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게시글
*** 좋은글(스크랩)모음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4월 17일 후기/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24)
관문 추천 0 조회 27 14.04.21 18:45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4월 17일 후기

             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24)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4월 17일 후기.hwp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877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877

의 후속타입니다.

 

<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을 스물네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효주 법우와 환희장엄 법우 이렇게 두 명이 참석했습니다. 저 관문은 몸살이 나서 결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ich Nhat Hanh,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Part Three Other Basic Buddhist Teachings: Chapter Twenty-Seven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224페이지 17째 줄부터 230 페이지 밑에서 10째 줄까지입니다.

 

<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을 읽는 동안의 후기는 저희가 그 날 읽은 부분의 영어 본문과 그 번역서인 <진현종 옮김, 틱낫한 스님의 아! 붓다, 반디미디어> 의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PART THREE Other Basic Buddhist Teachings

제3부 기타 불교교리

 

CHAPTER TWENTY-SEVEN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27장 십이연기(十二緣起)

 

The second kind of condition, according to the Sarvastivadins, is called "condition for development" (adhipati-pratyaya).This can help certain seeds develop or can obstruct their development. Everyone has a seed of faith, or confidence, for example. If you have friends who water this seed in you, it will grow strong. But if you meet only favorable conditions, you will not realize how precious this seed is. Obstacles along the path can help our determination and compassion grow. Obstacles teach us about our strengths and weaknesses, so that we can know ourselves better and see in which direction we truly wish to go. one could say that the Buddha's practice of austerity was unfavorable to the development of his path, but if he had not undertaken those practices and failed in them, he would not have learned and later taught the Middle Way. When your intention is strong, unfavorable conditions will not dishearten you. In difficult moments, you will stick to your friends, fortify your convictions, and not give up.

설일체유부는 두 번째 종류의 조건을 ‘발전 조건[增上緣(증상연)]’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어떤 종자가 나타나는 것을 도와주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들은 믿음 또는 신뢰의 종자를 가지고 있다. 친구가 우리 안에 있는 그 종자에 물을 준다면, 그것은 튼튼하게 자라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다만 좋은 조건만 만나게 된다면, 그 종자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깨닫지 못할 것이다. 도리어 장애물이 결단력을 굳게 하고 자비심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는 경우도 있다. 장애물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강한 점과 약한 점을 알게 되므로 자신을 더 잘 알게 되고 정말로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도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 부처님의 고행은 당신의 도를 계발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지만, 부처님이 그런 고행을 하지 않고 또 그 고행을 통해 실패를 맛보지 않았다면, 중도를 익히지도 못했을 것이고 나중에 그것을 가르치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마음을 굳게 먹으면 불리한 조건이 닥친다 해도 용기를 잃게 되는 법이 없다. 어려운 시절을 겪으면서 우리는 친구와 더 친해지고 신념은 강화되고 포기하는 일도 없게 된다.

 

The third kind of condition is the "condition of continuity" (samanantara-pratyaya). For something to exist there needs to be a continuous succession, moment after moment. For our practice to develop we need to practice every day ? walking meditation, listening to Dharma teachings, practicing mindfulness of the four foundations in all our activities, staying with the same Sangha, and practicing the same teachings. If we put a frog on a plate, it will jump right off. If you do not practice steadily, you'll be like a frog on a plate. But when you decide to stay in one place until your practice fully develops, we can say that you have reached the state of "frog-less-ness" and have begun to practice "continuity."

세 번째 종류의 조건은 ‘연속의 조건[等無間緣(등무간연)]’이다. 어떤 것이 존재하려면 찰나에 걸쳐 부단히 연속되어야 한다. 수행에 진전을 보자면 매일 수행에 힘써야 한다. 걷기 명상을 하고, 설법을 듣고, 우리 활동의 네 가지 토대에 알아차리는 수행을 하고, 동일한 승가에 머물며 동일한 가르침을 닦아야 한다. 접시 위에 개구리를 올려놓으면, 개구리는 금방 뛰쳐나갈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꾸준히 수행하지 않으면, 개구리와 다름없이 될 것이다. 그러나 수행이 완전히 무르익을 때까지 한 곳에 머물기로 한다면, ‘개구리 같은 경박함이 없는’ 상태에 이르러 ‘지속적’으로 수행을 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urth kind of condition is "object as condition" (alambana-pratyaya). If there is no object, there cannot be a subject. For us to have confidence, there has to be an object of our confidence. When we feel despair, we feel despair about something ?our idea of the future, our idea of happiness, or our idea of life. When we are angry, we have to be angry at someone or something. According to the Buddha, all phenomena are objects of mind. When we perceive the image or sign of any phenomenon, we know that the object of our perception resides within our own consciousness.

네 번째 종류의 조건은 ‘조건으로서의 대상[所緣緣(소연연)]’이다. 대상이 없다면, 주체도 있을 수 없다. 신뢰를 가지려면 신뢰의 대상이 있어야만 한다. 실망하다고 하는 것은 그 무엇에 대해서 실망하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의 미래가 될 수도 있고, 행복이 될 수도 있고 인생이 될 수도 있다. 화가 난다고 하는 것은 누군가 또는 그 무엇인가에 대해 화가 난다는 것이다. 부처님 말씀에 따르자면, 모든 현상은 마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어떤 현상의 모습이나 표시를 지각할 때, 그 지각의 대상은 우리의 의식 안에 있다.

                                                                  ∽

 

Can we live in a way that helps us see the causes that are present in the effects and the effects that are present in the causes? When we see this way, we begin to have insight into Interdependent Co-Arising, and this is Right View. In early Buddhism, we speak of Interdependent Co-Arising. In later Buddhism, we use the words interbeing and interpenetration. The terminology is different, but the meaning is the same.

우리는 결과 속에 원인이 있고 원인 속에 결과가 있는 것을 보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일까? 이런 식으로 볼 때 연기(緣起)를 꿰뚫어보기 시작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정견(正見)이다. 초기불교에서는 연기(緣起)를 말한다. 후기 불교에서는 상즉(相卽)과 상입(相入)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용어는 다르지만, 그 의미는 다름이 없다.

 

After hearing the Buddha teach about Interdependent Co-Arising, Ananda said, "Venerable Lord, the teaching of Interdependent Co-Arising appears to be deep and subtle, but I find it quite simple." The Buddha replied, "Do not say that, Ananda. The teaching of Interdependent Co-Arising is indeed deep and subtle. Anyone who is able to see the nature of Interdependent Co-Arising is able to see the Buddha."1 once you can see into the nature of Interdependent Co-Arising, you will be guided by your insight and you will not lose your practice.

부처님이 연기(緣起)를 가르치시는 것을 듣고 난 다음 아난다는 이렇게 말했다. “세존이시여, 연기(緣起)의 가르침은 심오하고 미묘해 보이기는 하지만, 매우 간단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부처님은 이렇게 대답하셨다. “아난다여, 그렇게 말하지 말거라. 연기(緣起)의 가르침은 실로 심오하고 미묘한 것이다. 연기(緣起)의 본질을 볼 수 있는 사람은 곧 부처님을 볼 수 있는 법이다.” 일단 연기(緣起)의 본질을 들여다볼 수 있게 되면, 지혜의 인도를 받게 되므로 수행을 멈추는 일이 없게 된다.

 

1 Mahanidana Sutta, Digha Nikaya 15.

 

The teaching of impermanence is implicit in the teaching of Interdependent Co-Arising. How could we live if we were not nourished by multiple causes and conditions? The conditions that make it possible for us to exist and to change come from what is not us. When we understand impermanence and nonself, we understand Interdependent Co-Arising.

무상(無常)의 가르침은 연기(緣起)의 가르침 속에 들어있는 것이다. 다양한 원인과 조건이 받쳐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 우리의 존재와 변화를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조건은 우리가 아닌 것에서 나온다. 무상과 무아(無我)를 알게 되면 연기(緣起)를 알게 된다.

 

In this gatha, Nagarjuna links Interdependent Co-Arising with emptiness:

용수는 아래의 게송에서 연기(緣起)와 공(空)을 결부시키고 있다.

 

All phenomena that arise interdependently,

I say that they are empty.

Words come to an end, because their message is false.

Words come to an end, because there is a Middle Way.2

서로를 의존해서 생겨나는 모든 현상들

그것들을 일러 공(空)이라 한다.

말이 끊어지는 것은 그것들이 전하는 바가 거짓이기 때문이라네.

말이 끊어지는 것은 중도(中道)가 있기 때문이라네.(주2)

 

2 Mahapraj?aparamita Shastra.

주2) 대지도론(大智度論)

 

All teachings of Buddhism are based on Interdependent Co-Arising. If a teaching is not in accord with Interdependent Co-Arising, it is not a teaching of the Buddha. When you have grasped Interdependent Co-Arising, you bring that insight to shine on the three baskets (tripitaka) of the teachings.3 Interdependent Co-Arising allows you to see the Buddha, and the Two Truths4 allow you to hear the Buddha. When you are able to see and hear the Buddha, you will not lose your way as you traverse the ocean of his teachings.

불교의 모든 가르침은 연기(緣起)에 토대를 두고 있다. 연기(緣起)와 일치되지 않는 가르침이 있다면, 그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니다. 연기(緣起)를 파악하게 되면, 그 지혜에 입각해서 세 광주리[三藏(삼장)]에 담긴 가르침을 살펴볼 수 있게 된다.(주3) 연기(緣起)를 통해 부처님을 뵙고 이제(二諦)(주4)를 통해 부처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부처님을 뵙고 그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되면, 대해처럼 광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살펴볼 때 길을 잃게 되는 일이 없을 것이다.

 

3 The three baskets are Sutras (teachings of the Buddha), Vinaya (rules of conduct), and Abhidharma (systematized presentations of the teachings).

주3) 세 광주리[三藏(삼장)]는 경장(經藏-부처님의 가르침), 율장(律藏-행동의 규칙), 논장(論藏-가르침을 체계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4 See chap. 17.

주4) 17장을 보라.

 

The Buddha said that there are twelve links (nidanas) in the "chain" of Interdependent Co-Arising.5 The first is ignorance (avidya). Vidya means seeing, understanding, or light. Avidya means the lack of light, the lack of understanding, or blindness. Although ignorance is usually listed as the first link, it does not mean that ignorance is a first cause. It is also possible to begin the list with old age and death.

부처님은 연기(緣起)의 ‘사슬’에는 열두 가지의 고리가 있다고 말씀하셨다.(주5) 첫 번째 고리는 무명(無明, avidya)이다. 비드야(vidya)는 보기, 이해하기 또는 빛을 뜻한다. 아비드야(avidya)는 빛의 부재, 이해의 결여 또는 무지(無知)를 의미한다. 대개 무명이 첫 번째 고리로 등장하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명이 최초의 원인이라는 뜻은 아니다. 늙음과 죽음이 첫 번째 자리에 올 수도 있으니 말이다.

 

5 The earliest discourse in which the Buddha talked about a chain of causes was the Mahanidana Sutta, Digha Nikaya 15, although in that discourse, only nine links are given. In later teachings, the list was expanded to twelve.

주5) 부처님이 원인들로 이루어진 사슬에 관해서 언급하신 최초의 경전은 Mahanidana Sutta, Digha Nikaya 15이기는 한데, 여기에서는 9가지 고리만 등장하고 있다. 나중의 가르침에서 그 목록은 12개로 늘어난다.

 

The second link is volitional action (samskara), also translated as formations, impulses, motivating energy, karma formations, or the will to cling to being. When we have a lack of understanding, anger, irritation, or hatred can arise.

두 번째 고리는 행(行, samskara), 즉 의도적인 행동인데, 형성, 충동, 유발력, 업력 또는 존재에 집착하는 의지라고도 옮긴다. 이해가 결여되어 있으면 화와 짜증이 나거나 증오의 마음이 일어날 수 있다.

 

The third link is consciousness (vij?ana). Consciousness here means the whole of consciousness ? individual and collective, mind consciousness and store consciousness, subject and object. And consciousness here is filled with unwholesome and erroneous tendencies connected with ignorance that are of the nature to bring about suffering.

세 번째 고리는 의식[식(識, vijnana)]이다. 여기서 의식이란 개인과 집단 그리고 주체와 객체의 의식과 장식(藏識)을 망라하는 의식 전반을 뜻하는 말이다. 여기서 식은 그 본성상 고통을 낳기 마련인 무명과 연관되어 있는 건전하지 못하고 잘못된 성향들로 가득 차 있는 것이다.

 

The fourth link is mind/body, or name and form (nama rupa). "Name" (nama) means the mental element and "form" (rupa) means the physical element of our being. Both mind and body are objects of our consciousness. When we look at our hand, it is an object of our consciousness. When we touch our anger, sadness, or happiness, these are also objects of our consciousness.

네 번째 고리는 명색(名色, namarupa), 즉 이름과 형상 또는 몸과 마음이다. ‘이름’은 우리 존재의 정신적인 요소를 뜻하고, ‘형상’은 물질적인 요소를 가리킨다. 마음과 몸은 둘 다 의식의 대상이 된다. 손을 쳐다볼 때, 손은 의식의 대상이 된다. 화, 슬픔 또는 행복을 느낄 때 그것들도 역시 의식이 대상이 되기는 마찬가지이다.

 

The fifth link is the six ayatanas, which are the six sense organs (eyes, ears, nose, tongue, body, and mind) accompanied by their objects (forms, sounds, smells, tastes, tactile objects, and objects of mind). These six ayatanas do not exist separately from mind/body (the fourth link), but are listed separately to help us see them more clearly. When a sense organ comes into contact (the sixth link) with a sense object, there has to be sense consciousness (which lies within the third link). We are beginning to see how the Twelve Links inter-are, how each link contains all the other links.

다섯 번째 고리는 6처(六處)인데, 그것은 여섯 가지 감각 기관(눈, 귀, 코, 혀, 몸, 의식-육근(六根))과 그 대상(형상, 소리, 냄새, 맛, 접촉 대상, 마음의 대상-육경(六境))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6처는 명색(네 번째 고리)과 떨어져서 존재할 수 없는 것이지만, 좀 더 분명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별도의 항목을 갖게 된 것이다. 감각 기관이 감각 대상을 접촉(여섯 번째 고리)하게 되면, 감각 의식(세 번째 고리 내에 있다)이 일어나게 된다. 이제 열두 고리가 상즉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모습, 즉 각각의 고리 속에 나머지 고리가 모두 들어있는 모습을 살펴보도록 하자.

 

The sixth link is the contact (sparsha) between sense organ, sense object, and sense consciousness. When eyes and form, ears and sound, nose and smell, tongue and taste, body and touch, and mind and object of mind come into contact, sense consciousness is born. Contact is a basis for feelings. It is a universal mental formation, present in every mental formation.

여섯 번째 고리는 감각 기관, 감각 대상, 감각 의식 사이에 발생하는 촉(觸, sparsha), 즉 접촉이다. 눈과 형상, 귀와 소리, 코와 냄새, 혀와 맛, 몸과 접촉 대상 그리고 의식과 마음의 대상이 접촉하게 되면 감각 의식이 생겨나게 된다. 접촉은 느낌의 토대이다. 그것은 보편적인 정신의 형성물, 다시 말해 모든 정신의 형성물 속에 들어 있다.

 

The seventh link is feelings (vedana), which can be pleasant, unpleasant, neutral, or mixed. When a feeling is pleasant, we may become attached (the ninth link).

일곱 번째 고리는 느낌[수(受, vedana)]으로, 그것은 즐거운 것일 수도 있고 불쾌한 것일 수도 있고 중립적인 것일 수도 있고 혼합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어떤 느낌이 즐거운 것이라면, 우리는 그것에 집착(아홉 번째 고리)하게 된다.

 

The eighth link is craving (trishna), or desire. Craving is followed by grasping.

여덟 번째 고리는 갈망[애(愛, trishna)] 또는 욕망이다. 갈망에는 집착이 따른다.

 

The ninth link is grasping, or attachment (upadana). It means we are caught in the thralls of the object.

아홉 번째 고리는 집착 또는 애착[취(取, upadana)]이다. 그것은 대상의 노예가 되어있는 상태를 뜻한다.

 

The tenth link is "coming to be" (bhava), being, or becoming. Because we desire something, it comes to be. We have to look deeply to know what we really want.

열 번째 고리는 ‘존재하게 됨[유(有, bhava)]’, 즉 존재 또는 생성이다. 어떤 것을 바라면 그것이 생겨나게 된다. 따라서 깊숙이 들여다봄으로써 우리가 정말 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The eleventh link is birth (jati).

열한 번째 고리는 태어남[생(生, jati)]이다.

 

The twelfth link is old age (or decay) and death (jaramarana).

열두 번째 고리는 노령(또는 쇠약(衰弱))과 죽음[노사(老死, jaramarana)]이다.

 

Ignorance conditions volitional actions. Volitional actions condition consciousness. Consciousness conditions mind/body. And so on. As soon as ignorance is present, all the other links ? volitional actions, consciousness, mind/body, and so on ?are already there. Each link contains all the other links. Because there is ignorance, there are volitional actions. Because there are volitional actions, there is consciousness. Because there is consciousness, there is mind/ body. And so on.

무명(無明)은 의도적 행동[행(行)]의 조건이 된다. 의도적 행동[행(行)]은 의식[식(識)]의 조건이 된다. 의식[식(識)]은 몸과 마음의 조건이 된다.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나간다. 무명이 있게 되면 곧, 의도적 행동, 의식, 몸과 마음 등과 같은 다른 고리가 모두 거기에 있게 된다. 각각의 고리에는 다른 고리가 모두 들어있다. 무명이 있기 때문에 의도적 행동이 있다. 의도적 행동이 있기 때문에 의식이 있다. 의식이 있기 때문에 몸과 마음이 있다. 계속해서 이런 식으로 전개된다.

 

In the Five Aggregates, there is nothing that we can call a self. Ignorance is the inability to see this truth. Consciousness, mind/body, the six senses and their objects, contact, and feeling are the effect of ignorance and volitional actions. Because of craving, grasping, and coming to be, there will be birth and death, which means the continuation of this wheel, or chain, again and again.

5온(蘊)에는 자아라고 할 만한 것이 전혀 없다. 무명은 그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의식, 몸과 마음, 6처, 접촉과 느낌은 무명과 의도적 행동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갈망, 집착, 존재하게 됨 때문에 태어남과 죽음이 있게 되는데, 그것은 이 수레바퀴 또는 사슬이 거듭해서 계속해서 돌아간다는 뜻이다.

 

When artists illustrate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they often draw a blind woman to represent ignorance; a man gathering fruit in the jungle or a potter at work to illustrate volitional actions; a restless monkey grasping this and that for consciousness; a boat to represent mind/body; a house with many windows for the six senses and their objects; a man and a woman close to each other to represent contact; a man pierced by an arrow for feeling; a man drinking wine for craving or thirst; a man and a woman in sexual union or a man picking fruit from a tree to represent attachment or grasping; a pregnant woman for coming to be; a woman giving birth for birth; and an old woman leaning on a stick or a man carrying a corpse on his back or his shoulder for old age and death.

화가들은 12연기를 그림으로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눈먼 여인은 무명을 나타낸다. 숲에서 과일을 따는 사람 또는 작업 중인 옹기장이는 의도적 행동을 상징한다. 쉬지 않고 이것저것을 붙드는 원숭이는 의식을 나타낸다. 배는 몸과 마음을 상징한다. 창문이 여러 개 달린 집은 6처를 나타낸다. 서로를 가까이하고 있는 남자와 여자는 접촉을 의미한다. 화살을 맞은 남자는 느낌을 나타낸다. 술을 바시고 있는 남자는 갈망을 상징한다. 성교를 하고 있는 남자와 여자 또는 나무에서 열매를 따는 남자는 집착을 나타낸다. 임신한 여자는 존재하게 됨을 상징한다. 출산하는 여자는 태어남을 의미한다. 지팡이를 짚고 있는 여자 또는 시체를 나르는 남자는 늙음과 죽음을 나타낸다.     

 
다음검색
댓글
  • 14.04.21 18:47

    첫댓글 메르시~

  • 14.04.21 18:47

    ㄸㅋ 보꾸

  • 14.04.21 18:49

    비트켄슈타인이 짜증나는 일을 벌렸었습니다. 주변은 소란하고 산수는 너무 어렵고.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