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태양광 패널 오염
과학의 발달은 우주공간 어느 한곳도 그냥 두지 않고 오염시킨다. 높은 하늘도 인공위성태양광패널 때문에 환경오염이 심각하다 한다.
지난 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해가 지는 밤이면 하늘에 달이 천지의 어둠속에 모습을 드러냈다. 때론 반쪽으로, 눈썹모양으로 변신도 했다. 기분 좋은 날엔 두둥실 떠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기도 했다. 별들도 깜박이며 춤을 추었다. 드높고 넓은 하늘이 무대가 돼 축제장이 됐다. 심술꾸러기 구름이 춤추는 별들을 숨기며 북두칠성을, 장군별을 찾아보라며 놀리기도 했다.
그렇게 밤이면 별과 달이 춤을 췄다. 하루 종일 이런 저런 일로 허덕이며 지친 인간들을 즐겁게 해 주었다. 야행성동물에게는 길을 밝히는 등불이 되기도 그래서 깜박이는 별을 보고 껑쭝껑쭝 뛰며 춤도 추고 노래도 불렀다.
하늘 높이 총총한 별들은 그 수가 많아 이름도 가지각색이기도 하지만 이름이 없는 별들도 있다. 사람들은 밝기 또는 특성에 따라 별이름을 붙였다. 겨울 밤하늘에 가장 밝게 빛나는 별 시리우스, 매년 7월이면 오작교에서 만난다는 견우별과 직녀별, 북극 하늘에 있다는 북두칠성 (파군성 무곡성 염정성 녹존성 거문성 문곡성 탐랑성) 그리고 장군별, 아르크투루스, 스피카, 알파별, 베타별, 감마별 등 수많은 별들이 있다. 이름이 없는 별들도 적지 않다.
별과 달을 포함한 자연은 사람의 마음을 정화시켜 주고 온정을 베풀며 만물을 품는다. 또 악을 선으로 부족함을 넉넉하게 해 주기도 한다.
인간들은 그런 자연에 대해 고마움을 모르고 문명의 발달이 그저 좋은 것으로만 생각하고 새로운 물질을 무차별적으로 개발 자연을 해치는데 만 혈안이다.
안타깝게도 20세기 후반 이후 우주인터넷사업이 성행 2030년쯤이면 인공위성으로 하늘을 뒤덮어 그 인공위성들이 내 뿜는 빛 공해 때문에 천체망원경으로 하늘의 별을 볼 수 없을 지도 모른다는 비관적인 견해도 있다.
인공위성에 장착된 배터리 충전을 위해 달고 있는 태양광패널이 빛을 내뿜는다. 그 빛 장애로 2030년 뒤 쯤엔 천문학연구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라 한다.
그쯤 되면 그 아름다운 달도 별들도 보지 못하게 될 거라 한다. 아니면 둥근 보름달이 아닌, 쪼그라든 초생 달이 아닌, 우주 쓰레기로 오염덩이가 되어 알록달록하다 못해 흉물스럽게 돼 버린 달을 보게 될지? 알 수 없다 한다.
오작교에서 견우와 직녀 두별이 만나 손을 꼭 잡고 거닐며 여보 견우님 우리 일 년에 겨우 한번 만나는 것 어떻게 생각하세요? 직녀 난 이제 그게 너무 싫으니 어서 우리 함께 살아요? 그러면서 사랑을 속삭이던 그것 이제는 더 이상 볼 수 없을 것 같아 안타깝다.
그렇게 직녀와 견우별이 안타까워하며 눈물을 흘리는 것도 그놈의 인공위성 태양광패널 오염 때문에 볼 수 없는 그 날이 오는 것 눈앞이다.
인간들의 이기심은 자연마저도 아랑 곧 하지 않는다. 그 이기심이 결국 너 죽고 나 사는 게 아닌 너도 죽고 나도 죽자는 것인데 인간들은 그걸 모른다. 인간의 하는 짓 그렇게 어리석다.
문제는 자연도 화를 낸다. 자연이 화를 내면 인간의 능력으로 감당할 수 없도록 무섭다. 폭우로, 화산폭발로, 토네이도, 허리케인, 등으로 인간에게 무엇인가를 보여주며 존재감을 드러낸다. 석 달 열을 폭우만으로도 삼십일 폭설만으로도 인간을 자멸시킬 수 있는 게 자연이다. 그런 자연을 인간이 어리석게도 끝도 없이 괴롭힌다. 인간의 이기심이 그렇다.
이제 상업용 인공위성태양광패널 그만 하늘에 띄웠으면 한다. 밤하늘에 별도 달도 보지 못하는 그런 세상 상상만 해도 두렵지 않은가? 별도 달도 못 보게 될 거라니 소름이 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