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모든 것을 이룬다
흔히 ‘일체유심조’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법구경에서도 ‘모든 일의 근본은 마음이며, 마음에 따라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라고 했습니다. 불교를 마음공부라고 하는데요, 말 그대로 마음의 공부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세상 모든 것이 이 ‘마음’ 아닌 것이 없습니다.
불교에서는 세간과 출세간을 이야기 하는데요, 세간의 모든 것을 이루고 싶을 때도 마음이 주인이 되어 그 모든 것을 만들어 냅니다. 한창 유행하던 시크릿 같은 것 또한 ‘간절히 마음을 내면 이루어진다’른 메시지를 통해 많은 이들의 열광을 이끌어 내기도 했습니다. 물론입니다. 당연히 세속적인 바람이나 부자가 되는 일, 유명해지는 일, 높은 지위에 오르는 일 등에 이르기까지 그 모든 것이 마음으로 이루지 못하는 것은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삼계유심, 만법유식이라고 하여, 이 삼라만상 우주의 모든 것들과 우리의 삶은 모두가 오로지 마음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식이 펼쳐낸 것이기 때문입니다. 법성게에서는 불수자성수연성이라고 하여, 자성이라는 것은 따로 없기 때문에 자성을 따를 수는 없으며, 오로지 인연을 따라 이루어낼 뿐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부자니, 성공이니, 돈이니, 지위니 하는 세속적 성공의 모든 것들이 인연 따라 만들어진 허망한 것들 아니겠습니까?
그 모든 것들은 그저 인과법으로, 어떤 인연을 심어 주느냐에 따라 결과라는 과보가 맺어지는 것일 뿐입니다. 그러니 마음으로 어떤 마음을 일으키느냐에 따라 우주법계는 그 결과를 내보내 줄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마음이 주인이 되어 선도 행하고, 악도 행하며, 말과 행동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분명한 사실입니다. 사실 세속적인 성공이나 바라는 것을 이루는 것은 그리 대단한 일이라고 할 것도 없습니다. 그저 단순한 인연법, 인과법을 잘 쓰면 누구나 얻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다 더 어려운 것은 그렇게 인연따라 만들어진 모든 물질 현실들은 말 그대로 연을 따라 이룬 것일 뿐 고정된 실체가 있다거나 자성이 있지 않다는 것을 아는데 있습니다. 그 사실을 안다면 그 어떤 세속적인 성공을 이루고 누리며 쓰고 살더라도 거기에 매이거나 구속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두 번째로 출세간적인 해탈, 열반이나 깨달음 또한 사실은 일체유심조로써 마음이 이루는 것입니다. 그래서 불교의 수행을 마음공부라고 부릅니다. 사실 이 공부는 마음을 내는 것, 즉 발심에서 시작해 발심으로 끝난다고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해탈, 열반을 성취하고 싶은, 깨닫고 싶은, 자기 성품을 확인하고 싶은 간절한 원력과 발심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를 대승불교에서는 보리심, 혹은 발보리심, 발심이라고 부르는데요, 깨달음을 얻겠다는 간절한 원력입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수행은 오로지 간절하고 진지한 발심을 내는 것이 전부입니다.
선불교의 대표적 선사나 조사들은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간절하게 입처개진이라는 이 하나의 진실을 확인하겠다는 발심이 서 있고, 그 발심이 무르익고 익어서 더 이상 다른 세속적인 것에는 관심조차 가지 않고 오로지 이 본래면목이 무엇인지, 내가 누구인지만을 참구하다 보면 의단이 독로해지고, 결국 자기의 성품을 확인하게 되는 길이 열린다는 것입니다.
결국 출세간적 깨달음도 세간적 성공도 모두 이 마음 하나에 달려 있는 일입니다. 그리고 이 마음은 내가 주인이 되어 쓰며 사는 것입니다. 이 마음이라는 보배가 바로 나 자신에게 있는 것입니다. 이 귀하디 귀한 마음으로 여러분은 평소 무엇을 담으며, 무엇을 연습하고 계시는지요? 세속적, 출세간적 모든 것들은 오로지 여러분의 마음 위에서 드러나는 것들입니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첫댓글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새해 여섯번째 날은 내 마음을 어디에 어떻게 쓸것인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알아차림으로 대상과 아는 마음의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궁극적 특성인 무상, 고, 무아를 증득해 느낌에서 갈애로 넘어가지 않는 곳에
해탈이라는 황금의자 있는 것임을 느껴봅니다. 감사합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
마음 공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