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골수는 뼈의 안쪽 공간에 위치한 유연한 조직이다. 또한 골수는 성인의 대부분의 혈액을 생성하는 조혈 기관이기도 하다. 골수는 구성 세포의 비율에 따라 적골수와 백골수로 구분된다. 적골수는 대부분 조혈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고, 백골수는 대부분 지방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조혈이 정지되면 지방조직으로 대치되어 황색이 된다. 황골수/백골수)
1. 뼈의 구조 - 골막, 골질, 골수 등으로 구성
① 골막 (periosteum)
- 연골로 덮힌 뼈의 관절단 표면을 제외한 모든 뼈의 표면을 싸고 있음
- 근육이나 건이 뼈에 부착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줌
- 강한 결합조직의 막으로 혈관과 신경이 많이 분포되어 뼈에 영양을 공급, 뼈 보호
→ 뼈의 재생에 중요한 역할(골절시)
② 골질 (osteoid)
- 골질은 치밀질과 해면질의 두 조직으로 되어 있음
- 외부에 있는 치밀질 : 골세포와 기질로 조밀하게 구성
주로 혈관이나 신경이 통하는 관인 하버스계로 구성
- 내부의 해면질 : 스펀지처럼 구멍이 많은 골소강들이 서고 얽혀있는 망상 구조
그 속에 조혈기관인 골수가 있음
③ 골수 (bone marrow)
- 골수에는 적골수와 황골수가 있음
- 적골수는 조혈작용, 성인의 장골의 골단·단골 및 편평골의 해면질 내에 있음
- 황골수는 적골수의 조혈작용이 중지되어 주로 지방으로 대치된 상태의 골수로 성인의 장골의 골간에서 볼 수 있음
출처 : 하이닥(www.hidoc.co.kr)
골수는 뼈 안에 있는 스펀지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 조직으로 흉곽뼈·두개골·엉덩이뼈·늑골과 척추뼈 안에 있으며 골수에는 신체의 혈액세포를 만드는 조혈모세포들이 존재합니다.
조혈모세포로부터 만들어지는 혈액세포에는 감염에 대항하는 백혈구, 산소를 운반하고 조직과 기관으로부터 폐기물을 제거하는 적혈구, 혈액을 응고시키는 혈소판들이 있습니다.
태아에서의 조혈 (embryo and fetal hematopoiesis)
1) 중아세포기(mesoblastic period)
혈구생성(hematopoiesis)은 14-19일된 embryo의 난황난(yolk sac)에서 시작된다.
2) 간성조혈기(hepatic hemopoiesis)
적혈구 및 골수구 생성이 제 6주에는 태아의 간에서, 12주가 되면 비장에서 관찰된다. 5개월까지 적혈구생성에 비하여 골수구 생성은 매우 적다. 림프구 생성은 제 17주부터 동맥 주위 림프구 대에서 주로 일어나게 되며 일생동안 계속된다. (제 8주에 림프총, 제 9주에 흉선, 제 12주에 림프절에서 발견됨). 거핵구는 임신 5~6주에 난황낭에서 처음 관찰되며, 제11주에는 혈액에서 혈소판이 보인다.
3) 골수조혈기(medullary hemopoiesis)
제 29주가 되면 적혈구 생성 및 골수구 생성이 골수에서 주로 일어난다. 이 때부터 전생애 동안 골수는 조혈의 주요장기가 된다. 태생 20주까지 골 수질부위(medullary space)에서는 조혈전 간질(prehemopoietic stroma)만 관찰된다. 제 22주부터는 골수의 혈구생성이 왕성해져서 모든 계통의 세포가 출현한다.
골수의 구조
출생시에는 골수가 유일한 조혈기관이며 4세까지는 거의 모든 골수강(marrow cavity)에 지방세포가 거의 없는 적색골수이다. 그러나 성인이 되면 두개골, 늑골, 흉골, 견갑골, 쇄골, 척추골, 골반, 상완골과 대퇴골 일부에서만 혈구가 생성된다. 또한 이들 조혈기관의 골수도 약 50%는 지방조직으로 대치되어 있다. 각종 질환 상태에서 조혈세포가 차지하는 비율 즉, 세포충실도(cellularity)가 변하게 되며(정상 성인은 50%) 간이나 비장과 같은 골수외 조혈(extramedullary hematopoiesis)이 나타날 수도 있다.
골수는 우리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하루에 적혈구 2천억개씩을 생산하는 아주 활발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골수는 spongy bone 사이에 있으며 혈관, 신경, 망상세포, 섬유, 지방세포 및 조혈세포(haemopietic cell) 및 림프구를 포함한다.
요약> 태생 6주부터 간에서, 12주에서는 비장, 29주에는 골수에서, 이때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골수에서 조혈기능을 한다. 출생부터 4세까지는 지방세포가 거의 없는 적골수이지만 성인이 되고 나서는 50%가 된다. 또한 일부에서만 혈구가 생성된다.
|
요약 |
뼈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이다. 대부분의 적혈구(red blood cell)와 백혈구(white blood cell)가 여기서 만들어진다 |
|
| | |
본문 |
적혈구나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세포를 만들어 공급하는 조직이다. 많은 줄기세포가 있고, 이들이 계속 분열하고 발달하여 혈액세포가 된다. 또한 뼈를 구성하는 줄기세포도 가지고 있다. 면역체계를 담당하고 있는 백혈구를 생산하기 때문에 면역체계에도 매우 중요한 조직이다.
골수의 종류 골수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적색골수(red marrow)이고 나머지 하나는 황색골수(yellow marrow)이다. 적색골수는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platelet)을 만들고, 황색골수는 일부의 백혈구를 만든다. 적색골수는 적혈구를 생산하기 때문에 붉은 색을 띠고, 황색골수는 지방세포(fat cell)가 많아 황색으로 보인다. 성인은 평균 2.6kg의 골수를 가지며, 그 중 절반 정도가 적색골수이다. 적색골수와 황색골수 모두 많은 혈관을 가지고 있다. 적색골수와 황색골수는 서로 형태를 바꾸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초기의 골수는 모두 적색골수이지만, 나이가 들어갈수록 적색골수가 황색골수로 변한다. 또한 출혈이 심한 경우, 혈액 세포의 생산을 늘리기 위해 황색골수가 혈액을 활발히 만드는 적색골수로 돌아간다.
골수의 줄기세포(stem cell) 골수는 두 종류의 줄기세포를 가지고 있다. 그 중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는 혈액세포 생산을 담당하며, 계속 분열하여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이 된다.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는 뼈를 형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와 연골세포(chondrocyte)로 분화할 수 있다.
관련 질병
악성종양이 발생하거나 균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혈액세포의 생산이 감소한다. 또한 혈액세포로 발달하는 세포에 암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을 백혈병(leukemias)이라고 부른다. 위와 같은 질병은 골수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속이 빈 가는 관을 이용하여 국소마취 상태에서 적색골수를 채취하여 검사한다. 방사선(radiation)에 노출되거나 화학요법(chemotherapy)을 받으면 골수에서 분열하고 있는 세포들이 죽어 면역체계가 약화된다. 방사선 노출로 인한 많은 증상이 이와 갈은 면역체계 약화에서 비롯된다.
골수 기증(donation)과 이식(transplantation)
골수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적합한 다른 사람의 골수를 이식 받을 수 있다. 골수는 골수검사를 할 때와 같이 가는 관을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으며, 조혈모세포를 골수에서 떨어지게 하는 약을 사용하여 조혈모세포가 혈관으로 이동하게 한 후 그 혈액을 얻어서 조혈모세포를 채취하는 방법도 있다. 이식 전에 환자의 몸에 남아 있는 조혈모세포를 약이나 방사선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적합한 조혈모세포를 이식한다. 주입된 조혈모세포는 골수로 이동하여 혈액세포 생산을 시작한다.
암 치료 시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환자의 골수에 악영향을 끼쳐 면역력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위와 갈은 치료법을 쓰기 전에 환자의 조혈모세포를 채취하고, 암 치료를 한 뒤 손상된 골수를 미리 채취해둔 조혈모세포로 복구하기도 한다.
|
조혈모세포란? 조혈모세포는 피를 만드는 줄기세포라는 뜻으로 골수나 말초혈, 제대혈 속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골수란? 피를 만들어내는 공장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곳으로 뼈 속의 가장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혈액성분(조혈모세포)을 통상적으로 골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말초혈이란? 일반 혈액검사를 위하여 피부를 통하여 채취하는 혈액과 같이 전신을 순환하고 있는 혈액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말초혈에는 아주 미량의 조혈모세포가 존재하지만 치료에 이용될 정도는 아닙니다. 그러나 특정 약물 투여를 하게 되면 뼈 속(골수)에 있는 조혈모세포가 말초혈로 흘러나올 수있기 때문에 이를 이요하여 말초혈에서 조혈모세포만 채취하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