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우이령길, 영봉
2023년 09월 28일(목요일)
산행코스 : 교현탐방지원센터(09:05) - 우이령길 - 석굴암(10:00) - 우이동탐방지원센터(11:05) - 영봉(13:15) - 우이역(14:15)
산행거리 : 14.1km
* 구파발역에서 34번 승차/ 석굴암입구 하차
석굴암, 교현탐방지원센터 들머리
부대관사인 오봉아파트
호국 쌍용사
교현탐방지원센터
우이령 고갯길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과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사이에 있는 고갯길로 1969년에 일어난 1.21사태로 폐쇄되었던 것을 2009년 7월 10일에 탐방객 수를 제한하는 조건으로 개방되었습니다.
교현탐방지원센터 0.5km, 석굴암삼거리 1.5km, 우이령(소귀고개) 2.5km, 우이탐방지원센터 4.0km
송추 121-1 이정목 해발156m
교현탐방지원센터 1.0km, 석굴암삼거리 1.0km, 우이령(소귀고개) 2.0km, 우이탐방지원센터 3.5km
송추 121-2 이정목 해발177m
교현탐방지원센터 1.5km, 석굴암삼거리 0.5km, 우이령(소귀고개) 1.5km, 우이탐방지원센터 3.0km
송추 121-3 이정목 해발208m
오봉전망대
오봉
오봉은 다섯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어서 오봉(660m)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당겨본 오봉
유격장
석굴암 방향
불이문
일주문 불이문 아래 해태상이 조각된 석교가 놓여 있습니다.
드디어 석굴암이 보입니다.
오봉아래 자리한 석굴암
사찰 홈피에 의하면『석굴암 창건은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께서 창건했다는 설도 있고, 도선국사께서 창건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고려 시대 공민왕 6년 1357년 당시 왕사(王師)였던 나옹화상이 이곳에서 3년간 수행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왕조가 개국한 후 무학대사의 제자인 설암관익(雪庵寬益) 대사가 1443년(세종 25년) 주석하면서 석굴에 지장과 나한 두 존상을 조성했으며, 1455년( 세조 원년)에는 단종왕후가 왕세자를 위해3년 동안 천일기도를 드리고, 거금 일만 냥을 시주하여 왕후원찰로 중수하였다고 합니다.
이는 양주 봉선사의 본말사지에 기록이 남아 있고. 또 1652년(효종 3년)에는 고암대사가 대웅전과 칠성각을 중수했다고도 전합니다.
이후 끊임없는 고승들이 주석하며 선맥을 이어갔으나,한국전쟁으로 소실되어, 이 가람은 일반인들에게 잊혀진 사찰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근래에 초안 스님의 불사와 기도, 그의 상좌인 도일스님을 이어 사부대중의 원력으로 현재 석굴암은 일반인들에게 나한 기도도량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라고설명하고 있습니다.
운장대
운장대는 회전하며 돌리며 소원을 들어달라고 불공을 드리는 곳인데, 회전해보려고 밀어도 회전되지 않습니다.
대웅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로살짝 들려진 지붕 추녀의 맵시가 인상적이다.이 건물은 1975년에 초안당이 지은 것으로높이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세워 제법 위엄이 있어 보입니다.
건물 중앙에는 1970년 우봉(又峰)이 쓴 대웅전 편액과주련 4기가 걸려있습니다.
수미단에는 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하고 있습니다.
나한전
내부 천정도 자연석 그대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대표적인 동굴법당으로는 경주 불국사 석굴암(국보 제24호), 군위 삼존석굴(국보 제109호),을 꼽지만, 그 외 경주 함월산 골굴사 관음전, 소요산 자재암 나한전, 밀양 여여정사 약사전, 의령 의붕사 대웅전 석굴, 울산 송운사 미타석굴, 양산 천태사 천수천안관음굴, 밀양 용두사 천경사 대웅전을 꼽을 수 있습니다.
석굴암 석조지장보살좌상(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양주 석굴암 석조지장보살좌상은 양주시 오봉산의 석굴암 내 삼성각에 봉안되어 이쓴 불상으로 조선 후기에 제작되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합니다. 2011년 3월 8일 경기도 문화재 자로 제16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높이 48cm의 보살상으로 "봉선사본말사지"에 1873년 한봉창엽과 금곡영환이 나한상과 같이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삼성각
삼성각에는 칠성, 산신, 독성을 봉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그런데 석굴암의 삼성각에는 지장보살상이 중앙에 봉안되어 있고, 산신탱과 칠성탱은 보이는데 독성탱은 보이지 않습니다.
지장보살상 뒤 탱화는 약사여래 탱으로 보입니다.1985년에 조성된 산신탱과 칠성탱과 함께 제작된 것이라고 합니다.
석조지장보살좌상
양주 석굴암 삼성각에 봉안된 석조지장보살좌상은조선 시대의 석불입니다. 2011년 3월 8일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16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양주 석굴암 삼성각에 봉안된 이 석조지장보살좌상은佛石(慶州石)이라 부르는 활석을 쪼아 만든 것으로,머리 위에 두건을 두른 피건형으로 양어깨에 두건 자락이 늘어져 있습니다.
이 지장보살좌상은 『봉선사본말사지』에1873년 戊子生 李氏進明行이 발원하여 한봉창엽과금곡영환이 나한상과 같이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이 불상을 만든 한봉창엽과 금곡영환은19세기 경기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대표적인 불화승입니다.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의 흐름을 살펴보면,18세기 중반부터 불화승에 의하여 불화의 제작과 더불어불상 제작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삼성각에서 바라본 상장능선
대적광전
아직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았는지 전각의 편액을 비어 있지만, 주불이 비로자나불인 것으로 보여 대적광전인 모양입니다.
비로자나불은 법신불이며 화엄경의 주불입니다.
법당 안에는 적멸보궁과 같이 불상을 모시지 않고, 유리벽을 통해 암벽에 조성된 비로자나불을 참배하게 되어 있습니다.
한쪽 편에는 목각 신중탱이 장엄하게 조성되어 있습니다.
목각 신중탱
적멸보궁 뒤편은 한창 불사 공사중입니다.
다선루
다선루
불이문과 상장능선
유격장
교현탐방지원센터 2.0km, 우이령(소귀고개) 1.0km, 우이탐방지원센터 2.5km
송추 121-4 이정목 해발242m
유격장에서 바라본 오봉
차량통제소
석굴암삼거리 0.5km, 교현탐방지원센터 2.5km, 우이령(소귀고개) 0.5km, 우이탐방지원센터 2.0km
송추 121-5 이정목 해발284m
오봉전망대
당겨본 오봉
우이령 사방사업 기념비
긴급재난 안전 쉼터
우이령 정상(소귀고개)인 대전차 장애물
교현탐방지원센터 3.0km, 석굴암삼거리 1.0km, 우이탐방지원센터 1.5km
송추 121-6 이정목 해발327m
교현리 3.5km, 석굴암삼거리 1.5km, 소귀고개(우이령) 0.5km, 우이동 1.0km
둘레길 121-07 이정목 해발271m
교현리 4.0km, 석굴암삼거리 2.0km, 소귀고개(우이령) 1.0km, 우이동 0.5km
둘레길 121-08 이정목 해발224m
북한산 대기측정소
상장능선 왕관봉
우이령탐방지원센터
북한산우이역 2.3km, 교현탐방지원센터 4.5km
청솔모
북한산둘레길, 소나무숲길, 왕실묘역길, 우이동먹거리마을, 우이령길구간, 우이령탐방지원센터 0.2km
때죽교
소귀교
북한산 둘레길(수유동), 우이탐방지원센터 0.6km, 우이령길(사전예약제구간)
명상의 집
용덕사 들머리
용덕사 0.3km, 신검사 0.4km, 영봉 2.7km
영봉 2.5km, 육모정고개 1.2km, 육모정공원지킴터 0.1km
용덕사 대웅보전
마애약사여래불입상
5.12m의 규모의 대형 불상인 마애약사여래불입상은 경사가 바라보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더욱 웅장해보입니다.
약 100년전 용덕사의 동자가 양각으로 새겼다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대웅보전
산신각
육모정고개
가파른 암릉을 오르니 거대한 바위가 나옵니다.
좌측 왕관봉, 오봉, 도봉산
해골바위
해골바위
해골바위
좀 까칠하지만 올라갈수 있습니다.
좌측 상장능선 왕관봉, 오봉, 도봉산
코끼리바위
코끼리바위
오봉, 도봉산, 우이암과 거북바위
헬기장
북한 69-04 이정목 해발554m
영봉이 보입니다.
상장능선에서 수락산까지 파노라마
상장능선 1봉~8봉과 왕관봉, 그 뒤로 오봉
오봉, 도봉산, 우이남능선과 그 앞으로 상장능선 왕관봉, 육모정고개, 503봉
수락산, 불암산
합궁바위와 우이역 방향
영봉
하루재 0.2km, 육모정공원지킴터 2.6km
영봉 정상과 헬기장
영봉 정상
영봉에서 바라본 인수봉 방향 파노라마
북한산 주능선
좌측 용암봉, 만경대, 백운대와 인수봉
인수봉과 우측 영장봉
영장봉, 노고산
노고산, 상장능선
하루재를 향하여 내려갑니다.
급경사 돌계단
하루재
백운대 1.4km, 북한산특수산악구조대 0.3km, 영봉 0.2km, 육모정공원지킴터 2.8km, 백운대탐방지원센터 0.7km
북한 21-01 이정목 해발440m
백운대2공원지킴터 갈림길
백운대 1.8km, 하루재 0.4km, 백운대2공원지킴터 1.4km, 백운대탐방지원센터 0.3km
저멀리 나무사이로 영봉이 보입니다.
당겨본 영봉
백운대2공원지킴터
소귀천계곡, 대동문 2.7km, 북한산우이역 1.0km, 백운대탐방지원센터 1.2km
우이동 계곡의 북한산국립공원 표지석
우이구곡 제6곡 월영담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분소
북한산우이역
첫댓글 사진 잘보고 가요
줄거운 명절 되세요
우이령길과 주변 오봉ㆍ북한산ㆍ멋진사진 잘보았구요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