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부 사야마선 노선도감
1. 노선 데이터
영업 km : 4.2km(니시토코로자와~세이부큐죠마에)
궤간 : 1067mm
역수 : 3개 역(니시토코로자와~세이부큐죠마에)
단선/복선구분 : 전 노선 단선
전철화 구분 : 전 노선 전철화(직류 1.5kV)
폐색방식 : ATS
전 노선이 사이타마현 토코로자와시를 지나는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계열의 지선노선으로, 현재의 세이부철도의 전신인 무사시노철도가 1929년 개업한 노선이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휴업하였으나, 1951년에 다시 부활한 노선이다. 1978년에는 종점인 사야마코역(현재의 세이부큐죠마에역) 부근에 있었던 세이부엔구장이 프로야구 세이부라이온즈의 본거지가 되어 야구장 억세스노선으로 대 개량을 실시하였다.
2. 전면전망 동영상
하행열차 동영상(니시토코로자와 -> 세이부큐죠마에)
상행열차 동영상(세이부큐죠마에 -> 니시토코로자와)
3, 역사
1929/05/01 - 무사시노철도 야마구치선 니시토코로자와~무라야마코엔 구간 개업.
1944/02/28 - 전시 불요불급노선으로 지정, 휴업.
1951/10/07 - 니시토코로자와~사야마코 구간 재개업, 사야마선으로 개칭됨. 디젤기동차로 운전 재개.
1952/03/21 - 직류 1500V로 전철화.
1979/03/25 - 사야마코역이 세이부큐죠마에역으로 개칭됨.
2010/03/06 - 이케부쿠로선에 직통하는 정기열차 설정. 평시운전간격이 15분으로 단축됨.
4. 운행 형태
사야마선 내를 왕복운행하는 각역정차가 평일 출근시간대 10분 간격, 평시 1시간당 4회, 퇴근시간대 15분 간격으로 운전된다. 그 외 주말에는 이케부쿠로 발착의 각역정차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선내 왕복운전 열차는 신2000계 4량편성이 사용되고 있으며, 예전에는 신101계/301계의 운행도 있었으나 2012년에 은퇴하였지만 그 이후 2021년 263편성이 다시 운용에 복귀하였다. 막차는 수도권 노선에 비해 빠른 편이다.(5시~23시) 2018년 3월 10일 시각표 개정 이전에는 평일에도 이케부쿠로 발착 각역정차가 설정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다수가 선내 운전열차이며 평일의 이케비쿠로선 직통열차는 각역정차 1편 뿐이다.
세이부돔에서 프로야구 개최시나 각종 이벤트가 열릴 때는 이케부쿠로선에서 직통열차가 추가되며, 그 외 신주쿠선으로의 직통임시열차도 있다. 세이부 이케부쿠로역 착발 외에도, 도쿄메트로 유라쿠쵸선 신키바역이나, 미나토미라이선 모토마치-츄가카이역 등에서도 직통열차가 출발한다. 시합종료 후에는 이케부쿠로행 외에도 지하철 직통열차가 운전된다. 이케부쿠로에서의 직통열차 대부분은 각역정차 호야행이나, 준급/쾌속 도코로자와행 등이 세이부큐죠마에까지 연장운전 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 외에도 신주쿠/혼카와고에~세이부큐죠마에 구간의 1왕복 신주쿠선 직통열차도 운행된다.
5. 운용 차량
신101계 - 선내운전 보통열차로 사용. 4량편성.
신2000계 - 선내운전 보통열차로 사용. 4량편성.
600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로 사용. 10량편성.
10000계 - 야구장 수송용 임시특급 <돔>으로 운행. 7량편성.
001계 - 야구장 수송용 임시특급 <돔>으로 운행. 8량편성.
2000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 및 주말 이케부쿠로선 직통열차로 사용. 8/10량편성.
3000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 및 주말 이케부쿠로선 직통열차로 사용. 8/10량편성.
4000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로 사용. 10량편성.
도쿄메트로 1700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로 사용. 10량편성.
도쿄메트로 1000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로 사용. 10량편성.
도쿄급행전철 505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로 사용. 8/10량편성.
요코하마고속철도 Y500계 - 야구장 수송 임시열차로 사용. 10량편성.
6. 역 일람
7. 역사진 컬렉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