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의 파괴자 윤석열과 그 집권 세력은 즉각 물러나라!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는 주가조작, 사문서 위조와 업무 방해 등 명백한 범죄행위에도 검찰의 불기소 처분과 늑장 수사 덕에 처벌을 피하고 있다. 김건희의 국정 간섭과 농단에 더하여 윤석열과 그 집권 세력의 국가 운영은 이치에 맞지 않고 몰상식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오직 일부 검사들의 파행에 의지하여 버티고 있지만 그 파행성으로 인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을 불안과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한 마디로 윤석열과 그 집권 세력의 정권 연장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파괴, 과거 독재 망령의 소환이라고 할 수 있다.
반민주주의적 집권 세력들이 자신들의 이권을 비호하고 지배권을 유지하려 시도할 때는 심각한 내부 갈등을 유도하고 외부 분쟁을 촉발시킨다. 현재의 여러 국제 분쟁은 이를 잘 보여준다. 윤석열 정권의 행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윤석열과 그 집권 세력의 대북 강경책은 남북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는데, 이는 국지전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우리는 이미 과거 이승만 정권의 행태에서 이를 경험한 바 있다. 문제는 이로 인하여 한국 경제도 몰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한국의 상위 1퍼센트를 제외한 남녀노소 불문 모든 이에게 대대손손 피해를 끼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실행하는 결연한 세력이 집권해야만 국제 질서가 어떻게 변화하든 한국의 안보와 경제에 피해가 적다. 윤석열과 그 집권 세력을 가능한 빨리 물러나게 하는 것은 이제 대한민국의 생존을 위한 필요조건이 되어버렸다. 윤석열과 그 집권 세력의 퇴출을 촉구한다.
2024년 10월 30일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 교수연구자협의회(민교협2.0)
民主化를爲한全國敎授協議會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594-1(서울특별시 관악구 인헌동 1632-2)
1986년 3월 28일 고려대학교 교수들의 시국성명을 시발로 4월 30일까지 전국 28개 대학 783명의 교수가 시국선언에 참여했다. 5·3사태 이후 6월 2일 전국 23개 대학 교수 265명이 대학교수 연합선언문을 발표한 직후, 소장파 교수들과 1984년 복직한 해직교수협의회 교수들을 중심으로 전국 단위의 교수조직을 건설하기 위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1987년 6월 26일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창립대회는 경찰에 의해 봉쇄되었고, 정식 창립총회는 1987년 7월 21일 성균관대학교에서 열렸다. 전국 30개 대학 443명의 교수들이 위임장을 제출한 가운데, 28개 대학에서 80명이 모였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는 창립취지문에서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율이 사회의 민주화와 표리 관계에 있음을 직시하고, 이 양자의 동시 병행적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공동 노력이 절실”하다고 밝히고, 대학과 사회의 민주화를 촉진하는 공동 노력의 장으로서의 단체 결성 목적을 밝혔다.
1987년 6월 민주화항쟁 이후 민교협은 각 대학의 교수협의회 조직을 이끌었고 국립대교수협의회연합과 사립대교수협의회연합 결성을 주도했다. 회원 523명으로 출발한 민교협은 각 지역별로 9개 지역회가 있고, 그 산하에 전국 87개 대학 분회가 있다.
민교협은 조희연 상임의장 재임 시절인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김진석 사무처장을 중심으로 정규직 교수들의 자발적 임금 삭감을 논의했다. 이미 대학사회는 1997년 아이엠에프 사태와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며 신자유주의가 굉장히 빠르게 확산되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비정규 교수가 양산되며 불평등이 당시 시대를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갈등 구조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민교협은 2013년 학교 밖 독립 연구자들까지 함께하는 연구공간 ‘연구자의 집’을 개설했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는 조직 이름을 2019년 6월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 교수연구자 협의회’(이하 민교협)로 명칭을 바꿨다. ‘평등사회’와 ‘연구자’라는 단어가 새롭게 포함됐다. 1987년 창립 이후 33년간 유지해온 명칭을 바꾸는 중대한 결정을 내렸다. 조직 명칭에 ‘연구자’라는 말이 포함된 이유는 2019년 당시 1400여명의 민교협 회원 중에서 정규직 교수가 80%를 차지하는 상황을 넘어서기 위함이었다.
2019년 6월 김귀옥 상임의장은 "우리 사회 전반의 불평등 문제에 교수학술운동이 제시해야 할 방향에 대해 수년간 연구와 고민을 거듭해 왔다. 민교협의 핵심 가치를 재정립함으로써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 이후 심화된 불평등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변경안의 취지를 설명했다. 민교협은 2년 임기 공동의장 6명을 추대했고, 배재대 강명숙 교수, 서울여대 김진석 교수 3명을 상임의장으로 두었다.
https://youtu.be/P4rgvfCnib0
첫댓글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