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증권 게시판에 있던 글 퍼왔습니다.
보신 분들도 있으시겠지만..그냥 도움이 되었스면 해서요 ^^
-------------------------------------------------------------------------------------------------------
KCC 신기술 개발의 산실
용인에 위치한 KCC 중앙연구소는 용지 5만 평에 실험 연구동이 2만 5천여 평에 달하며 전담 연구원만 2백40여 명(분소 포함시 5백여 명 수준)에 이르는 규모로 KCC 미래의 성장 동력인 신기술 개발의 산실이다. 1979년 수원공장에 설립되었던 중앙연구소는 1988년 현재 위치한 용인으로 이전했으며, 1991년 여주 유리연구 분소와 울산의 도료연구 분소, 1997년 전주의 도료연구 분소를 차례로 설립하며 발전을 거듭했다. KCC의 거의 모든 부문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용인 중앙연구소에는 크게 유기 부문, 무기 부문, 실리콘 부문으로 주요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06년 11월에는 1년 6개월간 진행되었던 리모델링이 완료됨에 따라 명실상부 세계적 수준의 연구 인프라를 갖추게 되었다.
중앙연구소의 핵심! 우수한 연구 인력
KCC의 주요 성장 동력 중 하나로 꼽히는 실리콘 기술을 비롯해, KCC의 거의 모든 제품은 독자적 기술 개발을 통해 탄생한 것이 대부분이다. KCC가 기술적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데에는 중앙연구소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현재도 중앙연구소에서는 KCC의 미래를 이끌 연구 개발을 주요 방침으로 삼고 있는데, 기술 분야의 지속적인 트렌드 조사와 분석을 통해 KCC만의 핵심 기술력을 창조해 나가고 있다. 특히 1990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본격화된 각종 환경 관련 규제 및 법규의 제정과 소비자의 지속적인 요구에 따라 친환경 수성 도료 개발 등 환경 친화적 신제품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 이렇듯 중앙연구소의 친환경 기술 개발의 핵심은 단연 연구원! KCC의 전체 직원의 10% 이상을 연구 인력이 차지하고, 매출액의 상당 부분을 연구비에 투자할 만큼 연구 인력에 대한 최고 경영진의 지원은 그 어느 기업보다도 적극적이다. 우수한 연구 인력을 배양하기 위해 국내외 학위, 학술 연수 등의 지속적인 교육과 다양한 경험과 능력 배양을 위한 연구 부문 간 인력 교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앙연구소는 10년, 20년 후의 KCC를 이끌어 나갈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환경 친화적 기술로 시장을 선도해 나갈 중앙연구소. 오늘도 부단히 연구 개발에 매진하는 중앙연구소 연구원들의 모습에서 KCC의 반짝이는 미래가 엿보인다.
1. 자동차도료
국내 최초의수용성 자동차 보수용 도료
최근의 도료 기술은 경제적, 품질적 측면 이외 환경적 측면이 강조되어 오고 있습니다. 특히 KCC는 1990년부터 자동차 도료 기술의 수계화를 추진하여 왔으며, 수계도료 기술은 전 산업분야에서 기존의 용제형 도료와 견줄 수 있는 품질적 기틀을 이미 확보하였고, 단순한 환경적, 윤리적 측면이 아닌 소비자 품질만족을 위한 수계도료 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도료 전문가들은 향후 자동차 OEM도료 시장의 Base Coat가 10년에서 15년 사이에 100% 수계화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Clear Coat의 경우 Powder Slurry와 UV경화 시스템이 미래의 기술로 정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KCC의 자동차 도료 수계화 기술은 1990년부터 시작되어 1995년 경기도 용인에 소재한 중앙연구소에 수계도료 전용 자동차 도장 Pilot 설비를 완공함으로써 본격화되었습니다. 선진업체의 기술을 모방하던 초기의 개발 수준은 이제 자동차 수계도료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외에 약 50여건의 특허권을 소유하는 독자적 기술 성장을 이루어내었고, 이러한 기술적 성장은 1998년 10월 수용성 자동차 보수도료를 국내 최초로 상품화하게 되었습니다.
수용성 OEM 도료
수용성 자동차 보수도료의 상품화 성공은 기존의 자동차OEM 도료의 수계화 기술을 실험실적 연구단계가 아닌 실제 응용단계로 전이할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제공하였습니다. 게다가 1995년 제작된 수용성 OEM 자동차 도료로 도장이 된 Monitor car를 이용한 지난 5년간의 monitoring 작업의 결과, 최근 자동차 OEM도료에서 문제시 되어 온 내산성과 내스크랫치성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여 기술적 자부심 외에 자동차 도료의 수계화 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난 10여년간의 수용성 자동차 OEM 도료의 데이터 축적으로 KCC는 지금까지의 환경적, 윤리적 측면을 통한 수용성 자동차 도료 기술의 부각 외에 소비자 품질만족의 측면에서도 자동차 도료의 수계화 기술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자신감은 2000년 1월, KCC가 제시하는 최고의 경제적, 환경적, 윤리적, 소비자 품질만족의 도장 사양을 가지는 수계도료 시스템 도장방식의 New Millenium Monitor Car를 HMC와 공동으로 제작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HMC를 비롯한 자동차 업체들은 개발 초기의 단순한 흥미가 아닌 공동개발의 협력자적 위치에서 자동차 도료의 수계화를 당면과제로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OEM Base Coat의 수계화는 30% 정도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그 비율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내산성과 내스크랫치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수준의 증대로 Clear Coat의 경우 2액형 우레탄을 사용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base coat의 수계화 비율의 증가 이외에 새로운 유형의 고기능 clear coat의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KCC의 경우도 예외가 아닙니다. 지금까지의 자동차 도료 수계화 기술 이외에 자동차의 제조 중 많은 에너지 발생을 유발하는 도장 공정 부문을 경제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자동차업체에게 하드웨어적 신제품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자동차 도장 유틸리티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KCC에 대한 신뢰구축을 이루어 나가고 있습니다.
2. 공업용 도료
국가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바탕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어 온 공업용 도료는 최근 무역장벽의 철폐와 시장 개방화 추세에 따라 해외 선진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KCC는 이들 선진기업과의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독자적인 기술 개발력을 축적하여 왔으며, 그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기능성, 고부가가치 제품, 지구자원의 절약을 위한 성 에너지 제품, 환경오염 방지와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환경 친화형, 인간 중심형 첨단제품 개발로 소비자의 needs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더 좋은 제품개발을 위하여 끊임없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공업용 도료는 용도 및 적용범위에 따라 일반공업용 도료, PCM용 도료, 분체 도료, UV경화형 도료와 수계(수성/수용성) 도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PCM 도료 분야
PCM은 선도장, 후가공 방식의 도장 철판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0.3~2.0mm 두께의 도금강판에 고내구, 고가공의 도료를 도장하는 방식으로 도료의 효율적 사용, 대기오염,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 친화형 도장 방식입니다.
일반공업용 도료 분야
일반공업용 도료는 핸드폰에서부터 자동차 부품, 각종 기계 및 철재 가구, 중장비, 항공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용도와 폭 넓은 소재 적합성을 보유한 다양한 제품이 상품화되어 있습니다.
분체 도료 분야
분체도료는 환경 친화적인 미래형 도료로 KCC에서는 국내 최초로 분체도료를 생산 공급한 이후 20여년간 끊임없는 연구 개발로 기능성 도료인 내열 분체도료, 대전방지용 분체도료, 고내후성 분체도료, 저온소부 분체도료, 박막형 분체도료 및 각종 무늬 분체도료를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상품화하였으며, 최근에는 중방식용 분체도료의 개발에도 성공하여 Pipe Line용 분체도료와 Rebar Coating용 분체도료를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의 거래선에 수출하여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선진기술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각종 고기능성 및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에 착수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용성 공업 도료 분야
환경 친화형 공업용 도료의 개발을 위해 수계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오고 있으며, 수용성 방식 프라이머 및 상도, 수용성 프라스틱용 도료, 수용성 디핑 도료 등과 각종 고기능성 도료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UV 경화형 도료 분야
방사선 경화(Radiation-Curing)형 도료는 미국, 유럽지역에서 1970년대 초 상업화 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많은 산업현장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산업의 일부가 되었으며, 무용제로 환경친화성, 지구 자원절감, 에너지 절약의 특성과 단시간 경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고성능의 도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년 평균 20%이상의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도료나 인쇄잉크 분야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경화(UV 경화)형 도료는 전자파 중 자외선 (200-400nm)을 이용하여 아주 단시간에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하고, 뛰어난 환경친화성과 도막 성능을 얻을 수 있으므로 향후 첨단 도료시장에서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중방식도료
20세기 철강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인 방식 기술을 선도해온 KCC그룹은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그제품의 성능을 인정 받아오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많은 연구진에 의하여 보다 나은 방식 기술을 갖은 제품을 개발하는데 정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한 환경 친화적인 제품의 개발에 앞장서온 KCC 중앙 연구소는 염화고무를 대체한 컨테이너 외부용 도료를 개발함으로써 환경 오염적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여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수 십년 간 해양오염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TBT함유 선저 방오도료를 대체한 Tin free 자기 연마형 선저 방오도료는 세계유수의 도료 메이커 보다 앞선 기술로 개발하여 제품화 함으로써 해양 환경 오염 방지에 앞장 서고 있으며 우수한 제품의 인정으로 세계적인 선박메이커에 제공되고 있습니다.
21세기에는 방식 기술의 세계적인 선두주자가 되기 위하여 앞선 기술과 세계 환경 규격에 부응하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노력을 정진 할 것입니다
이러한 연구소의 개발 노력은 타사에 비하여 앞선 방오도료에 대한 기술적 Know-How와 열정적인 연구원 들의 노력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 제품의 개발이라는 KCC가 추구하는 이념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4. 건축용 도료
환경 친화적 제품 개발
도료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용매는 광학 스모그, 대기권 오존농도 증가,호흡장애 등을 유발하는 대기오염원으로 각국의 규제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도막내에서 서서히 방출되어 House Sick 증후군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KCC는 일찍이 도료의 약용제화 또는 High Solid화 등의 저공해화 연구와 수계화, 천연 페인트의 개발 등을 통해서 지구 환경의 보존에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우수한 작업성
도료의 유변학적 특성을 조절하여 도장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는데 KCC는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도료의 작업성 개선에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즉 도료의 은폐력 향상과 도장시 도료가 흐르거나 튀어 작업자 또는 페인트가 묻어서는 안되는 부위를 오염시키는 문제점 등을 개선시켜 왔습니다. 최근 출시된 코레톤, 네오센스 같은 제품들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도장하는 작업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힘이 들지 않으면서도 부드럽게 도장할 수 있도록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미려한 외관이 나올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전문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쉽게 칠할 수 있는 DIY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현재 "누구나"같은 제품은 국민적인 제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고기능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서, 또한 도료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도료에는 없는 기능을 부여하거나 기존 제품의 성능을 개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품질관리의 국제화
신규제품 개발과 같이 중요한 것은 기존 제품의 엄격한 품질관리입니다. KCC는 ISO 인증을 이미 획득하였고 6시그마 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용 도료는 거의 대부분의 제품이 최신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품질관리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습니다.
독자기술의 확보
KCC는 플라스틱 피그먼트, 건축용 수지, 건축용 도료 등의 제품에서 다수의 국내외 특허를 획득해 오고 있으며 상당수의 제품이 국제적으로 인정 받아 수출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의 모방식 연구개발 전략에서 적극적인 창조적 연구개발 전략으로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5. 기능 재료
EMC(Epoxy Molding Compound)는 반도체 Chip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봉지되는 열경화성 유무기 복합재료로써, 성형 가공성이 뛰어나고 기계적인 물성과 전기특성이 양호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므로 Epoxy Molding Compound로 불리웁니다.
당사는 1985년 국내 최초로 EMC의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1987년 초보적인 TO-92 패키지용 EMC시제품을 출시한 후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1999년 현재 국내최대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Discrete 반도체부터 256M DRAM용 EMC까지 전 패키지용 EMC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6. 무기소재
KCC는 세계화, 개방화 추세에 따라 선진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에 본격적으로 대비하고, 한국 제일의 종합건축자재 메이커로서의 위치를 굳건히 지켜나가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진행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투자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류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과 생활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제품의 고기능화, 복합화 및 신기능을 부여하는 꾸준한 개선활동과 더불어 새로운 용도의 신제품 개발과 고부가가치 제품의 창출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친화적인 첨단제품의 개발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습니다.
무기소재는 기본적으로 무기화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고기능을 요구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크게 분류하면 Fine Ceramics, Glass, 무기질 섬유 및 응용제품, 복합재료 및 응용제품 등으로 구분됩니다.
당 연구소에서는 무기화학 전반에 대한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무기질 섬유 및 응용제품, Fine Ceramics, CMC, PMC 및 MMC로 구분되는 전체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 및 신제품 개발과 열적 특성, 음향적 특성 등과 같은 기능성에 대한 연구/분석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연구 분야에 대한 양산화 연구를 할 수 있는 Pilot Plant를 완비하여, 모든 연구개발이 실험실적 수준을 넘어서 양산화에 대한 준비와 기술축적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리및 응용제품
유리는 대표적인 비결정질의 무기질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KCC는 종합건축자재 회사로서 맑은 유리, 색유리, 무늬유리, 반사유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의 유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 연구소에서는 유리공장의 설립시부터 기술적인 면을 담당하여 왔으며, 수많은 제품 및 공정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기반기술을 축적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배경으로 최근에 들어서는 유리의 고기능성 부여와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중에는 Coating 기술을 바탕으로 한 Low E Glass 개발과 적외선 투과율을 제어한 Solar Control Glass 등에 대한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유리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공정개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공정개발 등 다방면에 걸친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무기질 섬유및 응용제품
무기질 섬유는 내화성, 보온성, 단열성을 요구하는 건축자재 및 고온단열재로서 주로 사용되며, 뛰어난 기계적 물성을 요구하는 복합재료의 보강재로서 필수불가결한 소재입니다. KCC는 종합적인 무기질 섬유 메이커로서 자리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Glass Wool, Mineral Wool, Ceramic Fiber 및 Glass Long Fiber와 같이 초고온에서 고온에 이르는 넓은 온도범위를 갖는 무기질 섬유와 다양한 응용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 연구소에서는 이와 같은 무기질 섬유에 대한 기초/기반 연구 및 Pilot Plant를 이용한 양산응용연구를 통하여 기존 섬유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공정개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개념을 도입한 섬유소재 및 환경친화적인 섬유조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음향특성에 대한 연구가 심도있게 진행되어 흡음 성능이 뛰어난 고급천정재 개발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KCC의 무기질 섬유의 뛰어난 고온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활용한 응용제품의 개발에 의해 다양한 제품이 상품화되었으며, 현재에도 차음 및 흡음 성능이 동시에 발현되는 복합시스템 개발과 같이 고기능성, 신기능을 부여한 복합재료 및 응용제품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Fine Ceramics
Fine Ceramics는 전통적인 Ceramics에서는 발현할 수 없는 뛰어난 열적,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물성을 보유하고 있어 현대의 각종 고온, 기계, 전자기 부품 및 생활용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KCC는 무기화학기술에 대한 탄탄한 기반을 바탕으로 Fine Ceramics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여 왔습니다. 당 연구소에서는 이와 같은 Fine Ceramics에 대한 기초 및 응용연구와 기술적 기반으로 고전압/고진공용 절연제인 Alumina Metallizing 제품에 대한 사업화를 완료하였으며,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Ceramics 제품과 고도의 기술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Fine Ceramics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무기질소재 및 응용제품 (CMC:Ceramics Matrix Composite)
CMC 제품은 무기질 소재을 모재로 하여 고기능, 신기능을 부여한 제품으로 전통적인 건축자재에서부터 최첨단 복합재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KCC는 국내 제일의 종합건축자재 회사로서 Cement-Base, Gypsum-Base, Fine Ceramic-Base 제품 등을 비롯한 실로 다양한 소재와 특성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여 왔습니다. 당 연구소에서는 소비자의 폭 넓은 요구물성에 응하여 원료소재에 대한 경험 축적과 독창적인 제조공정의 개발/개선에 의해 기반기술을 축적하여 왔습니다. 이에 기본기재에 대한 고기능화 및 다양한 신기능 부여를 위한 연구에 의해 내화석고보드, 차음석고보드, 내화 피복재 등의 제품을 꾸준히 개발하여 왔으며, 이 결과 CMC에 대한 폭 넓은 기술력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경험을 기반으로 기존 제품에 대한 꾸준한 물성 및 공정 개선과 환경친화적인 제품개발 및 고도의 기능과 물성을 요구하는 첨단의 Fine Ceramic-Base CMC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유무기 복합재 및 응용제품 (PMC:Polymer Matrix Composite)
PMC 제품은 유기 Polymer를 모재로 하여 다양한 특성의 무기질 소재를 복합화하여 고기능, 신기능을 부여한 제품으로 무기화학과 유기화학을 기반기술로서 하고 있는 KCC로서는 그 기술력과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당 연구소에서는 KCC에서 생산하는 PMC 제품으로 생활에 친숙한 PVC 바닥재와 Window Profile 등을 개발 완료하였습니다. Polymer 및 유기화학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무기섬유 및 Ceramics 등의 무기화학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에 대한 응용력과 공정개발 능력 외에, 물성 및 특성 평가기술을 갖추어 PMC에 대한 전반적인 기반기술 및 응용기술이 축적되었으며, 고강도, 고기능을 갖는 새로운 복합판의 개발과 함께 새로운 기능 및 다양한 물성과 용도를 갖는 제품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MMC (MMC: Metal Matrix Composite)
MMC는 Ceramic의 우수한 기계적, 열적 특성과 Metal의 물리적 특성을 결합시켜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제품으로 새로운 용도 및 시장개척을 위해 연구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의 경량화 추세와 함께 MMC의 뛰어난 특성이 본격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당 연구소에서는 새로운 특성을 갖는 자동차 부품의 개발을 위해 현대자동차와 함께 공동연구를 통해 꾸준한 기술축적을 이루어 왔습니다. 또한 MMC를 제작하기 위한 Preform 연구가 심도있게 진행되어 KCC의 우수한 무기질 섬유 제품을 이용한 독자적인 공정의 개발로 뛰어난 물성과 미세구조 제어기술을 개발 축적하였으며, 아울러 새로운 용도의 창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7. 종합건설
환경친화적 제품 개발
21세기에는 기후 변화 협약의 영향으로 에너지 효율화에 대한 국제적 요구가 거세어질 전망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부터는 자발적 참여, 2018년부터는 의무적으로 선진국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준수할 것을 요구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당 연구소에서는 Recycle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고 이의 적절한 공법 및 상품화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단순 제품화를 지양하고 고단열, 고기밀형 부품화시켜 에너지 절약을 가능토록 하며, 나아가서는 재건축을 억제하고 유지/보수가 간단한 리모델링 개념을 충실히 만족시킬 수 있는 건재 및 시스템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고단열ㆍ고기밀형 자재 / 시스템개발
국내에도 건축물의 총량 증가,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 증대로 에너지 소비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입니다. 그러나 현재 건축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은 늘어나는 소비 욕구와 선진국의 환경에 대한 압박 및 전세계적인 고유가 시대에 직면한 지금 산자부와 건교부의 주도하에 더욱 강화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단열 성능을 건축물의 재령일에 따른 단열 공법의 열화 현상 방지가 가능하고 창호 부분 및 각종 내외장재 접합부의 기밀 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총체적인 에너지 절약이 가능케하는 시공법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향후 천연 대체 에너지(풍력, 태양 등)를 활용할 수 있는 복합 판넬(지붕, 벽체) 영역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리모델링 신규 수요에 대응 가능한자재 / 시스템 개발
일반적으로 신축 후 15~20년 된 건축물은 리모델 사이클에 진입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재고 건축물의 약 25% 내외가 리모델 사이클 범주에 들어있다고 파악됩니다. 선진국의 경우 리모델링 시장은 전체 건설 시장의 약 35~40%를 차지하고 이에 따른 자재 및 공법의 개발도 충실히 이뤄진 상태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자재 및 시공법 개발은 아직 미진한 실정입니다.
당 연구소는 항상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는 자세로 리모델링이라는 다소 생소한 영역에 건축주와 소비자들에게 적은 비용으로 쉽게 유지, 보수가 가능한 리모델링형 자재 및 시스템을 개발, 제시할 예정이며, 우선 그 첫번째 사업으로 공동주택 내 습식벽체를 건식화 하는 시공법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며 향후 부분 교체가 용이한 부품형 건식 온돌 시스템, 외벽 클래딩 시스템 등 건축 내외장재 개/보수 설계 및 시공법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1세기형 신주택 개발
현재까지는 가족 구성원이나 외부 환경 요인에 따라 주택을 옮기는 형태로 소비자의 선택이 이루어졌으나, 향후에는 소비자들이 가족 구성원의 성장과 생활 패턴의 변화 등 외부적인 요인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유지, 보수 및 증/개축이 자유로운 주택공법이 탄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이에 대응 가능한 Skeleton Infill 공법(구조, 내외장, 설비 부품의 개별 시공이 가능한 공법), 품질 확보가 용이하고 자유 설계가 가능한 철골계 유니트 공업화 주택 등 설비, 내/외장, 구조 등 Section별 부품화 및 표준화를 통하여 성능의 저하 없이 Maintenance가 용이한 고수명 주택 공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8. 기타사항.
"최적설비의 설계 및 선정 등의 엔지니어링 업무"
엔지니어링 분야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야로써 KCC 그룹내 신·증설 프로젝트의 설계에서 부터 시운전 감리까지 플랜트 건설 전공정의 엔지니어링 업무를 수행할 뿐 만 아니라, 연구과제의 효과적인 근접지원을 위해서 과제 진행별로 최적설비의 설계 및 선정 등의 엔지니어링 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구원들의 효율적인 연구활동을 위한 정보 지원"
그룹 관련 13,000여종의 도서와 400여종의 간행물 및 멀티미디어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전산화된 정보자료실, 국내외 DB 및 사내 기술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정보시스템 및 연구관리 시스템 등 연구 지원 기능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지원, 특허 관리, 연구 관리 등을 담당하는 연구 지원 조직을 두어 연구원들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오랜 경험과 축적된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국가 공인 시험기관 (KOLAS)으로 인증"
연구소 건립과 더불어 수준 높은 연구/개발 수행을 위해, 약 70억원을 투자하여 TEM, ESCA, XRD, ICP, GC/MS, FT-NMR, FT-IR, GPC, TG/DTA, DSC, UTM 등 약 100여종의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오랜 경험과 축적된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화학시험 분야에 있어서 국가 공인 시험기관 (KOLAS)으로 인증을 받음으로써 E&A (Evaluation & Analysis) 결과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발판을 만들었으며, '99년 5월에 역학시험분야를 추가 인증 받았습니다. 이에 저희 KCC E&A CENTER는 다양한 장비와 고도의 분석 기술로 고객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며 보다 나은 정보를 제공 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