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은산 주변 무명봉 다니다 주흘산 밑 지인의 팬션들러는 배회
2017/04/03
동천, 벽암, 지천, 학산, 한산
제천의 비봉산 주변을 걸으면서 청풍호(충주호)의 물이 그리는 아름다운 곡선을 감상하고자한 계획을 잡고 길을 나섭니다.
길가의 할미꽃이 봄을 알립니다.

월악산 송계계곡을 지나 월악산 신륵사 쪽의 등산로 입구인 덕산 로터리 가에 인심좋은 찻집에서 차 한잔을 마시면서 처음 산 꼭대기에서 요리를 하고자하던 수육을 만들어 갑니다. 구수한 커피향에 젖은 우리네 입맛이지만 그래도 가끔은 커피보다 누룽지 향이 우러난 숭늉이 생각나지만 이제는 가마솥의 밥도 샛노란 누룽지도 귀한 세상이 되었으니 어머니의 손길을 생각나게 하는 한낟 추억일 뿐입니다.
Pine coffee 상점은 제법 내부가 세련된 장식입니다.

옛날 수석으로 이름난 덕산 답게 멋진 석회석이 장승처럼 서 있습니다.

인심좋은 주인 아줌마의 커피 자랑입니다.

소나무와 간판이 어울립니다.

비봉산은 등산로가 폐쇄되어 옥순 대교 휴게소에 차를 세우니 다리 아래 119 구조대원들이 바쁘게 움직입니다. 누군가가 다리에서 뛰어내린 모양입니다.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삶은 언젠가 멈추게 되어 있으나 성급하게 스스로 삶을 마감할만큼 절박함이 무심한 물에 파묻힌 것입니다. 알지못할 사라짐이지만 왠지 가슴이 즈려 옵니다.

호수의 물은 흐느낌이 없이 더없이 조용하여 흐름이 전혀 없는 정지상태입니다. 구조선은 물위를 왔다갔다 하것만 아무 소리나 요동이 없는 무심한 호수일 뿐입니다.

가은산 쪽으로 무작정 길을 갑니다. 가은산 쪽이라지만 능선을 오르고 내리며 무명봉들을 넘나듭니다. 정상을 굳이 고집하지 않으면서 걸음의 옆으로 호수의 물을 끼고 목적지 없는 산행을 합니다. 숨이 가쁘면 쉬면서 정상입네 하면서 새참을 먹고, 다시 일어서서 다음으로 막혀있지 않은 능선에 짐승이 낸 길을 따라 오르내립니다.

가뭄으로 호수의 수위가 바닥처럼 보입니다.

자욱한 미세먼지는 산업 시대의 산물이 아닌가 합니다.

산과 호수, 산 그리고 우리네






소나무 사이사이로 핀 진달래는 다른 식생들을 바쁘게 합니다.


건너편의 바위 봉우리들이 부연 미세먼지를 덮어 쓴 것 같습니다.

유람선과 옥순봉 주변입니다.

옥순대교와 유람선이 어울립니다.

옥순대교의 안타까운 삶 이야기는 바위 틈바구니에서 자라는 강인한 삶과 순리의 삶을 마감한 소나무의 허물어지는 몸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합니다. 이 세상 어느 곳에나 삶과 죽음은 공존하는 것인데 슬픈 죽음이 되고, 기쁜 태어남인 것은 이상하지 않은가요. 삶도 죽음도 같은 것으로 하나의 순리이련만 스스로 자신을 마감하는 것 또한 순리라 할 수 있으리란 건 무리가 아닐까요. 태어남도 사라짐도 하나의 순리인 것을 누구나 알면서도 삶에만 집착하다 보면 둘의 공존을 인정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바위 틈바구니에서 새로이 시작하는 솔 하나나 말라 비틀어진 솔 하나나 무엇이 다를바 있을까요. 억겁의 세월 안에서. 그러나 청풍호에 스스로를 던진 삶은 안타까움입니다.
바위 틈에 자릴 잡는 솔 한그루입니다.

삶을 마감하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솔 한그루입니다.

다시 바위 위에 앉아 쉬어 갑니다.





이젠 점심시간입니다.



그래도 내려다 보이는 청풍호는 아름답습니다.

몇시간을 맴돌다 제자리로 돌아 옵니다.


귀가 도중 가 본 성덕도 본원은 건물이 우람합니다.

귀가하는 길에 지인이 조성한 팬션을 방문합니다.
손재주가 좋은 주인은 물레방아도 만들어 돌려 작은 수력 발전을 합니다.

손수 써서 내 건 간판 ' 숲 속의 맑은 향기 '



거주하는 집입니다.

팬션 전경입니다.

지인의 서예연구실 서각 솜씨 또한 놀랍습니다.

폐품을 이용한 물레방아 입니다.

주인의 해학이 들어 있는 장승도 스스로 만든 것입니다.


봄꽃이 만발입니다.


하루를 함께 할 수 있으면 모두에게 힘이 되기에
봄이 달아나도 잠시나마 잡아두어 즐거울 수 있습니다.
굳이 정상이 아니라도 쏘다닐 수 있는 산이 있기에
산의 향기에 취한 체로 하루를 보냅니다.
하루하루 봄은 오는듯 하지만 멀어져 가고
우리네가 탄 열차 또한 한참 앞으로 가고 있지만
열차 속이어서 아름다운 날을 가지자구요.
2017/04/03
경북 문경 아침도시의 산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