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IT 김록호]
Industry Research
링크: https://bit.ly/4bYVGKf
전기전자/휴대폰(Overweight): 아이폰16 공개 전까지 Apple 서플라이체인 추천
■ 리뷰 및 업데이트: 글로벌 업체들은 양호한 주가 시현
코스피는 외국인이 3주만에 순매수 전환하며 1.3% 상승. 전기전자 대형주 증에서는 LG이노텍의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유일하게 지수를 상회했다. Apple 개발자 컨퍼런스 이후에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었음. 결과론적으로 Apple의 주가에 연동되며 아이폰 16 공개 전까지 기대감과 호실적 동반을 향유할 것으로 판단. 삼성전기 주가는 0.5% 상승에 그쳐 지수를 하회. 중국 스마트폰의 판매량 부진 속에 주가의 단기 모멘텀이 애매한 구간이라 생각. 다만, AI 관련 수혜를 감안하면 비중확대 전략은 유효하다는 판단. LG전자는 미국 데이터센터향 HVAC 수주 소식 이후에 단기 급등한 주가가 대부분 반납되었음. 2분기 양호한 실적 및 저평가 영역에도 불구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기대하는 주식 시장 분위기 속에서 상대적인 매력도가 돋보이기 어려운 구간이기 때문
코스닥은 개인이 2주만에 순매수 전환, 기관과 외국인이 모두 3주만에 순매도 전환하며 0.5% 하락. 하나증권 커버리지 중소형주는 4주 연속 지수를 하회하며 부진한 흐름이 지속되었음. 특히 비에이치는 Apple 및 LG이노텍의 양호한 주가 흐름과 상반되어 금번 조정 기간을 비중확대 기회로 도모해야 할 것으로 판단. 심텍의 주가가 8.5% 상승하며 유일하게 양호한 주가를 시현. 주력 아이템인 MCP 기판의 실적 상향 가능성이 대두되며 주가가 반응. 패키지기판 업체들 중에서 메모리 업황에 가장 잘 연동되기 때문에 실적 흐름은 가장 양호할 것으로 추정
글로벌 테크 업체들의 주가는 4주만에 우상향 방향성을 보였음. Apple은 개발자 컨퍼런스 이후에 AI 관련 기대감이 형성되며 주가가 7.9% 상승. Siri의 강화와 Open AI와의 협업 속에 아이폰 16이 공개되는 시점에는 금번 발표 때보다 향상 및 개선된 기능, 소프트웨어, 별도의 앱 등의 가능성도 상존할 것으로 생각. 아이폰 16 공개 전까지 관련 서플라이 체인들의 주가 역시 양호할 것으로 기대. 일본 및 대만 MLCC 업체들의 주가는 2주 연속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음. Computex 기간 동안 대만 쪽에서 AI PC 및 하반기 일반 서버 부문에서 수요가 양호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언급된 것이 주효했을 것으로 추정. Broadcom은 생성형 AI로 인한 연간 가이던스 상향 덕분에 주가가 23% 상승
■ 전망 및 전략: Apple 서플라이체인 전략 유효
개발자 컨퍼런스 이후에 Apple의 주가가 양호. 관련 서플라이 체인들의 주가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아이폰 16 공개 전까지는 비중확대 전략을 추천. 아이폰 16 시리즈의 초도 생산 물량이 양호하고, 판매량 여부가 확인되는 9월말~10월초까지는 시간이 4개월 가까이 남은 만큼 호실적과 기대감이 동반되는 구간이기 때문
아울러 중국 스마트폰의 4월 재고가 재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판매량은 2천만대를 하회하며 부진했음.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Apple 서플라이 체인에 대한 투자전략이 안전한 선택지라 판단
LG이노텍은 상반기 호실적과 Apple 투자심리 개선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 Apple의 AI 관련 기대감과 하반기 호실적이 유효한 구간이기 때문에 LG이노텍의 비중확대를 추천. 밸류에이셤도 부담 없기 때문에 비에이치와 이노텍 모두 동일한 투자전략이 가능
삼성전기의 24년 2분기 실적은 긍정적으로 제시되었음. 1분기 생성형 AI 관련 수혜로 믹스가 개선된 바 있는데, 해당 흐름이 2분기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 2분기 영업이익은 전분기대비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갤럭시 S24 효과 축소로 카메라모듈이 감소하는 점을 감안하면 MLCC의 개선폭이 이를 상쇄한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음. 하나증권은 스마트폰의 회복과 MLCC 믹스 개선, 온디바이스 AI 관련 수혜 등으로 삼성전기를 2024년 연중 최선호주로 추천중
LG전자는 데이터센터향 HVAC 수주로 양호한 주가를 시현. AI에 간접적으로 수혜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진 것 자체가 긍정적. 24년 2분기 실적은 견조한 가전과 TV의 회복에 VS 부문도 우려대비 양호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음. 실적 자체는 양호하고, 여전히 PBR 0.8배로 밸류에이션 부담은 적음. 견조한 실적과 저평가 영역인 점을 감안하면, 중립 이상의 투자전략이 유효해 보임
패키지기판 업체들의 2분기 실적은 메모리 업체들의 출하량 증가에 연동될 것으로 전망. 다만, 비메모리 패키지기판에 대한 회복은 불확실성이 상존. 메모리 업황에 대한 비중이 높은 심텍이 가장 무난해 보이며, 자동차용 리드프레임 매출이 증가세로 전환된 해성디에스도 추천 가능
■ 일정 및 예정: 한국 6월 수출액(20일 잠정)
6월 21일에 한국의 6월 20일까지의 잠정 수출액이 확인됨. MLCC, 기판, 카메라모듈, 리드프레임의 데이터를 점검해야 함. 전년동월대비 증가폭 확대 여부가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