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오웅진 신부(사진출처/꽃동네 홈페이지) |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원회가 지난 12월 23일 성탄절을 며칠 앞두고 출범했다. 서울 창성동 정부청사 별관에서 현판식이 있었는데, 민간위원 가운데는 종교인으로 법등 스님과 오웅진 신부 등이 포함되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고 따뜻한 자유주의, 성숙한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으로 사회통합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위원장은 고건(71) 전 총리가 맡았으며, 위원회는 관계 부처 장관 등 당연직 위원 16명과 법등스님을 포함한 민간위원 32명 등 총 48명으로 구성되었다. 민간위원은 출신지역, 성별, 연령 및 활동분야 등을 균형적으로 고려했다고 전한다.
민간위원으로 참여하는 사람들 가운데 눈에 띄는 사람은 고건(71) 전 총리, 법등 스님(61), 복거일(63), 신달자(66), 최재천(55), 황석영(66), 이문열(61) 등과 오웅진 신부(64)다.
이명박 대통령은 사회통합위원회 민간 위원들과 청와대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경제를 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갈등을 치유하는 게 중요하다는 인식을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종교계 대표로 법등 스님과 더불어 민간위원으로 위촉된 오웅진 신부는 이 자리에서 "국민들에게 사회통합도 중요하지만 행복과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인공유산과 자살이 많은데 소유와 지배욕으로 우리 사회가 헝클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발언했다.
오웅진 신부(청주교구)는 1976년에 무극성당 주임신부로 재직시절 최귀동 옹(1990년 사망)을 만나면서 사회복지 분야에 투신하기 시작했으며, 이 무렵 꽃동네의 모태가 된 '사랑의 집'을 건립하고, 그 뒤 충북 음성과 경기도 가평에 '꽃동네'를 설립했다. 1997년에는 고향인 청원군 현도면에 현도사회복지대학을 설립해 초대 총장에 취임했다.
그는 사회복지 분야에 이바지한 공로로 동아일보 인촌상(1987년), 국민훈장동백장(1991년), 충북도민상, 막사이사이상(1996년)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20년 넘게 꽃동네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6.13 지방선거때의 부재자 몰표 사건을 비롯해 광산업체와의 마찰, 보조금 횡령 의혹 등이 꼬리를 물었다. 오웅진 신부는 사업 확장을 위해 그동안 이순자 여사 등 역대 대통령 영부인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오웅진 신부는 34억 원 상당의 국고보조금 등을 편취한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당시 재판부는 "국고보조금을 받아 실제로는 달리 사용한 것이 적절하지 않고 오해의 소지가 있지만 보조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꽃동네 운영을 위해 사용한 점이 인정되며, 국고보조금을 유용한 데 있어서 오 피고인이 공모한 점도 인정할 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했다.
오웅진 신부는 정진석 추기경(서울대교구장)이 청주교구장으로 재임 시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정 추기경은 오웅진 신부가 꽃동네를 창립할 당시에 가장 큰 힘이 되어 주었으며, 정 추기경의 어머니 묘소 역시 음성 꽃동네 부지에 안장되어 있다. 따라서 천주교회를 대표해서 오웅진 신부가 위촉된 것은 정부에서 정진석 추기경을 의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오웅진 신부의 사회통합위원회 민간위원 위촉에 대해 백남해 신부(마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는 "뜻밖의 일"이라며 "사회통합이란 모든 이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포용성이 있어야 하는데, 포용성은 자신의 정직함과 투명성에서 온다. 그런 점에서 오웅진 신부는 과거 꽃동네 국고보조금 편취 문제와 관련한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따라서 이번 위촉은 적절치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고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전했다.
한편 그동안 이명박 정부는 종교 편향 논란에 휩싸여 왔다는 점에서, 이번 사회통합위원회 민간위원 가운데 개신교 성직자가 포함되지 않은 것 역시 이러한 국민의 시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nahnews.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