 數수는 九9인데 四4로 求구하면 그 策數책수는 三十六36이고 老陰數노음수 六6인데 四4로 求구하면 그 策數책수는 二十四24인 것과 같으니 나머지도 이와 같다. 그 네 番번 經營경영하는 뜻을 풀면 아마도 네 番번 센 뒤에 九9,六6,七7,八8의 數수를 얻으니 그 意味의미를 分明분명히 取취할 수 있다. 以上이상은 九章9장에서 十章10장까지이다.
*****(2024.05.10.)
* 出處: daum, Naver, Google, 바이두, 한국주역대전(韓國周易大全)DB, 한국경학자료시스템 등 |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전(繫辭傳) 총 1,653건의 硏究연구성과가 있습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전(繫辭傳)%3a편명 |
주역대전 > 십익 > 계사상전:제10장 총 8건의 硏究연구성과가 있다. http://waks.aks.ac.kr/rsh/dir/rdirItem.aspx?rptID=AKS-2012-EAZ-2101_BOOK&rshID=AKS-2012-EAZ-2101&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0장%3a편명%24繫辭上傳:제10장(第十章)%3a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4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0장%3a편명%24繫辭上傳:제10장(第十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5_004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5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0장%3a편명%24繫辭上傳:제10장(第十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5_005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6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0장%3a편명%24繫辭上傳:제10장(第十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5_006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7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0장%3a편명%24繫辭上傳:제10장(第十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5_007 |
주역대전 : 繫辭上傳:제10장(第十章)_8절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2-EAZ-2101&callType=dir&dirRsh=주역대전%24십익%24계사상전:제10장%3a편명%24繫辭上傳:제10장(第十章)%3a&dataID=AKS-2012-EAZ-2101_DES@075_008 |
- DAUM 뉴스 실시간 국제 뉴스 https://news.daum.net/foreign/#1 |
국제 뉴스 채널A/가슴 2발 복부 1발…LA 경찰 과잉 대응 논란 뉴시스/라이칭더 차기총통, 20일 취임사서 "中臺 간 '현상유지' 촉구" 세계일보/AI 시대 양강의 '동상이몽'… MS, 자체개발 AI칩 출시·AMD칩 적극 사용, 엔비디아는 부지 매입하며 R&D 강화 나서 뉴시스/누벨칼레도니 유혈 시위 속 프랑스 정부는 '틱톡' 차단…왜? SBS/해상통로 열렸지만 역부족…인질 3명은 시신으로 뉴시스/후티반군, 홍해서 파나마 선적 유조선 미사일로 공격 뉴스1/아프간 중부서 홍수로 최소 50명 사망…구조하던 헬기도 추락 뉴시스/필리핀 대통령, 중국 겨냥 "우리영토 강력히 수호하겠다" 한국경제/'尹+바이든+기시다' 100% 못 넘네…낮은 지지율 이유 있었다 뉴시스/"유로존 인플레율, 내년 2% 목표까지 하락" ECB 부총재 서울경제/투표하면 맥주·빵 공짜···생필품·핸드폰 선물 공세도 합법인 '이 나라' 뉴시스/이스라엘 요르단 강 서안 제닌 난민촌 공습 YTN/명품 제국 넘어 도시 만든다...부동산 뛰어드는 럭셔리 기업들 전자신문/“男→女→男?”…러 최초 성전환 정치인, 다시 남자로 돌아간다 연합뉴스/미, 이란과 '중동 확전 방지' 논의…이란 핵 우려도 전달 뉴시스/“미 국방부, 신 우주전쟁(News Star Wars) 능력 추진”-NYT 뉴스1/엔비디아 2% 급락,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0.69%↓ 국민일보/‘시스루룩’ 입은 김정은 딸 주애…“北 여성들 충격받아” 서울경제/“초저금리 시대 끝났다”···빚더미 사회 ‘폭탄’ 터지나 뉴스1/보먼 연준 이사 “금리 인상 배제하지 않고 있다” 뉴시스/'이제는 나토' 스웨덴, 대러 억지력 키우나…美 핵무기 배치 시사 문화일보/러, 우크라 북부지역 요충지 10곳 점령 문화일보/美 “이 라파지상전 승리 어렵다” 재차 반대 연합뉴스/中방첩기관, 연일 '해외스파이 주의보'…서방 경계령에 맞대응? 뉴시스/홍콩 증시, 中 경기지원 기대에 상승 개장…H주 0.2%↑ 오마이뉴스/미국 보스턴에서 '탈북자'를 만나다 한겨레/유대계 미 정보장교 사임 “가자전쟁 참상에 부끄러움과 죄책감” 뉴시스/버니 샌더스 "이스라엘에 900㎏ 폭탄 지원은 어리석은 짓" 뉴시스/"이스라엘, PA에 라파 교차로 운영 비공식 참여 제안…팔 거절" 뉴스1/日 7대 자동차 매출 사상 최대…엔저 훈풍+하이브리드 인기 세계일보/‘여성 폭력 전염병’에 분노한 호주…‘학교 교육‘이 해결할 수 있을까 이데일리/브라질 홍수 사망자 136명으로 늘어…이재민 53만여명 한국경제/"여드름팩" 해명 안 듣고 퇴학시킨 학교, 결국 13억 배상 중앙일보/'2m 폭풍성장' 트럼프 막내아들, 하루만에 뒤집힌 정계진출 전말 뉴시스/'LA서 한인 남성 사살' 연루 美 경관 신원 특정 YTN/조태열 외교장관 내일 방중...왕이 외교부장과 회담 세계일보/트럼프 “대통령 재선되면 전 계층 세금 감면” 지디넷코리아"트럼프 재집권 시 자동차‧배터리 등 韓 제조업 타격" 한겨레/러, 우크라 북동부로 지상군 전투 확대…전쟁 중대 국면 맞나 뉴시스갈라진 전시 내각…네타냐후, 군사·안보 수뇌부와 충돌 이데일리/커피 덜 마시고, 햄버거 덜 먹었다…이유 보니 서울경제/정년퇴직은 옛말···일흔에도 일하는 세계 연합뉴스/"미국, 라파 침공 막으려 이스라엘에 민감 정보 제공 등 제안" 조선일보/한국인 작가의 ‘도발’, 워싱턴 명물로 시사저널/美 보란 듯 ‘밀착’ 시진핑 만난 마크롱…‘강력한 유럽’ 외친다 아시아경제/수정헌법 1조냐, 국가 안보냐...틱톡 vs 미국 세계일보/중국, 유럽서 활로 찾나… 시진핑 유럽 3개국 순방 의미는 세계일보/“文, 북한에 양보하려 해 北美정상회담 때 의도적 배제…美우선외교 사례" 아시아경제/이스라엘이 포위한 라파, 최후의 보루로 불리는 이유 아시아경제/대나무에 흘려먹는 국수 日 '나가시 소멘'…기자가 만들었다 한겨레21/“한반도에 미군을 더는 인질로 붙잡아둬서는 안 된다” 뉴스1/이스라엘과의 관계 악화 피하기…'모순 보고서' 탄생 연합뉴스/2차대전 참전 미 병사 29명, 사후 79년만에 '퍼플하트' 훈장 아시아경제/"강아지·고양이는 많아"…'늙고 지친 대륙' 유럽 저출산에 한탄한 교황 세계일보/머스크 ‘10일 번복’의 법칙… 500명 해고→“5억달러 투자” 국민일보/러, 하르키우 기습 공격 …美, 우크라에 무기 추가 지원 시사저널/트럼프 “주한미군 철수”…‘D-6개월’ 美 대선, 한반도 흔든다 채널A/이번 주말 통신 장애 가능성…‘태양 폭풍’ 때문 세계일보/日 항복 이틀 전 전사한 미군… 79년 만에 훈장 추서 전자신문/투명망토 쓴 거울도시?…사우디가 공개한 '네옴' 새 이미지 JTBC/이스라엘-하마스 협상 '무산'...계속되는 시위, 들불처럼 번지는 이유? 뉴스1/유엔총회, 팔레스타인 정회원국 자격 인정 결의 채택…이 "부끄러운 일" 뉴스1/고금리 장기화 우려, 비트코인 3% 급락…6만달러 턱걸이 머니S/10년 바친 라인인데… 동요하는 네이버·라인 직원들 뉴스1/바이든 정부 "이스라엘, 美무기 사용시 국제법 위반 소지" 머니투데이/"내년에도 버핏을 만났으면"…직접 가 본 버크셔 주총 아시아경제/기네스북 오른 100세 약사 할머니…최고령 '현역' 뉴시스/트럼프 성추문 재판 판사, 핵심 증인에 "트럼프 비방 말라" 경고 YTN/아르헨티나 첫 북한 인권 세미나...국제사회 관심 촉구 연합뉴스/나이 들어가는 노동자 3억명…중국 농민공 문제 뉴시스/뉴욕 증시, 금리인하 기대에 상승세 지속…다우 0.44%↑ 나스닥 0.48%↑ 뉴시스/1~3월 해외 대중투자 56%↓…"내수부족에 둔화" 연합뉴스/英대헌장 유리덮개에 망치질…80대 환경운동가들 시위 뉴시스/중국, 수출통제 대상 추가 미국에 반발 보복 경고 이데일리/“주말도 일해! 난 애 생일도 몰라” 中대기업 임원 ‘갑질’ 발언에 사임 뉴시스/"러시아군, 하르키우주에 진입…국경서 1km 안" 우크라이나 참모본부 매일경제/이러니 다들 미국주식 사지…200조 풀어 ‘품절주식’ 만든 빅테크 뉴시스/러시아군, 동북부 '완충지대' 만들기 위해 하르키우주 공격 강화 뉴시스/2023년도 일본 경상수지 25.3조엔 흑자·179%↑…"자원가격 진정" 아시아경제/18살 트럼프 막내 아들, 정계입문..."정치에 큰 관심" 세계일보/커지는 트럼프 리스크에 독일 "안보 비용 더 많이 분담" MBN/하루가 멀다하고…세네갈·튀르키예서 이틀 새 세 건 보잉 사고 노컷뉴스/코넬大총장도 '반유대주의' 논란에 사퇴…하버드·유펜 이어 연합뉴스/속터진 바이든…몇달째 참다참다 네타냐후에 '최후통첩' 뉴시스/우크라, "F-16 전투기 5월에는 못들어오나 7월에는 꼭 와" SBS/'한반도' 로고 지우고…4년 만에 다시 연 평양 하늘길 SBS/80년 된 구식 전차 등장…푸틴 또 서방 향해 '핵 위협' 쿠키뉴스/北, 남한이 22억 들인 ‘금강산 소방서’ 무단 철거 SBS/'총격 사망' LA 한인 유족 "경찰관 기소해야" |
08:36문화일보/유엔총회 “팔레스타인, 유엔 정회원 가입자격 충분하다” 08:35뉴스1/"미국 중국산 전기차 관세 25%에서 100%로"-WSJ 08:30아시아경제/[기업&이슈]라인 한일전…굴욕 도화선은 조인트벤처 08:22조선일보/美 뉴욕대 학생 ‘北 찬양’ 영상 공개되자…“좋으면 직접 가봐” 비난 폭주 08:16연합뉴스/MS, 웹 기반 모바일 게임 스토어 7월 출시…애플·구글 겨냥 08:13문화일보/트럼프, 싱가포르 회담서 문재인 의도적으로 배제 08:03국민일보/“주말 쉴 생각 말고 24시간 대기해” 中바이두 부사장 사임…‘노이즈 마케팅’ 의혹도 08:02프레시안/네타냐후 "홀로 서겠다"…미 '무기 제한' 경고에 정면 반발 08:02뉴스1/美 정치 일타강사 "바이든 재선 성공 여부, 연착륙에 달렸다" 08:00JTBC/이스라엘-하마스 협상 '무산'...계속되는 시위, 들불처럼 번지는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