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행복한 세상여행 원문보기 글쓴이: 박대식
★ 서울 사대문/사소문 - 가을길 서울성곽 종주 ★
한양 도성 성곽(사적 제10호)은 기본적으로 내사산(內四山 : 북악산(백악 342m), 타락산(낙산 125m), 목멱산(남산 262m), 인왕산(338m) 약 18.2km를 성곽으로 연결하고 성곽에는 사방에 4개의 대문을 세우고, 그 사이사이에 4개의 소문을 세웠으며, 도성 가운데는 종루인 보신각을 세웠다.
사대문은 (북)숙정문, (동)흥인지문, (남)숭례문, (서)돈의문(새문)인데 아직 돈의문은 복원되지 않았다.
사소문은 북소문인 창의문(자하문), 동소문인 혜화문(홍화문), 남소문인 광희문(수구문), 서소문인 소의문(소덕문)인데 소의문이 아직 복원되지 않고 있다.
한양 도성의 궁궐ㆍ종묘ㆍ사직단은 태조 3년(1394) 12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약 10개월후인 태조4년(1395) 9월에 완공하였다.
태조는 그다음달 도성 축조 도감을 설치하고 정도전으로 하여금 공사를 지휘케하여 사대문중 규뫄 가장 큰 남대문을 태조 7년(1398)에 완공하므로서 모든 공사가 준공되었다.
★ 사대문(四大門) ★
* 東大門 - 흥인지문(興仁之門) *
도성의 4대문 중에서 동쪽에 자리한 흥인지문은 다른 성문과는 달리 옹성(甕城, 곡성, 치성)이 부설되어 있는 보물 제1호이다.
태조 5년(1396) 창건된 이래 몇차례 수축ㆍ개축이 있었으나 대체로 규모의 큰 변동은 없었다.
음양오행설에 의하면 흥인지문의 어질 "인(仁)"자는 나무목(木)에 속하며, 또한 나무는 오방 가운데에서 동쪽에 해당하므로 "흥인"은 곧 동방을 뜻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흥인문"이라 하지 않고 거기에 갈지 "之"자를 첨가하여 "흥인지문"이라 한 까닭은 이 지대가 도성의 북ㆍ서ㆍ남쪽에 비해서 지대가 유난히 낮기 때문에 가라앉은 땅기운을 돋우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흥인지문"이라고 하기 시작한 것은 세조부터의 일이라고 한다.
* 西大門 - 돈의문(敦義門, 새문) *
서울 성곽의 사대문 가운데 서쪽 큰 문으로 서대문ㆍ새문ㆍ新門이라고도 한다.
서울 도성 안 지명중 새문안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새문안은 바로 이 돈의문 안쪽의 지명을 가르키는 말이다.
1396년(태조 5) 한양 都城의 제2차 공사가 끝나고 8문이 완성되던 때 처음 세어졌다.
1413년(태종 13) 폐쇄되고 그 대신 북쪽에 서전문(西箭門)을 새로 지어 출입케 하였다가, 1422년(세종 4) 다시 서전문을 헐고 돈의문을 수리하였다.
그 뒤 헐거진 것을 보수하여 1711년(숙종 37)에 다시 지었는데, 대략적인 모습은 돌 축대 한 가운데에 무지개문을 큼지막하게 내고 축대 위에는 단층 우진각지붕집의 초루(褸)를 세우고 둘레에 낮은 담을 설치하였다. 1915년 일제의 도시계획에 따른 도로확장 공사로 인해 철거되고 말았다.
지금은 강북삼성병원 정문 보영빌딩 앞 언덕에 표석이 있어 돈의문이 있었던 자리를 가름해 볼 수 있다.
* 南大門 - 숭례문(崇禮門) *
조선시대 서울 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원래 이름은 숭례문이며, 남쪽에 있다고 해서 남대문이라고 불렀는데 우리나라 국보 제1호이다.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태조 4년(1395)에 짓기 시작하여 태조 7년(1398)에 완성되었다.
지난번 화재로 인해 지금은 새로 원래 상태로 복원되었다.
* 北大門 - 숙정문(肅靖門) *
숙정문은 서울 성곽의 북대문으로 '엄숙하게 다스린다'라는 뜻으로 이름을 붙였다.
태조 5년(1396) 처음 서울 성곽을 쌓을 때는 지금 위치보다 약간 서쪽에 있었으나 연산군 10년(1504)에 성곽을 보수하면서 옮겨졌다고 한다.
숙정문은 본래 사람들의 출입을 위해 지은것이 아니라 서울 성곽 동서남북에 사대문 격식을 갖추고, 비상시 사용할 목적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평소에는 굳게 닫어 두어 숙정문을 통과하는 큰 길은 형성되지 않았다. 다만 가뭄이 심할 때는 숙정문을 열고 남대문을 닫아 두었다고 하는데, 이는 태종 16년(1416)에 기우절목(祈雨節目, 기우제 시행규칙)을 만들면서 북쪽은 음(陰), 남쪽은 양(陽)이라는 음양의 원리를 반영한 것이었다.
이처럼 숙정문 지역은 풍수지리학상으로 음기가 강한 곳이었기 때문에 조선 후기의 학자 홍성모가 지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정월대보름 전에 민가의 부녀들이 세 번 숙정문에 가서 놀면 그 해의 재액(災厄)을 면할 수 있다"라는 풍속이 전해진다.
그러나 이규경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라는 저서에서 "숙정문을 열어 놓으면 장안 여자들이 음란해지므로 항시 문을 닫아 두게 했다"는 정반대의 속설을 전하고 있다.
숙정문으 오랫동안 문루가 없어 월단만 남아 있었는데 1976년 북악산 일대 서울 성곽을 보수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한 것이다.
★ 사소문(四小門) ★
* 東小門 - 혜화문(惠化門) *
혜화문은 도성의 사소문중 동쪽에 위치한 문으로 조선 태조 5년(1396) 9월에 도성의 축성(築城)과 함께 지어졌다.
본래의 이름은 홍화문(弘化門)이었는데 창경궁의 동문을 홍화문이라고 이름 지었기 때문에 중종 6년(1511)에 혜화문으로 개칭하였다.
그 후 건립 당시의 문루(門樓)가 없어져 영조 20년(1744)에 문루를 건축하였고 북대문은 숙정문이 항상 닫혀 있어서 동소문인 혜화문이 북대문의 역할까지 맡았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빈번하게 통행을 했다.
일제 강점기인 1923년에 도시계획이라는 명분아래 이 문루를 헐리었고 1939년에는 석문까지 없어지고 말았다.
1975년부터 1980년까지 6년간에 걸쳐 서울 도성을 복원하였는데 도성의 일부인 혜화문도 1992년부터 3년에 걸쳐 현위치로 변경 복원되었다.
* 西小門 - 소의문(昭義門), 소덕문(小德門) *
소덕문은 도성의 서남쪽 숭례문과 돈의문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였고, 도성의 사소문중의 하나로서 태조 5년(1396) 9월 다른 성문과 함께 건설되었다.
그러나 성종 3년(1472) 소의문이라고 개칭하였는데 그 이유는 성종이 예종의 왕비 장순왕후에게 "휘인소덕(徽仁昭德)"이라는 시호를 추존하였는데, 이 시호와 소덕이라는 문 이름이 같으므로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소덕문을 소의문으로 개칭하였다.
소덕문도 태종 5년(1396) 건축 당시에는 다른 성문과 같이 문루가 있었으나 언제 없어졌는지 그 시기를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문루가 없었던 것을 영조 19년(1743)에 금위영에 명하여 동년 8월에 문루를 건축하였다.
도성내의 시체는 광희문과 소의문으로만 나갈 수 있었으므로 도성내에서 서쪽으로 나가는 시체는 모두 이 문을 통하여 나갔다.
500여년을 내려오던 이 소의문은 일제때인 1914년 도시계획이라는 구실로 모조리 철거하였고, 지금은 서소문동에 있는 중앙일보 호암아트홀 앞(시청쪽) 주차장 축대위에 표식이 있어 그나마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 南小門 - 광희문(光熙門) *
광희문은 속칭 수구문(水口門)이라고도 하며 조선 태조 5년(1396)에 건립한 서울 성곽의 8문중의 하나이다.
1915년경에 문루가 자연 붕괴된 이래 홍예만 남아 있었는데, 1966년에는 문 북쪽의 성곽 일부를 철거하고 도로를 확장하였다.
그 후 1975년 서울 성곽을 다시 옛 모습대로 수축(修築)할 때 현재와 같이 복원하였다.
중국 사신은 숭례문을 통해 입성하였는데 반해 여진 사신은 광희문으로 입성하였다.
* 北小門 - 창의문(倡義門, 자하문) *
창의문은 서대문과 북대문 사이의 북소문으로 "올바른 것을 들어나게 하다"는 뜻이 있다.
그러나 창의문을 북소문이라고 부른 일은 없고 이곳 계곡의 이름을 빌려 자하문(紫霞門)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태종 13년(1413)에는 풍수학자 최양선이 "창의문과 숙정문은 경복궁의 양팔과 같으므로 길을 내어 지맥을 상하게 해서는 안된다"고 건의한 것을 받아들여 두 문을 닫고 소나무를 심어 통행을 금지 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세종 4년(1422)에는 군인들의 출입 통로로 이용할 수 있게 했고, 광해군 9년(1617)에는 궁궐보수 작업때 석재를 운반하기 위하여 열어 주도록 하였다는 조선왕조신록의 기록을 보면 당시에도 길 자체는 있었던 것 같다.
★ 서울성곽 종주 ★
1. 트레킹 일자 : 2013년 10월 24일(목)
2. 만남의 장소 및 출발시간 : 전철5호선 서대문역 4번 출구 앞 / 오전 7시 30분
3. 트레킹 코스 : <약 18.627km / 약 9시간>
<서대문역 - 강북삼성병원(소의문터) - 월암공원 - 세븐일레븐 - 인왕산 - 윤동주 시인의 언덕 - 창의문 - 북악산 - 숙정문 - 말바위안내소 - 와룡공원 - 서울과학고 - 혜화문 - 한성대입구역 - 낙산공원 - 낙산 - 흥인지문 - 한양공고 - 광희문 - 장충체육관옆 - 신당동 성곽 - 정자 - 지유센터웨딩홀 - 국립중앙극장 앞길 - 남산 나무계단길 - 남산길 - 남산 정상 - 케이블카정류장 - 조산신궁터 - 안중군의사기념관 - 백법광장 - 숭례문 - 중앙일보 앞<소의문터> - 평안교회 - 배재공원 - 정동극장 - 경향신문 - 서대문역>
4. 준 비 물 : 식수, 장갑, 보온 옷 등
5. 기 타 :
수요일 제순 친구로 부터 서울의 사대문과 사소문에 대한 한자와 門의 종류에 대하여 알려 달라는 부탁을 받았지만, 외부에 있었던 관계로 알려주지 못하고, 나중에 귀가하여 자료를 찾아 보았다.
그런데 지금껏 서울에 살고 있으면서 四大門과 四小門에 대하여 별로 관심이 없어 동대문은 동대문이겠지 하는 생각으로 다녔던 것이다.
그런데 사대문과 사소문을 찾아보니 내가 알지 못했던 여러가지 사실들을 접하게 되었다.
사대문중 서대문은 존재하지 않고 있었고, 사소문중 서소문 또한 존재하지 않고 있어 이곳을 정확히 찾아볼 겸 서울성곽 종주 트레킹에 나서게 되었다.
대충 서대문과 서소문에 대한 위치를 확인한 후, 탐방길에 나섰다.
평일의 아침을 대체로 싸늘했다. 새벽 5시 30분 잠에서 깨어나 따뜻한 국물로 밥을 조금 먹은 뒤 오전 6시 40분경 집을 나서 전철역으로 향했다.
9호선 급행 전철을 타고 여의도역에 도착한 후, 위층에 있는 5호선 전철로 갈아탔다. 여의도역에서 서대문역까지는 거리가 멀리 않은 구간이다.
아침길이지만 출근을 서두르는 많은 사람들이 전철내를 메우고 있는 가운데, 서대문역에 도착한 후, 개찰구를 빠져나가 트레킹에 앞서 화장실을 다녀왔다.
서대문역 4번출구로 빠져나가니 아침공기가 제법 차겁다. 하늘은 뿌연 연무현상으로 아침이 밝아오는 신호임을 느낄 수 있었다.
서대문역이 서울성곽 종주 코스로 좋은 점은 강북삼성병원 정문 입구에서 <서울 한양 도성 스탬프투어> 지도를 받은 후, 바로 옆쪽에 있는 스탬프를 찍고 본격적인 트레킹을 종주한 후, 다시 강북삼성병원 정문으로 돌아와 스탬프투어 종주 도장 확인을 받은 후, 배지를 받을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이곳을 출밤점으로 잡으면 좋은 것이다.
서대문역 4번출구 출발에 앞서 <TRANGGLE GPS>를 켰다. 오전 7시 30분경.
4번출구에서 전방으로 약 150여미터를 지나다 보면 강북삼성병원으로 올라가는 길목의 나무계단길 오르막이 보인다. 바로 나무계단 오르막 공간이 옛 서대문이 위치했던 돈의문터이다.
돈의문터 표시는 나무계단 차도 벽면에 표시되어 있어 지나가는 길목에서 확인이 불가능 하다.
나 역시 종주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건널목에서 바라보니 돈의문터라는 표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여하튼 나무계단을 올라선 후, 좌측 방향으로 오르막 고개를 올라 강북삼성병원으로 들어가면서 돈의문터를 찾아 보았지만, 정문에 계신분들도 잘 모르고 있었다.
일단 정문에서 종주에 필요한 스탬프투어 지도를 받은 후, 정문 입구 벽면에 위치한 스탬프 저장소에서 돈의문(서대문)에 스탬프를 찍은 후, 돈의문터를 다시한번 찾아보기 위해 강북삼성병원 주변을 맴돌아 보았지만, 찾을길이 없어 다시한번 나무계단길 오르막을 올라선 후, 좌측 방향의 차도를 따라 오르막 고개를 올라선 후, 강북삼성병원 정문을 통과하여 서울시교육청 앞길로 향했다.
교남동에 위치한 서울시교육청 앞길을 지나다 보면 우측 월암공원으로 들어가는 길목이 나온다.
오르막 고개의 담벽을 타고 오르다 보면 우측의 돌계단을 올라 잘 단장된 월암공원내의 홍남파가옥을 둘러본 후, 다시 이정표가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우측 방향의 공원길을 오른다.
<서대문역 앞길을 지나 적십자병원 앞길에서 돈의문터를 향하여...>
<아래쪽 돈의문터에서 강북삼성병원 정문을 올라서면서...>
<교남동의 서울시교육청 앞길을 지나가면서...>
<월암공원내로 올라서면서...>
<홍난파 가옥을 향하여...>
<홍난파 가옥과 홍난파상>
<세븐일레븐(옥경이식품)을 향하여...>
<인왕산 성곽내를 바라보며...>
<세븐일레븐 사거리 앞에서...>
월암공원내의 홍난파 가옥을 둘러본 후, 공원내의 서울성곽 이정표를 따라 지나다 보면 마을길을 통과하게 된다. 골목길을 따라 이곳 저곳을 돌다 보면 세븐일레븐으로 향하는 길목에 닿는다.
세븐일레븐 앞에서 인왕산 성곽을 바라보면 두 갈래 탐방로가 나온다.
성곽내 길목과 성밖의 탐방로가 있는데, 서울성곽 탐방은 성밖의 코스를 택해 지나게 된다.
<인왕산 성밖의 돌담길을 올라서면서...>
<성곽을 따라...>
<성밖의 탐방길에서...>
<성밖의 코스를 따라 지나는 길목에서 바라 본 인왕산 성곽>
<지나온 성밖의 코스를 돌아다 보면서...>
세븐일레븐 슈퍼에서 성밖의 코스를 따라 좌측 방향의 오르막 고개를 올라서다 보면 좌측으로 마을들이 들어서 있다. 마을길을 따라 지나다 보면 성내로 들어설 수 있는 암문을 지나면서 성벽에 붙어 탐방길을 지나야 한다.
성벽의 다양한 구조는 시기에 따라 돌의 구조형태가 달라진다. 성벽을 끼고 육산의 길목을 지나다 보면 좌측으로 아래쪽은 마을과 더불어 아파트 단지들이 바라보이고, 길 양옆으로 풀내음이 깃드는 성벽의 코스를 타고 인왕산 코스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인왕산으로 올라서는 길목의 계단길에서 돌아다 본...>
<계단길의 오르막 고개를 올려다 보며...>
<인왕산 성곽의 탐방로를 올라서면서...>
성곽을 따라 지나다 보면 성벽 아래 좌측으로 인왕사와 더불어 선바위가 기괴한 모습으로 닥아옴을 볼 수가 있다. 물론 인왕사를 통과하여 선바위를 둘러본 후, 암반지대를 타고 성곽내로 들어올 수가 있다. 하지만 오늘은 서울성곽 종주길이기에 그곳을 찾지 않고 정상적으로 성곽을 따라 가파른 오르막 돌계단을 타고 올라가고 있는 중이다.
기온은 차츰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겉옷을 벗어던지고 가벼운 복장으로 산길을 타고 있는 중이다.
<좌측 아래쪽의 선바위와 뒤쪽의 안산>
<정상부 곡장 아래쪽의 부처바위와 우측의 모자바위를 배경으로...>
<지나는 길목에서 인왕산 정상부 능선을 올려다 보며...>
<모자바위와 성곽길에서...>
<일출전망대로 올라서는 길목에서...>
<지나온 성곽을 돌아다 보며...>
<인왕산 아래쪽의 수성동계곡>
<인왕산 정상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홍제동의 좌측 안산과 우측 백련산>
<성벽을 타고 정상 오름길에...>
<돌계단으로 이뤄진 오르막 고개길에서...>
<지나온 성곽길을 돌아다 보면서...>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