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미속예술제는 2021년 시작된 최초의 시민참여형 전통예술축제로 매년 가을에 개최되며 부산무형문화
유산의 가치를 널리 전파하고 있는데 2024년 슬로건은 "바람 바람 바람"입니다^^
본인은 작년에 이어 금년 두번째로 축제를 구경하는 셈인데 매년 행사프로그램이 조금씩 달라서 보는 즐거움
도 있고, 부산역에서 지하철1호선(노포방면)을 타고 7번째역인 부전역에 내려서 10분만 걸어가면 됩니다.
축제명 : 2024 부산민속예술제
기 간 : 2024.10.26 ~ 10.27
장 소 :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민공원로 73)
[주요행사]
부산무형유산 공연/특별공연/전수학교공연/시민참여 민속놀이이벤트
개막식전공연/전통체험마당/부산민속노래자랑/초청가수공연(강혜연)
#부산시민공원 입구
1.축제안내서
2.축제장입구 풍경
3.개막식 복날리기 행사
4.식전공연
1)가야금산조(부산예술고등학교)
2)판소리(부산예술고등학교)
5.축하공연(진도 북놀이)
전라남도 진도 지방에서 전해오고 있는 북놀이로, 북을 장구처럼 비스듬이 어깨에 매고 쌍북채를 사용하여
자유로운 가락과 묘기를 변화무쌍하게 구사하는 북놀음의 일종인데, 그 유래는 모북(일명 모방고)에서 시작
하여 모북을 칠때는 삿갓을 쓰고 모꾼앞에서 북채를 양손에 갈라쥐고 북채를 지휘봉삼아 뜬포나 줄틀린 모폭
을 지적하여 북을 치며, 모소리(상사소리)에 맞추어 부르며 북놀이춤의 모심가를 하면서 피로를 느끼지 않고
작업이 진행될 때 꽹과리,징,북 등은 필수 타악기로 구성되며 모방고굿, 농작굿, 길군악굿 등에 춤사위로 곁들여
지고 북춤놀이, 북춤굿 등이 되는데서 비롯되었습니다.
6.특별공연
1)아리랑 멋 태권도
2)퓨전국악(틀에디션)
7.부산무형유산 공연
1)동래지신밟기(부산광역시 무형유산 지정 : 1977)
지신밟기는 옛날부터 전국 각지에서 주로 정초에 행해진 것으로, 그 규모와 내용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의 민간신앙적 마을굿으로 동래지역에서는 "걸립" 또는 "지신밟기한다" "덕뵈기친다"등으로 부르고
있음을 보면, 제의적 성격의 농악이라 할수 있고 마을과 가정의 벽사초복을 목적으로 하는 안택축원적 제의중
하나이며 동래지신밟기의 특징은, 그 복식에 있어서 일반적 농악대가 착용하는 채복이 아니라 주로 바지와
저고리에 쾌자 도는 두루마기를 입고 채복띠를 두르지 않으며 머리엔 농악대의; 전립대신 고깔을 씁니다.
2)다대포 후리소리(부산광역시 무형유산 지정 : 1987)
부산광역시 다대포에 전승하는 멸치 후리질소리로, 다대포는 수심이 5~7m밖에 안되는 아담한 어장으로
1960년대 초엽까지도 소규모나마 후리그물로 멸치잡이를 했었고 멸치잡이를 나갈때면 언덕위의 망대에
올라가 멸치떼의 동정을 살핀 후 짐작이 가는 데가 있으면 낫개(다대만의 동쪽에 위치)로 내려와 작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악 확인한 다음 징을 울려 신호하며, 어부들이 모여들어 그물을 배에 싣고 바다로 나가 멸치떼를
둘러싸고 그물을 친 후 해변에서 벼릿줄을 당겨 끌어올린 그물에서 고기를 털어 모으면 아낙들이 소투리로
멸치를 퍼 나르는데, 사리소리,이여사소리,산자소리,가래소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8.전수학교 공연(동래야류 : 경성대학교) 1967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
"수영야류"를 보고 1870년대 세시민속놀이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연희는 음력 정월보름에 행해지는데,
밤에 행해지는 이 놀음은 앞뒤 둘로 구분되며 앞은 길놀이, 군무, 잡희로 이루어지고 뒤는 탈놀음입니다.
탈놀음은 4대과장으로 구성되는데,
첫째과장 : 문둥이가 나와 미쳐 날뛰다가 뒤굴면서 춤을 춘다(문둥이의 원한을 표현)
둘째과장 : 하인 말뚝이가 양반들에게 불평불만을 토로하면서 양반을 모욕하는가 하면 때로는 곁말로 조롱
하기도 하며 나중엔 샌님의 대부인과 사통했다 하여 양반체면을 여지없이 손상시킨다
셋째과장 : 영노라는 괴물이 등장하여 양반을 한층 신랄하게 모욕하는데 양반은 자신이 양반이 아니라고 부인
하고 나아가서는 사람이 아닌 짐승,똥 등 온갖 것이라고 한다
넷째과장 : 영감이 첩을 얻자 본처의 시기와 질투로 인하여 본처와 첩사이에 싸움이 벌어지고 영감은 홧병으로
죽고만다
9.시민참여이벤트(오늘은 내가 전통놀이왕!!)
굴렁쇠굴리기, 제기차기, 버나돌리기 3차례의 경연을 통하여 최종 우승자를 결정하고 포상(햅쌀 20kg)
10.전통체험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