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5670 아름다운 동행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강인
    2. 진달래
    3. 짝은거인
    4. 김미주
    5. 천호
    1. 주원
    2. 제니2
    3. 정물
    4. 청용
    5. 하늘색바람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초심으로
    2. 박정아2
    3. 젠슨강
    4. 아톰상문
    5. 주희
    1. 봉희
    2. 에스비
    3. 다빈치^^
    4. 홍호박
    5. 서광천
 
카페 게시글
◐―― 삶의 이야기 방 영리한 일본 까마귀
마초 추천 0 조회 232 25.03.28 20:23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5.03.28 20:32

    첫댓글
    일본은 까마귀가 인간계와 하늘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로 인식한다.어디를 가나 반지르르한
    살진 까마귀를 볼 수가 있지요.쓰레기봉투를
    부리로 쪼아 쓰레기가 사방으로 튀어나가도
    가만히 내버려 둔다.까마귀를 쫓아내고 돌을
    던지면, 까마귀는 자신을 공격한 사람을 평생
    잊지 않고 보복한다는 소문이 있어서 건드리지
    못하고 있다.

    조류 중에서 앵무새와 함께 가장 영리한 새 인
    것이다.나야 뭐 여행객이니 얼굴 기억해도 한국
    으로 귀국하면 그만인지라 ㅎㅎ 까마귀를 쫓으니
    날아가지도 않고 옆걸음질 치면서 뒤뚱거리며
    쳐다본다.우리나라는 예부터 백의민족으로서
    흰색을 좋아했다.그래서 까마귀는 색깔 때문에
    대접을 별로 받지 못했던 것이다.

  • 작성자 25.03.28 20:36

    또한 고려 마지막 충신 중 한 사람이었던 정몽주의
    어머니는 아들에게"까마귀 싸우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는 시조(時調)로써 불충한 자들과
    교제하지 말고 악을 도모하지 말라고 타일렀다.
    흔하던 까마귀가 요즈음 시골에도 그 모습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예로부터 백로는 장수를 뜻하고 또한 생김새가
    희고 우아해 여러모로 길조로 여겨 오던 새이다.
    다 아시는 이야기지만 우리는 까마귀가 나쁜
    소식을 알리는 흉조로서 어딘가에서 음모나
    꾸미고 음침하고 기분 나쁜 새로 여겨 왔지요.

    단 결~!!

  • 25.03.28 20:51

    까마귀는 烏丸(からす)라고 하지요.
    북쪽 지방에서 많이 보입니다.
    얼마나 영리하냐면 호두같은 딱딱한 열매를
    철로 위에 놓고 기차가 지나가면 쪼아
    먹는다네요.

    우리나라에서도 가끔 보이는 무궁화가
    이와테현 가로수에 늘어진 걸 보고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 작성자 25.03.28 21:06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집현전 학사 박팽년의
    충절의 시조“까마귀 눈비 맞자 흰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이 밤인들 어두우랴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고칠 줄이 있으랴“

    조선 개국공신 이직의 시조에도 까마귀가 등장한다.
    “까마귀 검다 하고 백로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 소냐.
    아마도 겉 희고 속 검을 손 너뿐인가 하노라“

    이렇듯 옛시조에 등장하는 까마귀를 언제부터
    우리는 기분 나쁜 새로 여겼다.
    정신이 회까닥 하면 까마귀고기 먹었느냐고
    핀잔을 주는데 까마귀는 억울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지요 ㅎㅎㅎ.

    조류 중에 사람의 얼굴을 기억하는 새는
    까마귀뿐인가 하노라!
    까마귀 닮은 구관조는 말도 곧잘 하지요.
    못하는 말이 없으며. 일본이나 한국이나
    까마귀는 참 영특한 동물이란 것을 부인할수
    없는 사실이지요

    아우라님~~!! 해박하신 설명 감사를 드립니다

  • 25.03.28 21:24

    불길한 상황에 어김없이 나타나는
    까마귀 많은 새들이 있지만 까마귀 같은 토종새들의 소리를
    듣는 것도 정겹습니다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새를
    인간들이 어둡게 만들어낸 게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고통도 불길함도 모두 우리가 만든다는 것은 나만의 생각이
    었으면 좋겠군요.
    토종새가 그리워 지는군요
    글 고맙습니다~^^*

  • 작성자 25.03.28 21:46

    우리에게는 까마귀는 재수 없고 시끄러운
    새이라고 생각하지만 외국에서는 까마귀의
    영리함을 인정해 주고 있지요
    우리는 흰색을 좋아하고 검은색을 싫어
    하는 민족의 습성 때문에 까마귀는 늘 어둡고
    건망증의 상징으로 여겨서 잊어먹으면
    까마귀 고기 먹었느냐 고 핀잔을 하곤하지요
    어디를 가나 흔히 보아오던 까마귀가
    언제부터인가 우리 곁에서 살아졌고.
    우리의 텃새인 정겨운 까마귀가 지금은
    그리워지기도 하지요

    살가운 댓글 감사드리며 따봉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