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15장 - 낡지도 않고 새것을 이루지도 않고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夫唯不可識, 故强爲之容, 豫兮若冬涉川,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예혜약동섭천,
猶兮若畏四隣, 儼兮其若容, 渙兮若氷之將釋,
유혜약외사린, 엄혜기약용, 환혜약빙지장석,
敦兮其若樸, 曠兮其若谷, 混兮其若濁
돈혜기약박, 광혜기약곡, 혼혜기약탁.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動之徐生.
숙능탁이정지서청, 숙능안이동지서생.
保此道者, 不欲盈. 夫唯不盈, 故能蔽不新成.
보차도자, 불욕영. 부유불영, 고능폐불신성.
옛적의 道에 훌륭한 이들은 미묘현통微妙玄通하여 그 깊이를 알 수 없다. 대저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까닭에 억지로 모양을 그려보면, 신중하여 겨울 내를 건너는 것 같고 삼가하여 주위를 두려워하는 것 같고 의젓하여 손님 같고 부드러워 얼음이 녹으려는 것 같고 투박하여 통나무 같고 품이 넓어 골짜기 같으며 어두워서 흐릿함과 같다. 누가 흐린 것과 어울리면서 고요함으로써 그것을 천천히 맑게 해 줄 수 있으며 누가 가만히 있으면서 움직임으로써 그것을 천천히 생겨나게 하겠느냐? 이 道를 지닌 자는 스스로 차고자 하지 않으니 대저 스스로 차고자 하지 않는 까닭에 낡지 않으면서 새것을 이루지도 않는다.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이아무개 대담∙정리]
15. 놀이 정신
교사의 교사들은 본보기를 보여주었을 뿐이다.
교사 자신만이 자기 길을 낼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알아들을 때까지 기다린다.
자기가 얻은 결론에 이르도록 학생들을 몰아치지 않는다.
두려움이 배움터를 지배해서는 안 된다.
두려워하면서 배우는 일은 지속되지 않는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서 배운다.
어른들은 배우기 위해서 논다.
진지한 배움 속에도 놀이 정신은 있을 수 있다.
[배움의 도/파메라 메츠 풀어 씀/이현주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