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솔잎, 송화가루)특징및 용도
1. 생물학적 고찰
- 학 명 : Pinus densiflora
- 異 名 : 솔, 솔나무, 소오리나무, 송(松), 적송(赤松), 송목, 송수, 청송
- 형 태 :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9cm, 나비 1.5mm로 밑부분의 비늘은 2년이 지나서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이다.
암꽃은 새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이고 길이 6mm의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열매조각은 70∼100개이고 다음해 9∼10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5∼6mm, 나비 3mm의 타원형으로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 줄이 있다.
- 설 명 : 잎은 각기, 소화불량 또는 강장제로, 꽃은 이질에,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에 약용으로 쓴다.
화분은 송화가루로 다식을 만들며 껍질은 송기떡을 만들어 식용한다.
건축재, 펄프용재로 이용되고 테레핀유는 페인트, 니스용재, 합성장뇌의 원료로 쓰인다. 관상용, 정자목, 신목(神木), 당산목으로 많이 심었다.
- 분 포 : 중국 북동부, 우수리, 일본에 분포하고 한국의 북부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역에 자라며 수직적으로는 1,600m 이하에 난다.
- 비 고 : 남복송(男福松:for. aggregata)은 열매인 구과가 가지의 밑부분에 모여난다. 금송(for. aurescens)은 잎의 밑부분을 제외하고 전부 황금 빛깔을 띤다.
여복송(女福松:for. congesta)은 열매인 구과가 가지의 끝부분에 여러 개가 모여달린다.
금강소나무(for. erecta)는 줄기가 밋밋하고 곧게 자라며 외형적으로 소나무의 형태이나 곰솔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소나무와 곰솔간의 잡종으로 본다.
처진소나무(for. pendula)는 가지가 가늘고 길어서 아래로 늘어진 형태이다.
반송(盤松:for. multicaulis)은 줄기 밑부분에서 굵은 곁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수형이 우산처럼 다북하다.
은송(for. vittata)은 잎에 흰색 또는 황금색의 가는 선이 세로로 있다.
- 이 용 : 식용 식물 가운데 알칼리성 식품은 대개가 척박한 땅에서 얻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알칼리 식품이면서도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솔잎이다.
그러나 중국 송나라의 명의인 화타는 송죽건강법(松竹健康法)을 말하였고,
「본초강목」에는 솔잎을 송모(松毛)라 하여 악성종양과 대머리의 예방과 치료, 오장의 기능 활성, 노화를 방지하는 신선초로 묘사하고 있으며
, 송화가루 역시 방부의 효과와 혈압 강하작용이 있다고 씌어 있다.
솔잎에는 피부의 탄력을 증강시키고 혈색을 좋게 해주는 클로로핀을 비롯하여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솔잎 속의 송진기가 있는 수지(樹脂)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말초혈관의 확장작용을 하여 뇌졸증을 없애주는 특효약과 같은 고혈압 치료제이며
또 심장 장애를 막아주는 강정보강제인 털팬(Talpen)이 함유되어 있어 그야말로 자연이 준 최고의 장수식품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솔잎의 식품 이용가치는 오랜 세월을 통하여 입증되었듯이 인간에게 활력을 주는 신비함마저 가지고 있다.
솔잎의 섭취방법은 생식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나 강한 솔향과 유기산으로 인하여 가공 처리하여 섭취하는 것이 좋다.
생솔잎 한줌(30g)을 2l의 물에 넣고 달인 후 꿀을 물엿 정도로 진하게 첨가하여 한번 더 끓인 후 물을 타서 하루에 1컵을 마신다.
송화가루는 전병이나 다른 음식물에 첨가제로 넣어 섭취하기도 하고, 꿀 등에 타서 마셔도 좋다. ※ 송근유 松根油 (pine-root oil) : 대개 소나무의 뿌리에서 많이 채취한다.
수득량은 원료의 생건(生乾), 벌채 후의 시일경과 등에 따라 다르나, 소나무, 흑송(해송)의 뿌리에서는 11∼24%, 편백, 노송나무의 뿌리에서 6∼10%, 가문비나무, 부비나무의 뿌리에서 6% 내외이다.
건류할 때에 처음으로 나오는 부분은 목초액(木醋液)의 상층에 뜨는데, 이 부분만을 송근유라 하기도 한다.
뒤에 나오는 부분은 기름과 타르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송근 타르라고도 한다.
전후의 유출 부분을 합한 것을 송근수확 원유라 한다.
송근유는 흑갈색을 나타내며, 산성이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용도는 테레빈유, 크레오소트 분해액, 송근 무수(無水) 타르의 원료로 쓰일 뿐 아니라, 용제, 도료, 수지비누 등에 쓴다. '''''''
비중은 0.95 이상이고, 100℃ 이하의 유분(溜分)을 포함하지 않으며, 250∼300℃에서 이산화탄소를 내고 분해한다. ※ 송진 松津 (pine resin) : 송지(松脂)라고도 한다.
깨끗한 것은 무색 투명한 액체이나 시간이 지나면 희뿌옇고 끈질긴 성질이 생기며, 수지산(樹脂酸)에서 나오는 백색 고체를 석출한다.
북아메리카가 주산지로 세계 산출량의 50% 이상을 생산하고, 맥시코, 프랑스 등지에서 약간 생산된다.
채취방법은 나무에 상처를 내어 거기서 나오는 송진을 컵 등으로 받는데, 상처에 황산을 뿌리면 수취량(收聚量)이 증가한다.
송진은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트산에 녹으나 물에는 녹지 않으며, 수증기를 증류하여 테레빈유(油)를 얻고 나면 로진(rosin)이 남게 된다.
성분은 수지분(로진)이 70∼75%, 정유(精油:테레빈유)는 18∼22%, 물 기타 불순물 5∼7%인데, 그 중 송진산은 전체의 60∼65%로 레보피마르산, 네오아비에틴산 등으로 되었다.
테레빈유는 주로 연고제, 도료용제(塗料溶劑), 보혁제(保革劑), 구두약, 고무나 방수제의 용매에 쓰이며, 로진은 주로 비누, 도료 건조제, 살충제, 인쇄잉크, 제지용 첨가약품, 반창고 등의 의약품에 이용된다. 한방에서는 송진을 송향(松香)이라 하며 거풍, 진통, 배농(排膿), 발독(拔毒) 등에 효능이 있어 풍습(風濕), 악창(惡瘡), 백두(白兜)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소나무를 벌채한 후 3∼4년이 지난 소나무 뿌리에 외생균(外生菌)이 공생한 균괴(菌塊)를 복령(茯笭)이라 하여 귀한 약재로 쓰인다. ※ 소나무 : 소나무의 목재는 오랜 세월 동안 다방면으로 이용되어 왔다.
기둥, 서까래, 대들보 등의 건축재로, 관재(棺材)로, 조선용으로 쓰였다.
특히 경상북도 북부와 강원도의 태백산맥에서 나는 중곰솔은 재질이 우수하여 창틀, 책장, 도마, 다듬이, 병풍틀, 말, 되, 벼룻집 등의 가구재로, 소반, 주걱, 목기, 제상, 떡판 등의 생활용품으로, 지게, 쟁기, 풍구, 물레통, 사다리 등의 농기구재 등으로 이용되었다.
오늘날에도 완구, 조각재, 가구, 포장용 상자, 펄프, 합판 등 용도가 다양하다.
연료로도 주종을 이루었다.
온돌에 소나무장작을 때었고 취사용으로 솔갈비가 가장 뛰어났으며 조리에는 송탄(松炭)을 사용하였다
. 《경국대전》에는 각 지방에서 장정들을 징집해서 소나무로 숯을 구워 바치도록 하였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또 향탄산(香炭山)을 지정하여 주민으로 하여금 숯을 굽게 하여 상납시켰다. ※ 송기떡 : 송기병(松肌餠), 송지병(松脂餠)이라고도 한다. 소나무의 속껍질인 송기를 잿물로 삶아 우려낸 다음, 절구에 넣고 곱게 찧어 멥쌀가루에 섞어 익반죽을 한다.
반죽한 것을 솥에 넣고 쪄서 식기 전에 떡메로 쳐서 여러 가지 모양의 떡을 만든다.
만드는 모양과 방법에 따라 송편 ·절편 ·개피떡 등으로 나누는데 이 가운데 송기송편을 많이 빚는다.
송기송편은 송기를 찧어 송편 반죽에 섞고 콩, 팥, 대추, 밤, 깨 등의 소를 넣어 빚고 솔잎을 켜켜로 놓고 쪄서 만든다. ※ 소나무술 : 소나무로 만든 술은 거풍, 소종(消腫), 이뇨 등의 효력이 있으며 송엽주(松葉酒), 송실주, 송운주, 송하주, 송절주(松節酒) 등이 있다.
송엽주와 송실주는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풋솔잎이나 풋솔방울을 따서 담은 술이다.
송하주는 동짓날 밤에 솔뿌리를 넣고 빚은 술을 항아리에 담고 봉해서 소나무 밑을 파고 묻었다가 이듬해 가을에 먹는 술이다.
송절주는 소나무 옹이를 넣고 빚은 술이다. 2. 기능성 1. 솔잎
- 솔잎은 고혈압, 중풍, 심장병, 위장병, 강장(强壯), 건치(健齒), 시력증진(보호), 청력증진, 동맥경화, 소화촉진, 각기병, 종기, 신경통, 류머티스, 뇌질환, 불면증, 불로장생, 자한, 도한, 안색, 제습 등에 효과가 있다.
- 소나무는 깊은 산 속에서 자란 광채가 있는 것이 좋으며, 소나무 중에서도 향토수종인 적송이 약용으로는 으뜸이다.
잎의 생것 또는 그늘에서 말린 것을 사용하는데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
-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따르면 “솔잎을 생식하면 종양이 없어지고 모발이 돋아나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여 오랫동안 먹으면 불로장수 한다”고 한다.
그 외에도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불면증, 빈혈, 천식 등에 효과가 있고, 각종 유기산이 풍부하여 냉대하증 같은 부인병에 좋다.
특히 솔잎에는 산소와 무기질이 풍부하여 등산할 때 피로가 올 경우 솔잎을 따서 생식하면 피로가 빨리 회복된다. 최근에는 미용식과 건강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소나무 중에서도 향토수종인 적송이 약용으로 으뜸인데 잎의 생것 또는 그늘에서 말린 것을 사용하는데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천식등에 효과가 있다.
- 뇌졸중(중풍) 예방 – 솔잎녹즙 : 솔잎 반 줌을 깨끗이 씻어 1cm 길이로 잘라서 짓찧은 다음, 150~200ml 의 물을 붓고 짓찧거나 믹서로 돌린 다음 삼베 천으로 받아내 그 즙액을 매일 공복에 세번씩 복용하면 효과적이다.
솔잎은 맛은 쓰지만 성질은 따뜻하여 독이 없으며, 주로 심경과 비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가려움을 멎게 한다.
또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풍으로 아프고 다리가 쑤시는 것을 치료하며, 뇌졸증의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뇌졸증(중풍)의 경우 회복된 뒤에도 물리치료만으로는 완치를 기대할 수 없을 때 솔잎요법이 좋다는 것이 국내외 많은 민간요법 사례에서 충분히 효과가 입증되었다.
솔잎은 또한 장기간 복용하면 위장장애가 있는 아스피린에 대용할 수 있는 훌륭한 뇌졸증 예방약이다.
- 고혈압 예방 - 솔잎, 양파껍질 : 솔잎 한 줌에 양파 껍질을 넣고서 충분히 잠길 정도로 물을 두 사발을 붓고 달인다.
이것을 하루 세 번 식후에 마신다.
양파에는 풍부한 아연(Zn) 성분과 포도당, 과당, 유화물, 회분, 각종 비타민 등이 들어 있으며, 겉껍질에는 칼스친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고혈압과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 비만증 예방 - 솔잎, 죽엽 : 솔잎녹즙이 효과적이다.
또 죽엽(참대잎)도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데, 대나무잎20장에 물 세 잔의 비율로 끓인 뒤 우려난 국물을 마시면 된다. 두가지 모두 비만에 효과가 있으므로 잠자기 전에 솔잎 녹즙과 참대잎 녹즙을 함께 마신다.
솔잎과 참대잎은 우리몸에 있는 불필요한 수분을 없애주고 지방의 흡수를 방해하며, 섬유질은 배변을 도와주므로 비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참대잎은 고알칼리성으로 위장병에 좋고 칼륨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이 많아 생리작용을 돕고 목마름을 방지해 당뇨병에도 유효하다. 또한 고혈압과 노화방지에도 좋다. 2. 송화가루
- 고혈압, 골다공증, 치매 예방 : 이온화된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혈관을 확장시켜주어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 뇌졸증 예방, 시망막 출혈 및 심혈관 질병 예방, 치료 : 비타민 P는 모세혈관을 강인하게 하기 때문에 모세혈관의 삼투성 장애를 치료하여 뇌졸증을 예방하고 시망막 출혈 및 심혈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 숙취 해소 : 콜린이 0.34%로 죽순의 6,800배나 많이 함유되어 있어 클린 자신이 가진 3개의 메칠기를 다른 데로 줌으로써 숙취를 해소할 수 있다.
- 정력 증강 : 송화가루에는 L-이르기닌이 1,157mg/100g, 페닐알라닌 616mg/100g이 함유되어 있다. L-이르기닌은 발기부전을 예방하는 산화질소를 생성시키고 페닐알라닌은 쾌감을 불러일으키는 도파민이나 성욕을 일으키는 노르아드레날린으로 변하므로 성적 흥분을 일으킨다.
- 심장과 폐, 간을 원활하게 하여 중풍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 송화가루는 동의보감을 비롯, 중국의 중약대사전, 본초경해, 본초강목에서는 노화방지와 정력증강, 중풍예방, 알콜성 간염치료, 오래된 장염치료에 효능을 보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 그 외에도 다쳐서 파가나거나 화상을 입었을 때 송화가루를 바르면 지혈효과가 있으며, 종기가 곪아 고름이 생겼을 때 송화가루를 바르면 흉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송화가루와 꿀을 섞어서 얼굴 맛사지를 하면 탄력있고 윤기가 있는 피부를 가질 수 있다.
- 송화는 방부성이 강해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는다.
3. 구성 성분 1. 솔잎
- 솔잎에는 특히 당질이 많이 들어 있으며, 단백질, 지방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C 등이 들어 있다. 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 8종을 포함 24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비타미K 및 기타 미량성분을 함유한다.
- 엽록소는 조혈작용(헤모글로빈 증가), 육아조직의 증생(훼손피부의 재생), 뇌세포 활력, 콜레스테롤 감소, 조직세포성장을 촉진한다.
- 비타민A는 점막을 튼튼하게 하며, 비타민C는 혈관강화, 항스트래스, 노화방지, 면역력증강, 철분홉수에 필수적인 성분이다.
- 기타 특이성분(휘발성향기 성분외)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정유(텔폔유, 불포화지방산 다량 함유) : 혈중콜래스테롤 제거(6개월복용시 70%감소로 동맥경화방지), 말초혈관확장(고혈압, 뇌졸증 완화 예방), 노화방지, 호로몬 분비촉진, 담즙분비촉진
- 알콜, 에테르, 페놀 : 체내노폐물 배출 및 신진대사 촉진작용
- 글리코기긴, 후로내인 : 혈당강하
- 루틴 : 모세혈관강화, 노화방지
- 베타카로틴 : 독성해독, 신체저항력강화, 노화 예방
- 후라보노이드 : 비타민C와 같이 혈압강화
- 아피에틴산 : 아편과 니코틴해독
- 수지, 탄닌 : 소화기능을 도움
- 오존 : 방부, 살균, 표백작용, 페결핵, 늑막염 치료
- 기타 : 석회질 용해성분(동맥경화에 유효), 항디프테리아 작용성분 등
2. 송화
- 송화가루에는 단백질(8.75g/100g), 핵산(98.6mg/100g, 이중 DNA 18.3, RNA 80.3), 인지질(0.75g/100g), 비타민 그리고 18종의 유리 아미노산(8종의 필수아미노산 포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유리 아미노산은 protease 가수분해를 거치지 않고 직접 흡수되어 대사과정에 참여하는 좋은 점이 있다.
- 비타민도 B1, B2, B6, C, E, P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밖에 아연 37.0μg/g이 포함되어 있다.
-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온화된 칼슘, 비타민P, 콜린, L-이르기닌(1,157mg/100g), 페닐알라닌(616mg/100g) 등이 함유되어 있다.
4. 소나무의 분류 소나무속은 크게 잣나무亞屬(Haploxylon)과 소나무亞屬(Diploxylon)으로 나눈다. 1. 잣나무亞屬 : 잎이 5개씩 모여나고 짧은 가지에 붙은 비늘조각이 일찍 떨어지며 잎 횡단면의 관다발이 1개 있다.
- 잣나무 (Pinus koraiensis)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30m, 지름 1m 정도이고 300∼500년 정도 자라며 수피가 어두운 갈색이다. 바늘잎은 길이 7∼12 cm로 5개씩 뭉쳐나며 세모지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5월에 핀다. 식용으로 하고 신경통, 골통, 현기증, 강정제 등의 약용으로도 쓰이며, 나무의 재질이 우수해 건축재나 관 짜는 데도 사용한다.
- 눈잣나무 (Pinus pumila) : 상록침엽 교복이다. 줄기는 평지에 심으면 곧추서고 산정에서는 눕는데 높이 4∼5m, 지름 15cm 정도이며 어린가지에 붉은빛을 띤 갈색 털이 있다. 바늘잎은 5개씩 뭉쳐나고 길이 3∼6cm, 나비 1m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핀다. 종자는 식용하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30m, 지름 1m 정도이며 수피는 갈색이다. 바늘잎은 5개씩 뭉쳐나고 세모지며 길이 3.5∼6cm, 나비 1∼1.2mm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뚜렷하지 않다. 꽃은 6월에 핀다. 건축재나 도구재로 쓰이고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 스트로브잣나무 (Pinus strobus)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30m, 지름 1m 정도이다. 잣나무·섬잣나무보다 잎이 가늘고 열매가 길며 수피가 매끈하여 구별된다. 바늘잎은 5개씩 뭉쳐나고 회색빛을 띤 녹색으로 잔 톱니가 있으며 길이 6∼14cm이다. 꽃은 5월에 핀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건축재로 쓰이고 정원수와 조림수로 전국에 심는다.
2. 소나무亞屬 : 잎이 2∼3개씩 모여나고 짧은 가지 위에 비늘조각이 떨어지지 않으며 잎 횡단면에 관다발이 2개 있다.
- 소나무 (Pinus densiflora)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나 밑부분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9cm, 나비 1.5mm로 밑부분의 비늘은 2년 후에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핀다. 잎은 각기, 소화불량 또는 강장제로, 꽃은 이질에,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에 약용한다. 품종으로는 남복송, 금송, 여복송, 금강소나무, 처진소나무, 반송, 은송 등이 있다.
- 중곰솔 (Pinus densi-thunbergii) : 상록침엽 교목이다. 춘양목이라고도 한다.
줄기가 곧게 자라고 옹이가 없다.
줄기 밑부분의 수피는 회색빛을 띤 검은색으로 깊게 갈라져 떨어지는 것이 곰솔과 같고, 윗부분의 수피는 붉은색으로 얇은 조각이 되어 떨어지는 것이 소나무와 같다. 목재의 질이 매우 우수해서 한옥 건축재 또는 문 짜는 데 쓰인다.
- 곰솔 (Pinus thunbergii) : 상록침엽 교목이다.
해송, 흑송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높이 20m, 지름 1m 정도이고 수피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겨울눈은 흰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짧은 가지 끝에 뭉쳐나고 다소 비틀리며 길이 9∼14cm, 나비 1.5mm 정도이다. 꽃은 5월에 핀다.
화분과 껍질은 식용하고 송진은 출혈과 신경통의 약재로 쓰인다. 조림에 적당하며 방품림으로 심는다. 곰반송(for. multicaulis)은 밑부분에서 굵은 가지가 갈라져 나와 다북하게 보인다.
- 만주곰솔 (Pinus tabulaeformis var. mukdensis) : 낙엽침엽 교목이다. 만주흑송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높이 25m, 지름 80cm 정도이며 수피는 회색빛을 띤 검은색이고 갈라진다
. 어린가지는 연한 노란색으로 털이 없고 겨울눈은 노란빛을 띤 붉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10∼17cm, 나비 1.5mm 정도로 단단하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핀다. 재질은 소나무와 비슷하고 건축재로 쓰인다.
- 백송 (Pinus bungeana)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15m, 지름 1.7m 정도이며 수피는 밋밋하고 큰 비늘처럼 벗겨져 회색빛을 띤 흰색이다. 바늘잎은 3개씩 뭉쳐나고 길이 7∼9cm, 나비 1.8mm로서 단단하고 곧으며 눈비늘이 빨리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핀다.
-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25m, 지름 1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 갈색이나 깊게 갈라지고 겨울눈은 짙은 갈색이다. 바늘잎은 3∼4개씩 뭉쳐나고 비틀리며 길이 7∼14cm로 잔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핀다.
목재의 질이 나쁘고 송진이 많이 나오며 옹이가 많아 유용성이 적지만 어디서나 잘 자라기 때문에 많이 심고 있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 타이다소나무 (Pinus taeda) : 상록침엽 교목이다
. 줄기는 높이 30cm 정도이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수형이 둥근 모양이다.
수피는 밝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고 조각으로 갈라지며 어린가지는 노란빛을 띤 갈색에 약간 흰빛이 돈다. 바늘잎은 3개씩 뭉쳐나고 밝은 녹색으로 길이 12∼25cm이다.
생장이 빠르고 펄프 제조용으로 매우 우수하다. - 방크스소나무 (Pinus banksiana)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25m, 지름 50cm 정도이며 1년에 1마디 이상 자란다.
수피는 어두운 갈색으로 좁고 두껍게 갈라지며 어린가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거나 노란빛을 띤 갈색이고 겨울눈은 연한 갈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2∼4cm로서 비틀린다. 꽃은 5월에 핀다. 정원수, 용재, 펄프재로 이용한다. - 푼겐스소나무 (Pinus pungens) : 상록침엽 교목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며 굵고 단단하나 끝이 날카롭다. 꽃은 5월에 핀다. 목재·땔감·정원수로 이용한다. 미국 북부가 원산지이다.
- 레지노사소나무 (Pinus resinosa)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 21∼45m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5∼10cm이며 다소 단단하다. 재질이 강하고 곱기 때문에 건축재·가구재로 쓰인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 구주소나무 (Pinus sylvestris) : 상록침엽 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25∼40m이고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수피는 붉은색 또는 붉은 갈색으로 얇고 밋밋하지만 밑부분은 검은색이며 어린가지는 회색빛을 띤 노란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3∼7cm로서 비틀리며 회색빛을 띤 파란색이다. 꽃은 5월에 핀다. 재질은
소나무와 비슷하고 펄프재로 쓰인다. - 구주곰솔 (Pinus austriaca) : 침엽교목이다.
줄기는 높이 45m 정도이고 가지가 많으며 수피가 회색빛을 띤 검은색이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11cm로서 매우 단단하며 새순은 흰색을 띤 회갈색이다.
건축재, 전주, 선박재, 가구재로 쓰인다. 유럽 남부 원산이다.
|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