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어에서는 tube가 텔레비전의 별명으로 쓰여!
Youtube(너 튜브) 명칭도 여기에서 유래
"당신 TV"라는 뜻
Cathode-Ray Tube
음극선을 이용하여 형광물질에 빛을 내는 진공관으로, 모니터나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디스플레이로 사용된다.
CRT TV의 경우 처음 개발되었던 193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텔레비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놓치지 않는 부동의 1위였으나, 1990년대 LCD의 등장 이후 2000년대 중반부터 점차 LCD를 점유하는 사람이 늘어나서 CRT 점유율이 본격적으로 줄어들더니, 2000년대 후반에 접어든 2007년엔 시장점유율이 50% 미만이 되고, 2008년에는 LCD와 점유율이 비슷해지다가 2009년 들어서 LCD에 완전히 역전당해 본격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오래 전부터, 모니터와 티비 모두에 LCD, OLED 패널이 쓰이며 더 이상 사용되지는 않는다. 사실 국내 브라운관 TV는 12년 전인 2013년을 끝으로 일찌감치 단종되었다.
■■■■■■■■■■■■■■■■■■■■■■
과거에는 텔레비전들이 모두 CRT 기반이었기에, 미국 영어에서는 tube가 텔레비전의 별명으로 쓰인다.
■■■■■■■■■■■■■■■■■■■■■■
이 용법이 현재에도 쓰인 게 유튜브이며, 이는 한국 역시 마찬가지라 연예 기사 등지에서 TV 또는 방송 프로그램을 뜻하는 관용 표현으로 브라운관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 LCD TV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는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광원을 필요로 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입니다.
패널 뒷면에 부착된 BLU(Back Light Unit)에서 발생한 빛의 양을 액정을 이용해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고, 컬러필터를 통해 색을 구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