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뜻 |
대 응 영 어 |
2액형 접착제 |
2개의 성분(주제와 경화제 또는 가교제)으로 나누어져 있고 사용 직전에 혼합되어 경화하는 접착제 |
Two component adhesive, two-part adhesive |
가교제 |
접착제 성분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3 차원의 그물 구조를 형성시키는 물질. |
Cross-linking agent |
가사시간 |
접착제가 접착 환경에 노출되어 굳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
working life, pot life |
가소제 |
접착제에 배합하여 유리 전이점이나 융점을 저하시켜 가요성을 부여하는 물질. |
plasticizer |
가열 경화형 접착제 |
가열에 의하여 경화하는 접착제. |
heat setting adhesive, heat curing adhesive |
개방 방치 시간 |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착 할 때까지 피착재를 공기 중에 방치해 두는 시간. |
open assembly time |
건식 점착성 |
용매의 휘발 또는 피착재로의 흡수에 의하여 겉보기상 건조 상태에 있어도 필요한 점착성을 나타내는 접착제의 성질. |
dry tack |
건식 접착 강도 |
온도 23 ± 2 ℃ , 습도 50 ± 5 % RH 에서의 접착 강도. |
dry strength |
건조 |
증발이나 흡수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접착제의 용매 (용제)성분의 제거됨에 따라 생기는 접착제 또는 피착재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 과정을 이른다. 예를 들어 일부 접착제는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서 접착 전에는 액체 상태이었다가 두 물체를 연결한 후 용제가 휘발되어 없어지면서 접착제는 고체상으로 변하여 접착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접착 과정을 이반적으로 건조한다고 이른다. 이에 반하여, 어떤 접착제는 용제의 성분이 전혀 없이 액체상태로 있다가 일정 조건 하에서 접착제가 중합반응을 일으켜 고분자로 되면서 고체상태로 변화 하는 접착제는 건조 되는 것이 아니라 경화된다고 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건조와 경화를 혼용하여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바로 잡아져야 한다. |
Dry |
겔화 |
증발, 냉가 또는 화학변화 등에 의하여 접착제가 액체에서 반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 |
gelation |
결함부 |
충분한 접착력을 얻는데 필요한 접착제의 양이 부족한 접합부. |
starved joint |
경화 |
물리적 작용 또는 화학 반응에 의하여 접착제의 구조가 변하여 접착 특성을 발현 시키는 과정. 액체 상태의 접착제가 중합반응을 하여 고체로 변화하는 과정 |
cure |
경화 시간 |
접착제를 경화 시키는데 필요한 시간. |
cure time |
경화 온도 |
접착제를 경화 시키는데 필요한 온도. |
cure temperature |
경화제 |
접착제의 주제와 반응하여 경화를 촉진 또는 조정하는 물질. |
curing agent, hardener |
고유 접착 |
접착제와 피착재가 분자간 힘, 수소 결합, 공유 결합, 이온 결합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접착. |
specific adhesion |
고주파 가열 접착 |
고주파의 전장에 피착재를 놓고 가열 접착하는 것. |
high frequency bonding |
고화 |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접착제의 상태가 변화하여 접착특성을 발현시키는 것. |
hardening, solidification |
구조용 접착제 |
장기간 큰 하중에 견디고 지속해서 쓸 수 있는 접착제. 연결 부위가 장기간 허용된 최대의 강도의 힘이 주어지더라도 결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는 Engineering structural application에 신뢰성을 갖고 적용될 수 있음이 증명된 접착제. |
structural adhesive |
굴곡 접착 강도 |
접착면에 구부림 응력을 가하여 접착 접합부가 파단했을 때의 강도. |
flexural strength |
기계적 접합 피착재 |
표면의 구멍에 접착제가 침입 경화하여 그 침투 효과에 의하여 결합하는 접착. |
mechanical adhesion |
기재 |
접착제를 도포하는 재료, 피착재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
substrate |
내구성 |
접착 결합의 열화 작용에 대한 저항성. |
durability, permanence |
노클랜드 법 |
가체결하지 않고 압착 작업을 하는 방법. |
clampless process |
노화 |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접착 접합부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 |
deterioration, degradation |
다월 |
조인트 구멍 안에 원주 또는 각주상의 소재 편을 넣는 접합 방법. |
dowel point |
단판 |
칼로 깎은 두께 0.2~6 mm 정도의 목재 박판. |
|
단판 적층재 |
단판의 섬유 방향을 평행으로 적층한 판 재료. |
laminated veneer lumber (LVL) |
도포기 |
롤 등에 의하여 일정량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기계. |
spreader |
도포량 |
피착재의 단위 면적당에 도포되는 접착제량. |
spread |
도프 |
시멘트 접착할 플라스틱과 같은 종류의 플라스틱의 용제 용액. |
dope cement |
독터 블레이드, 독터 나이프, 독터바 |
도포로 또는 도포면에 균등하게 접착제를 펴거나, 두께를 조절하는 도포기의 기구. |
doctor blade, doctor knife, doctor bar |
독터롤 |
도포 롤상에 공급된 접착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롤. |
doctor roll |
라텍스형 접착제 |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물에 유화 분산시킨 접착제. |
latex adhesive |
목재부 파단 |
목재의 접착 강도 시험에 있어서의 목재의 파괴. 목재부 파단율은 목재부 파괴가 생긴 전체 면적을 백분율로 표시한다. |
wood failure |
바인더 |
접착제를 구성하는 주성분. 접착제의 접착 강도는 주로 이에 의존한다. |
binder |
박리 접착 강도 |
접착면의 한 끝에 박리 응력을 가하여 접착 접합부를 파괴했을 때의 강도. |
peel strength |
반응성 희석재 |
반응형 접착제의 성상이나 성능을 개선하고 그 자체도 경화하는 저점도의 반응성 물질. |
reactive diluents |
반응형 접착제 |
화학반응에 의하여 경화하는 접착제 |
reactive adhesive |
발포형 접착제 |
겉보기상의 비중을 내리고 같은 양으로 도포 면적을 증대시키거나, 실 또는 충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스나 발포제를 배합한 접착제. |
cellular adhesive, foamed adhesive, foaming adhesive |
백화 |
접착제 피막의 표면에 흐림이 생기는 현상. |
blushing |
버트 접합 |
2개의 접착제 끝면끼리 또는 끝면과 평면을 맞붙여서 접착하는 접합 방법 |
butt joint |
보존성(저장 안정성) |
접착제가 작업성, 접착성 등의 기본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간. |
shelf life, storage life |
블로킹 |
경화된 접착제가 접촉하였을 때에 생기는 접착력을 떨어뜨려 접착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물질의 성질. |
blocking |
비파괴 시험 |
피착재를 파괴하지 않고 각종의 접착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 파괴 시험(destructive test)에 대응하여 사용된다. |
non-destructive test |
비휘발분(고형분) |
규정된 시험 조건으로 측정한 증발 잔여분. |
solid contents |
사용 가능 시간 |
도포하기 위하여 조제한 접착제가 사용 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
working life, pot life |
사접 |
각능과 상단, 하단면 이외에는 이음매를 나타내지 않는 구석 각부의 접합 방법. |
mitre |
상온 경화형 접착제 |
열을 가하지 않고 경화하는 접착제. |
room temperature setting adhesive, cold setting adhesive |
상온유동 |
일정 하중에서 접착제가 상온에서 유동 변형하는 성질. |
cold flow |
샌드위치 구조 |
두 장의 외판 사이에 심재를 끼워서 외판과 심재를 접착한 구조. |
sandwich structure |
세팅 |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보기를 들면 중합, 산화, 겔화, 수화, 냉각 또는 휘발성 성분의 휘산)에 의하여 접착 강도가 발현되는 과정. |
setting |
셋타임 |
접합된 부품이 다음 공정에서의 취급이 가능할 정도의 일정한 접착력을 발휘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set time |
수용성 접착제 |
물을 용매 또는 분산매로 한 접착제. |
water borne adhesive |
스카프 |
결합 2개의 피착재의 끝면을 접합하는 경우, 접착면이 경사되어 있는 피착재의 접합 방법. |
scarf joint |
슬라이스트 베니어 |
슬라이서로 깍은 단판 |
sliced veneer |
습윤 접착 강도 |
특정 조건 하에서 물속에 담근 시험편을 물 속에서 꺼낸 직후의 접착 강도. |
wet strength |
실링제 |
구조체의 줄눈, 간격 부분에 충전하여 방수성, 기밀성 등의 기능를 발휘하는 재료. |
sealing compound, sealant |
압력 감응형 접착제 |
상온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접착하는 접착제.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압착 |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한 것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시키는 조작 |
pressing |
압축전단 접착강도 |
압축하중으로 접착면에 전단 응력을 가하여 접합부가 파괴되었을 때의 강도 |
compressive shear strength |
애플리게이터 |
도포기기의 총칭 |
applicator |
앵커 효과 |
접착제가 피착재의 표면에 있는 공극에 침입, 고화하여, 못 또는 쐐기와 같은 일을 하는 것. |
anchor effect |
양면 도포 |
양쪽 피착재가 접착하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 |
double spread |
양생 |
접착 접합부의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 조건 하에 방치하는 것. 숙성이라고도 한다. |
aging |
어셈블리 |
접착제를 도포한 부재를 압착, 접착이 되는 상태로 겹쳐 쌓는 것. |
assembly |
어셈블리 타임 |
피착제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붙임, 압착하기까지의 시간, 폐쇄 어셈블리 타임이라고 한다. |
assembly time |
에멀션형 접착제 |
합성수지를 물에 유화 분산 시킨 접착제. 라텍스형 접착제라고도 한다. |
emulsion adhesive |
에지 접착 |
판을 옆으로 폭넓게 나열하여 접착하는 접합 방법. |
edge gluing |
오버 레이 |
각종 재료의 표면에 플라스틱, 종이, 천, 금속 박판, 극히 얇은 단판 등을 붙이는 것. |
overlay |
오버랩 |
두 개의 피착제를 접합하는 것. |
overlap |
오픈 타임 |
접착제를 피착제에 도포하고 나서 접착될 때까지의 접착 가능 시간. |
open time |
올리고머형 접착제 |
올리고머(저중합체)에 가교제, 분자고리 연장제 등을 배합하여 적당한 수단(빛, 열, 전자선 등)으로 경화 시키는 접착제. |
oligomer adhesive |
용제 접합법 |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접착면에 용제를 도포하여 접착면을 용해시켜 접착하는 방법. |
solvent cementing |
용제형 접착제 |
유기 용제를 용매로 한 접착제. |
solvent adhesive |
웰드 본딩 |
점용접과 접착의 복합 기술로 금속 접합하는 것 |
weld bonding |
유성 코킹제 |
전색제(천연유지, 합성유지, 알키드 유지)와 광물질 충전제(석면, 탄산칼슘 등)를 혼합하여 제조한 페이스트상의 실링제. 상대변위의 작은 줄눈의 실에 사용된다. |
oil based caulking compound |
응력완화 |
일정한 길이로 신장 또는 압축한 상태로 유지했을 때, 접착 접합부에 생기는 응력이 연속적으로 완화되는 현상. |
stress relaxation |
응집 |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가 분자간 힘에 의하여 결합하고 있는 상태. |
cohesion |
응집 파괴 |
겉보기상 접착층의 내부에 생긴 파괴. |
cohesion failure |
인장 전단 접착 강도 |
인장 하중에 의하여 접착면에 전단 응력을 가해 접착 접합부가 파괴되었을 때의 강도(단위 면적당 힘). |
tensile shear strength |
인장 접착 강도 |
접착면에 인장 응력을 가해 접착 접합부가 파괴되었을 때의 강도. |
tensile strength |
일액형 접착제 |
다른 성분의 첨가 없이 적당한 수단(빛,열,전자선 등)에 의하여 경화하는 접착제 |
one - component adhesive, one-part adhesive |
자기 접착 |
분자고리가 서로 확산됨으로써 물질이 저절로 접합하는 것. |
Auto-adhesion |
잔류 변형 |
열팽창 계수가 틀리는 2종류의 피착재를 접착했을 때 또는 가열 경화한 접착물을 상온으로 되돌렸을 때 생긴 접합부에 남는 변형. |
residual strain |
재활성 접착 |
피착재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한 접착층을 용매로 적시든가 또는 가열함으로써 다시 점착성을 발현시켜 접착하는 것. |
reactivation |
저장 |
안정성, 내구성 포장된 접착제가 규정된 온도와 환경 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유지하면서 저장될 수 있는 유효기간. |
storage life, shelf life |
적심 |
고체면에 액체가 퍼지는 현상. 적심이 좋은 경우는 양자 사이의 접촉각이 작고, 고체면에 액체가 퍼진다. |
wetting |
적층 |
(1) 필름상, 시트상의 얇은 재료를 겹쳐서 박층상 집적채를 만드는 조작. (2) 단판, 판재 등을 많이 중합하여 적층재, 집성재 등을 제조하는 조작. |
laminating |
적층 접착 |
판을 평행하게 상부에 겹쳐서 접착하는 접착 방법. |
laminate gluing |
전단 응력 |
접합부에 걸린 힘이 접착층과 동일면에 있을 때 생기는 응력. 인장 전단 응력과 압축 전단 응력이 있다. |
shear stress |
전단 접착 강도 |
접착면에 전단 응력을 가해, 접착 접합부가 파괴되었을 때의 강도. |
longitudinal shear strength |
절단 접착 강도 |
접착면의 한 끝에 집중응력을 가하여 접착 접합부를 파괴했을 때의 강도. |
cleavage strength |
점도 |
유동하는 물질의 내부에 생기는 저항. 전단 응력과 전단 변형속도의 비로 표 시된다. |
viscosity |
점성도 부여체 |
접착제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점도 및 컨시스턴시를 조절하기 위하여 배합하는 물질. |
thickening agent, thickener |
점착 부여제 |
접착제의 점착성을 개선하거나, 점착 유지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배합하는 물질. |
tackifier |
점착성 |
매우 가벼운 힘으로 피착재의 표면과 접촉한 직후에 결합을 형성 할 수 있는 접착제의 성질. |
tack |
점착유지시간 |
특정 온도 및 습도하에서 피착재에 도포한 접착제가 건조 상태에서 점착성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 |
tack range |
점착제 |
상온에서 점착성을 가지고, 가벼운 압력으로 피착재에 접착하는 물질.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접착 |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화학적 혹은 물리적인 힘 또는 그 양자에 의에 2개의 면이 결합한 상태. |
adhesion |
접착 강도 |
접착된 2면 사이의 결합 각도. 인장 전단 강도, 압축 전단 강도, 박리 강도 등으로 표시된다. 접착력 이라고도 한다. |
bond strength |
접착 계면 |
접착제와 피착재의 계면. |
bond line |
접착 파괴 |
접착제와 피착재의 경계면에 생긴 파괴. 계면 파괴라고도 한다. |
adhesive failure, adhesion failure |
접착제 |
물제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물체를 결합시킬 수 있는 물질. |
adhesive |
접착층 |
피착재 사이에 있는 접착재의 층. |
glue line |
접촉각 |
액체가 고체면에 접촉되어 있을 때 액면과 고체면이 이루는 각 |
contact angle |
접촉형 접착제 |
두 개의 피착재에 도포하여 용매를 건조한 후 점착성이 있는 동안에 가벼운 압력을 붙임으로써 높은 초기 접착 강도를 발현하는 접착제. |
contact adhesive |
접합 계수 |
겉보기상의 접착 강도는 피착제의 두께(t), 중합의 길이(l) 등에 따라 변하므로, t 및 l 을 변경하였을 때의 시험편 t/l 과 접착강도를 구해 놓으면 임의의 t/l 의 피착재를 접착하였을 때의 접착 강도를 산출, 추정할 수가 있다. 이 t/l을 접합계수라 한다. |
joint factor |
접합 방법 |
두개의 피착재를 접합하는 접착 방법. 단순 접합과 이중 접합이 있다. |
lap joint (single lab joint, double lab joint) |
주제 |
2성분 또는 그 이상의 반응형 접착제에 있어서 반응성 수지를 함유한 성분. |
base resin |
증량체 |
접착제의 성능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배합하는 물질. |
extender |
진공 가압 접착 |
가용성 시트를 끼워서 감압하여 피착재를 밀착시켜, 그 후 가압하여 접착하는 방법. |
vacuum air-pressed bonding |
진공백 |
내부를 감압하여, 속의 피착재를 압착시키는 연질의 포대. |
vacuum bag |
집성재 |
두께 5~50mm 정도의 판재나 소각재를 사용하여 섬유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맞추어서 접착한 재료. |
laminated wood, glued lamination board |
착사 현상 |
접착제가 부착된 표면을 분리시킬 때 생기는 무수한 실이 늘어 늘어지는 현상 |
stringiness |
초음파 접착 |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접착부에 초음파를 대고, 발열시켜 용융 접착하는 방법. |
ultrasonic bonding |
촉매 |
반응성 접착제에 첨가하여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 개시제(initiator)라고도 함. |
catalyst |
촉진제 |
경화제 또는 촉매에 작용하여 그 활성도를 높이고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 |
accelerator |
최저 조막 온도 |
에멀션형 접착제를 피착재에 도포했을 때 입자가 융착하여 연속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최저 온도. MFT로 약칭 할 수 있다. |
minimum film forming temperature, minimum filming temperature |
충격 접착 강도 |
접착면에 충격 응력을 가해 접착 접합부가 파괴되었을 때의 강도. |
impact strength |
충전제 |
접착제의 작업성, 내구성, 접착강도 등의 성질을 개량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 |
filler |
층간 박리 |
적층품의 접착 접합부의 파괴에 의한 박리. |
delamination |
치수 효과 |
접착된 시험편의 크기가 접착 강도 등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size impact |
칙소성 |
외부에서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한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 성질. 칙소성을 갖는 밀봉제 또는 접착제는 수직한 벽에 그 액체를 발라도 경화가 되는 동안 흐르거나 그 모양이 변형되지 않는다. |
Thixotropic, no sagging |
캡슐형 접착제 |
특정 성분을 보호 피막(마이크로 캡슐)에 내포하여 적당한 수단 (압력, 열 등)에 의하여 피막을 파괴할 때까지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착제. |
encapsulated adhesive |
컨시스턴시 |
액상 접착제의 변형에 견디고자 하는 성질. 컨시스턴시는 기본 특성은 아니지만 점도, 조성 등의 성질을 가짐. |
consistency |
콜 |
압착 작업시 피착제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사용하는 판 |
caul |
크리프 |
접착 접합부에 응력이 가해졌을 때 생기는 변형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 |
creep |
테넌 접합 |
접착면에 붙은 돌기부에 의하여 접착하는 접합 방법. |
tenon joint |
틱소트로피 (요변성) |
교반함으로써 점도가 저하되고, 방치함으로써 점도가 증대하는 성질. |
thixotropy |
파티클 보드 |
목재를 깍고, 파괘하여 잘게 한 것에 접착제를 가하여 열압축 성형한 판재료. |
particle board |
표면 처리 |
피착재 표면을 접착에 적합한 상태로 하기 위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 |
surface preparation, surface treatment |
프라이머 |
피착제와 접착제 또는 실링재와의 접착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미리 피착재 표면에 도포하는 바탕처리 재료. |
primer |
플러시 |
패널 목질 재료 등의 양면에 합판 등을 접착시킨 속이 빈 구조의 경량 패널. |
flush panel |
피로 접착 강도 |
접착 접합부가 무한 횟수의 반복된 응력에 대해서도 파괴되지 않는 강도를 말한다. 접착에 있어서는 실용상 10^7 회 까지의 반복된 응력을 얻을 수 있다. |
adhesive of fatigue strength |
피착재 파괴 |
겉보기상 피착재 내부에 생긴 파괴. |
adherend failure |
필름상 접착제 |
열, 압력, 용제 등에 의하여 접착시키는 필름상의 접착제, 지지체가 있는 것과 없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
film adhesive |
필릿 |
2개의 피착재의 접합점에 생기는 각 또는 구석을 채우는 접착제 부분. |
filet |
핑거 조인트 |
피착제의 접착면을 핑거상으로 홈가공하여 접착하는 접합 방법. 수평형과 수직형이 있다. |
finger joint |
한면도포 |
두개의 피착제 중 한 면에만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 |
single spread |
합판 |
단판의 섬유 방향을 직교시켜 홀수로 맞븥인 재료. |
plywood |
핫 멜트 접착제 |
용융 상태로 도포하여 냉각되면 굳으며 접착하는 접착제. |
hot melt adhesive |
허니콤 코어 |
시트 모양의 금속, 수지 가공재 등으로 만든 6 각형 세포 모양의 재료. 벌집과 유사하며 주로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로서 사용된다. |
honeycomb core |
혐기성 접착제 |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경화 반응이 지연되지만 산소가 없거나 금속 이온에 의해 촉진되어 경화되는 접착제. |
anaerobic adhesive |
후경화 |
초기 경화 후 접착물에 열 등을 가하여 경화를 촉진하는 것 |
post cure |
희석재 |
접착제의 고형분 농도 및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액체 |
diluent |
A-단계 |
열경화성 수지 생성 반응의 초기 상태, 이 상태의 수지는 어떤 종류의 용제에 용해하고 가열하면 용융한다. |
A-stage |
B 단계 |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 중간 상태. 그 상태에서의 수지는 가열하면 연화하고 어떤 종류의 용제에 접하면 팽윤하지만 환전히 용융, 용해하지는 않는다. |
B-stage |
C-단계 |
열경화수지 경화반응의 최종 상태. 이 상태의 수지는 불용성이며 완전 경화한 접착층 중의 열경화성 수지는 이 상태에 있다. |
C-stage |
V 절단법 |
(1) 치장판의 기판 뒷면에서 V 홈을 치장 시트의 바로 앞까지 깍아, 그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접합 방법. (2)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크랙에 따라서 V 자형의 홈을 파는 방법. 그 부분을 실하든가 수지를 주입하여 보수한다. |
V-cut proc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