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게시글
*** 좋은글(스크랩)모음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5월 1일 후기/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26, 마지막 회)
관문 추천 0 조회 32 14.05.02 08:10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5월 1일 후기

                 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26, 마지막 회)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5월 1일 후기.hwp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884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884

의 후속타입니다.

 

<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을 스물여섯 번째, 마지막으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반야화 법우, 효주 법우, 환희장엄 법우, 클나라 법우, 도안(Gumpdad) 법우, 원만성 마리 법우, 저 관문 이렇게 7명이 참석했습니다. 책읽기를 마치고 성대한 책거리도 했습니다.

 

우리가 다음에 읽을 책은 'Tenzin Gyatso, 14th Dalai Lama and Howard Cutler, The Art of Happiness'입니다. 책 소개는 별도의 글을 올리겠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ich Nhat Hanh,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Part Three Other Basic Buddhist Teachings: Chapter Twenty-Seven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Chapter Twenty-Eight Touching the Buddha Within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243페이지 7째 줄부터 254 페이지 끝까지입니다.

 

<틱낫한 스님의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을 읽는 동안의 후기는 저희가 그 날 읽은 부분의 영어 본문과 그 번역서인 <진현종 옮김, 틱낫한 스님의 아! 붓다, 반디미디어> 의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PART THREE Other Basic Buddhist Teachings

제3부 기타 불교교리

 

CHAPTER TWENTY-SEVEN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27장 십이연기(十二緣起)

 

As far as the positive side of the Twelve Links is concerned, contact becomes mindfulness of contact, and feeling becomes mindfulness of feeling. Every contact of the senses and every feeling has clarity and calmness. When feelings and contact are protected, they lead not to craving but to love, compassion, joy, and equanimity ?the Four Immeasurable Minds.8 With mindfulness, we see feelings as painful, pleasant, or neutral. When we see people suffering or in pain or when we see them enjoying themselves in a foolish way, a feeling in us gives rise to the energy of loving kindness ? the desire and the capacity to offer real joy, and this leads to the energy of compassion ? the desire and the capacity to help living beings put an end to their suffering. This energy gives rise to joy in us, and we are able to share our joy with others. It also gives rise to equanimity ? not taking sides or getting carried away by the images and sounds brought to us through contact and feelings. Equanimity does not mean indifference. We see the ones we love and the ones we hate equally, and try our best to make both of them happy. We accept the flowers and the garbage with neither attachment nor aversion. We treat both with respect. Equanimity means to let go, not to abandon. Abandoning causes suffering. When we are not attached, we are able to let go.

12연기의 긍정적인 측면에 관한 한, 접촉은 접촉에 대한 알아차림이 되고 느낌은 느낌에 대한 알아차림이 되어야 한다. 모든 접촉과 느낌은 맑고도 잔잔한 것이 되어야 한다. 느낌과 접촉을 잘 지키면, 그것들은 갈망이 아니라 사랑, 연민, 기쁨, 평정심의 네 가지 헤아릴 수 없는 마음[四無量心(사무량심)](주8)에 이르게 된다. 알아차림을 통하면 느낌이 고통스러운 것인지 즐거운 것인지 중립적인 것인지 알게 된다. 괴로워하거나 고통스러워하는 사람을 보거나 어리석은 방법으로 즐거움을 누리는 사람을 보게 되면, 사랑의 힘, 즉 진정한 기쁨을 줄 수 있는 능력과 바람을 낳는 느낌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것은 연민의 힘, 다시 말해 중생들의 고통을 종식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과 바람을 일으킨다. 이 힘 때문에 기쁨을 얻게 된 우리는 남들과 그 기쁨을 함께 나눌 수 있게 된다. 또한 그것은 평정심, 곧 한쪽을 편들거나 느낌과 접촉을 통해 억은 모습과 소리에 넋을 잃는 일이 없는 자세를 낳는다. 평정심은 무관심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우리가 미워하는 사람들을 똑같이 대하고, 양쪽 모두를 행복하게 해주려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우리는 꽃과 쓰레기를 집착하거나 혐오하는 일이 없이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평정심은 포기가 아니라 너그러움을 뜻하는 말이다. 포기하면 고통이 일어난다. 집착하지 않을 때, 너그러워질 수 있게 된다.

 

8 See chap. 22.

주8) 22장을 보라.

 

The Four Immeasurable Minds are the basis for freedom. When we are in touch with things by means of the mind of love, we do not run away or seek, and that is the basis of freedom. Aimlessness takes the place of grasping. When we have freedom, what seemed to be suffering becomes Wondrous Being. It can also be called the Kingdom of God or the Pure Land. Someone who is free has the ability to establish a Pure Land, a place where people do not need to run. Wondrous Being is beyond being and nonbeing. If a bodhisattva needs to manifest being, if he needs to be born in this world, he will be born in this world. There is still life, but he is not caught in ideas of being, nonbeing, birth, or death.

네 가지 헤아릴 수 없는 마음[四無量心(사무량심)]은 자유의 토대이다. 우리가 사랑의 마음을 가지고 사물을 접할 때, 우리는 달아나거나 바라지 않으므로 그것이 자유의 토대이다. 목표 없음이 집착을 대신한다. 자유를 얻게 되면, 고통처럼 보였던 것은 놀라운 존재[묘유(妙有)]가 된다. 그것은 천국 또는 정토라고도 부를 수 있다. 자유를 얻은 사람에게는 정토, 즉 사람들이 도망 다닐 필요가 없는 세상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놀라운 존재[묘유(妙有)]는 유와 무를 초월한 존재이다. 보살은 그 존재를 나타낼 필요가 있으면 이 세상에 태어나게 된다. 보살은 살아있는 것이 분명하지만 존재, 비존재, 태어남, 죽음의 관념에 사로잡히는 법이 없다.

 

Wondrous Being is the equivalent to the "coming to be" of the conventional Twelve Links. Wondrous Being is the basis for being born without getting caught in wrong ideas about birth and death. The leaf has the appearance of being born and dying, but it is not caught in either. The leaf falls to the earth without any idea of dying, and is born again by decomposing at the foot of the tree and nourishing the tree. The cloud has the appearance of dying in becoming rain, but it feels no sorrow or pain. There are people who suffer when they see a leaf die. In the age of Romanticism, there were young people who picked up fallen flower petals, buried them, wept, and wrote epitaphs. When a leaf is born, we can sing Happy Continuation. When a leaf falls, we can sing Happy Continuation. When we have awakened understanding, birth is a continuation and death is a continuation, birth is an appearance and death is an appearance. People also appear to be born, grow old, and die.

놀라운 존재[묘유(妙有)]는 전통적인 12연기의 ‘존재하게 됨[유(有)]’에 해당된다. 놀라운 존재[묘유(妙有)]는 태어남과 죽음이라는 잘못된 관념에 사로잡히는 일없이 태어나기 위한 토대이다. 잎은 태어나고 죽기는 해도 그 어느 한쪽에 사로잡히는 일이 없다. 잎은 죽는다는 생각도 전혀 없이 땅에 떨어지고, 나무 밑동에서 썩어 들어가 나무에게 영양분을 줌으로써 다시 태어난다. 구름은 죽어서 비가 되지만, 슬퍼하거나 고통스러워하는 법이 없다. 잎이 죽어서 떨어지는 모습을 보고 괴로워하는 사람들이 있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낙엽을 주워서 묻고는 비문(碑文)을 쓰는 젊은이들도 있었다. 잎이 생겨나면 우리는 그것이 행복한 연속임을 찬양해야 한다. 잎이 죽어서 떨어질 때도 우리는 그것이 행복한 연속임을 찬양해야 한다. 우리가 깨달음의 지혜를 얻게 되면 태어남도 연속이고 죽음도 연속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태어남과 죽음은 그저 겉모습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사람들도 태어나서 자라고 늙고 죽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We study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in order to diminish the element of ignorance in us and to increase the element of clarity. When our ignorance is diminished, craving, hatred, pride, doubt, and views are also diminished; and love compassion, joy, and equanimity are increased. This happens in all twelve nidanas. After clarity, there is bodhichitta, the Great Aspiration. The key is the guarding of the six senses and mindfulness of feelings and contact. This is the place we can enter into the cycle and begin to transform it.

우리가 12연기를 공부하는 것은 무명의 요소를 줄이고 밝음의 요소를 늘리기 위해서이다. 무명이 줄어들면, 갈망, 증오, 자만, 의심과 갖가지 견해 역시 줄어들게 되고 사랑, 연민, 기쁨과 평정심이 늘어나게 된다. 이것은 12가지 고리 모두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무명이 없어지고 나면 깨달음의 마음[보리심(菩提心)], 커다란 열망[대원(大願)]이 생기에 된다. 중요한 것은 여섯 가지 감각 기관을 지키고 느낌과 접촉에 대해 알아차림을 하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 우리는 12연기의 순환 속으로 들어가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

 

In his first Dharma talk, the Buddha cautioned his disciples not to be attached to either bhava or abhava, being or nonbeing, because bhava and abhava are just constructs of the mind. Reality is somewhere in between. When we present the Twelve Links in the usual way, if we say there is no attachment, it means there will be no being, that we are aspiring to abhava. But this is exactly what the Buddha did not want. If you say that the purpose of the practice is to destroy being in order to arrive at nonbeing, this is entirely incorrect. With nonattachment, we see both being and nonbeing as creations of our mind, and we ride the wave of birth and death. We don't mind birth. We don't mind death. If we have to be born again to continue the work of helping, that is okay. We know that nothing is born and nothing can die. We have the wisdom of no-birth and no-death. We know that there is birth, old age, and death, but we also know that these are only waves on which bodhisattvas ride. Birth is okay and death is okay, if we know that they are only concepts in our mind. Reality transcends both birth and death.

최초의 설법에서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유(有)와 무(無)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고 주의를 주신 까닭은 유(有)와 무(無)는 마음의 구성물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실재(實在)는 그 사이 어딘가에 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12연기를 제시할 때, 집착이 없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존재가 없을 것이라는 뜻인데, 이는 무(無)를 동경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그것은 부처님이 바라신 것이 전혀 아니다. 무(無)에 이르기 위해 유(有)를 버리는 것이 수행의 목적이라고 한다면, 이것은 전적으로 잘못된 것이다. 집착하는 일없이 유와 무 양자를 마음이 만들어낸 것으로 보고 태어남과 죽음의 파도를 타고 넘을 줄 알아야 한다. 태어남도 싫어해서는 안 되고 죽음도 싫어해서는 안 된다. 남을 도와주는 일을 계속하기 위해서 다시 태어나야 한다면, 그것은 괜찮은 일이다. 우리는 아무 것도 태어나고 죽는 것은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우리는 태어남도 죽음도 없다[불생불멸(不生不滅)]의 지혜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태어남, 늙음, 죽음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또한 이것들은 보살들이 타고 넘는 파도에 불과하다는 것도 알고 있다. 태어남과 죽음이 마음이 지어낸 개념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한, 태어남도 괜찮고 죽음도 괜찮다. 실재(實在)는 태어남과 죽음 모두를 초월해 있다.

 

In the eleventh century in Vietnam, a monk asked his meditation master, "Where is the place beyond birth and death?" The master replied, "In the midst of birth and death." If you abandon birth and death in order to find nirvana, you will not find nirvana. Nirvana is in birth and death. Nirvana is birth and death. It depends on how you look at it. From one point of view, it is birth and death. From another, it is nirvana.

11세기 베트남의 한 승려가 어느 선사에게 물었다. “생사(生死)를 초월한 자리가 어디입니까?” 선사가 대답했다. “생사(生死)의 한가운데이다.” 열반을 구하기 위해 생사(生死)를 포기한다면, 열반을 구하지 못하게 된다. 열반은 생사(生死) 속에 있기 때문이다. 열반은 생사(生死) 그 자체이다. 그것은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있는 문제이다. 이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생사(生死)가 되고, 저 관점에서 보면 그것은 열반이 되는 것이다.

 

Let us not present the teaching of the Buddha as an attempt to escape from life and go to nothingness or nonbeing. Bodhisattvas vow to come back again and again to serve, not because of craving but because of their concern and willingness to help. The practice of mindful living develops the same kind of wisdom, concern, and loving kindness in us, so we can serve. It is time for us to present the teaching of Interdependent Co-Arising in a way that is easy and approachable for the people of our time. Those who teach the Twelve Links need to understand their positive side, also. When we are motivated by our mind of love, all Twelve Links become brighter.

부처님의 가르침을 삶에서 무(無)로 달아나려고 하는 시도로 보이게 해서는 안 된다. 보살이 다시 태어나서 또 남을 돕겠다는 서원을 세우는 까닭은 갈망 때문이 아니라 기꺼이 남을 도우려는 의지와 배려 때문이다. 알아차리는 자세로 살아가면 똑같은 종류의 지혜, 배려와 자비심을 얻게 되므로 우리도 남을 도울 수 있게 된다. 이제 12연기의 가르침을 우리 시대의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할 때가 되었다. 12연기를 가르치는 사람들은 그것의 등정적인 측면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사랑의 마음을 가질 때 열두 가지 고리 모두는 좀 더 밝은 것이 된다.

 

There is co-arising conditioned by deluded mind and co-arising conditioned by true mind. The world, society, and the individual have been formed by a cycle of conditions based on deluded mind. Naturally, in a world based on deluded mind, there is suffering and affliction. But when conditions are based on true mind, they reflect the wondrous nature of reality. Everything depends on our mind. Imagine one thousand people whose minds are full of misperceptions, wrong views, envy, jealousy, and anger. If they come together, they will create a hell on Earth. The surroundings they live in, their daily lives, and their relationships will all be hellish. If two people full of misunderstanding live together, they create a hell realm for each other. How much greater the hell of one thousand people!

연기는 현혹당한 마음[망심(妄心)]이 낳는 것이 있고 진정한 마음[진심(眞心)]이 낳는 것이 있다. 세계, 사회, 개인은 현혹당한 마음[망심(妄心)]에 근거한 일련의 조건에 의해서 형성되어 왔다. 망심(妄心)에 근거한 세상에는 당연히 고통과 번뇌가 있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조건들이 진정한 마음[진심(眞心)]에 근거하고 잇을 때, 그것들은 실재의 미묘한 성질을 반영한다. 모든 것은 우리의 마음에 달려있다[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오해, 잘못된 견해, 부러움, 질투와 분노로 가득 찬 마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천 명 있다고 해보자. 그들이 한 자리에 모이면 지옥이 따로 없게 될 것이다. 그들이 살아가는 환경, 일상생활과 인간관계는 모두 지옥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것이 되고 말 것이다. 잔뜩 오해를 하고 있는 두 사람이 같이 살면 작다 해도 지옥이 따로 없게 된다. 그런데 천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지옥은 얼마나 더 클까?

 

To make hell into paradise, we only need to change the mind on which it is based. To change the minds of one thousand people, it may be necessary to bring in some element from the outside, like a Dharma teacher or a group of people practicing the Dharma. Imagine one thousand people who do not have wrong perceptions, anger, or jealousy, but who have love, understanding, and happiness. If these people come together and form a community, it will be paradise. The mind of the people is the basis of paradise. With your deluded mind, you make hell for yourself. With your true mind, you make paradise. If two people come together with true mind, they make a small paradise for themselves. If a third person wants to join them, they should be careful. "Should we let him join us or not?" If their paradise is solid, they can allow him to join. With two true minds, there is hope that one deluded mind can be gradually transformed. Later, there will be three true minds, and this small paradise will continue to grow.

지옥을 낙원으로 바꾸려면 마음을 바꾸기만 하면 된다. 천 명의 마음을 바뀌게 하려면, 법사(法師) 또는 불법을 실천하는 무리 같은 어떤 요소가 외부에서 도입되어야 한다. 잘못된 지각, 분노 또는 질투가 아니라 사랑, 이해와 행복을 누리고 사는 사람들이 천 명 있다고 해보자. 이런 사람들이 함께 모여 공동체를 이룬다면, 그곳은 낙원이 될 것이다. 망심(妄心)을 버리지 못 하면 스스로 지옥을 만들게 된다. 진심(眞心)을 얻으면 낙원이 따로 없게 된다. 진심을 가진 두 사람이 함께 살면 작은 낙원이 만들어진다. 제3자가 그들과 함께 살기를 바란다면, 그들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를 받아들여야 하나 말아야 하나?” 그들의 낙원이 견고하다면, 그 사람들을 받아들여도 된다. 두 사람이 진심을 가지고 있으면 망심을 가진 한 사람도 점차 변화될 수 있는 희망이 있다. 그렇게 해서 나중에 진심을 가진 사람이 셋이 되고, 이 작은 낙원은 계속해서 커나가게 될 것이다.

 

Many volumes have been written about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based on deluded mind. We haveto open a new door and teach the practice of the Twelve Links based on true mind in order to bring about a world of peace and joy.

망심에 근거한 12연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책들이 무척 많다. 하지만 세계가 평화와 기쁨을 누리게 하려면 새로운 문을 열어 진심에 근거한 12연기의 수행을 가르쳐야만 한다.

 

 

CHAPTER TWENTY-EIGHT Touching the Buddha Within

28장 우리 안에 있는 부처님 만나기

 

In 1968, I was in India with Samdech Maha Ghosananda, a leader of Cambodian Buddhism, and Sister Ch?n Kh?ng, my dear student, friend, and colleague. For several days we sat together on Vulture Peak until sunset, and I realized that in former times the Buddha had looked at the same setting sun with the same eyes. Afterwards, we walked down the mountain slowly and mindfully, not saying a word, and since that day, I have continued to walk in the same way.

1968년에 나는 캄보디아 불교 지도자인 삼덱 마하 고사난다와 나의 애제자이자 친구이고 동료인 찬 콩 비구니와 함께 인도에 갔다. 며칠 동안 우리는 해질녘까지 영축산(靈鷲山) 꼭대기에 앉아 있었는데, 나는 옛날에 부처님도 우리와 같은 눈으로 똑같은 일몰을 바라보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뒤에 우리는 한 마디도 하지 않은 채 천천히 알아차리는 자세로 산을 걸어내려 왔는데, 그날 이후 나는 그와 똑같은 방식으로 계속해서 걷고 있다.

 

Vulture Peak is beautiful, and Europe, Asia, Africa, Australia, North and South America are also beautiful. When there is mist on the mountains, it is beautiful, and when there is no mist, it is also beautiful. All four seasons are beautiful. You are beautiful, and your friends are beautiful. There is nothing to stop you from being in touch with life in the present moment. The question is, Do you have eyes that can see the sunset, feet that can touch the earth? If the Buddha were to transmit his eyes to you, would you know how to use them? Don't think that happiness will be possible only when conditions around you become perfect. Happiness lies in your own heart. You only need to practice mindful breathing for a few seconds and you'll be happy right away. Confucius said, "What greater joy can there be than putting into practice what you have learned?"

영축산(靈鷲山)도 아름답고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 북남미도 아름답다. 안개가 낀 산도 아름답고, 안개가 끼지 않은 산도 아름답다. 사계절도 아름답다. 당신도 아름답고, 당신의 친구도 아름답다. 지금 이 순간의 삶을 접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문제는 우리는 과연 일몰을 볼 수 있는 눈과 땅을 느낄 수 있는 발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부처님이 당신의 눈을 우리에게 빌려주신다면, 우리는 그 눈을 사용하는 법을 알게 될까? 주변의 환경이 완벽해야 비로소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행복은 우리의 마음속에 있다. 단 몇 초 동안 알아차리는 자세로 호흡을 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즉시 행복해질 수 있다.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배운 것을 실천하는 것보다 더 큰 기쁨이 있겠는가?”

 

Sometimes we feel as though we are drowning in the ocean of suffering, carrying the burden of all social injustice of all times. The Buddha said, "When a wise person suffers, she asks herself, 'What can I do to be free from this suffering? Who can help me? What have I done to free myself from this suffering?' But when a foolish person suffers, she asks herself, 'Who has wronged me? How can I show others that I am the victim of wrongdoing? How can I punish those who have caused my suffering?'" Why is it that others who have been exposed to the same conditions do not seem to suffer as much as we do? You might like to write down the first set of questions and read them every time you are caught in your suffering.

때로 우리는 모든 시대의 사회적 불의라는 짐을 짊어진 채 고해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느낌을 갖게 된다. 부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현명한 사람은 괴로움을 겪을 때 이렇게 자신에게 묻는다. ‘어떻게 하면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누가 나를 도와줄 수 있을까? 이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왔던가?’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은 이렇게 묻는다. ‘누가 나를 망쳤을까? 어떻게 하면 내가 악행의 희생자라는 것을 남들에게 알릴 수 있을까? 내게 고통을 준 사람들에게 어떻게 앙갚음을 해야 하나?’” 똑같은 조건에 처해 있으면서도 우리가 겪는 것만큼 괴로움을 겪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현명한 사람의 질문을 종이에 써두고 고통을 겪을 때마다 읽는 것도 좋은 일이다.

 

Of course, you have the right to suffer, but as a practitioner, you do not have the right not to practice. We all need to be understood and loved, but the practice is not merely to expect understanding and love. It is to practice understanding and love. Please don't complain when no one seems to love or understand you. Make the effort to understand and love them better. If someone has betrayed you, ask why. If you feel that the responsibility lies entirely with them, look more deeply. Perhaps you have watered the seed of betrayal in her. Perhaps you have lived in a way that has encouraged her to withdraw. We are all co-responsible, and if you hold onto the attitude of blame, the situation will only get worse. If you can learn how to water the seed of loyalty in her, that seed may flower again. Look deeply into the nature of your suffering so you will know what to do and what not to do to restore the relationship. Apply your mindfulness, concentration, and insight, and you will know what nourishes you and what nourishes her. Practice the First Noble Truth, identifying your suffering; the Second Noble Truth, seeing its sources; and the Third and Fourth Noble Truths, finding ways to transform your suffering and realize peace.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Noble Eightfold Path are not theories. They are ways of action.

물론 우리에게 고통을 겪을 권리가 있기는 하지만, 수행자에게는 수행을 하지 않을 권리가 없다. 우리 모두는 사랑과 이해를 받을 필요가 있지만, 수행은 그저 이해와 사랑을 기대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자기를 사랑하거나 이해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불평을 해서는 안 된다. 도리어 상대방을 보다 잘 이해하고 사랑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누가 우리를 배신하면, 그 이유를 물어보자. 그 책임이 전적으로 상대방에게 있다는 생각이 들면 자신을 깊숙이 들여다보아야 한다. 어쩌면 우리는 상대방의 마음속에 있는 배신의 씨앗에 물을 주었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우리는 상대방이 떠날 수밖에 없다는 마음이 들도록 살아왔는지도 모른다. 책임은 우리 모두에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저 상대방을 비난하는 자세만 가지고 있다면, 상황은 더욱 나빠질 따름이다. 상대방의 마음속에 있는 충실함의 씨앗에 물을 주는 법을 익히게 되면 그 씨앗은 다시 꽃을 피우게 될지도 모른다. 자신이 겪고 있는 고통의 성질을 깊숙이 들여다보면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데 해야 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을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알아차림, 집중, 지혜를 적용해보면, 자신과 상대방을 이롭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다. 고통을 확인하는 고성제, 그 근원을 파악하는 집성제와 고통을 변화시키고 평화를 이루는 방법을 찾는 멸성제와 도성제를 수행해야 한다. 사성제와 팔정도는 그저 이론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바로 행동 방식인 것이다.

 

We begin the practice by seeking meaning for our life. We know that we don't want to run after fame, money, or sensual pleasure, and so we learn the art of mindful living. In time, we develop some understanding and compassion, and we find that these are the energies we can use to alleviate our suffering and the suffering of others. This already gives some meaning to our life.

우리는 인생의 의미를 찾는 것으로 수행을 시작해야 한다. 명예, 돈 또는 감각적 쾌락을 추구하며 살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들게 되면, 알아차리는 자세로 살아가는 방법을 익혀보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이윽고 이해와 연민의 마음을 얻게 되면, 이러한 것들이 나와 남들의 고통을 줄이는 데 쓸 수 있는 힘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렇게 되는 것만으로도 이미 어느 정도 삶의 의미를 찾게 된 셈이다.

 

We continue the practice, looking deeply into the Five Aggregates that comprise the self,1 and we touch the reality of no-birth and no-death that is in us and in everything. This touching brings us the greatest relief. It removes all of our fears, offers us true freedom, and gives real meaning to our life.

자아를 구성하고 있는 오온(주1)을 깊숙이 들여다보는 수행을 계속하면 우리를 비롯한 만물 속에 있는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실재(實在)를 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가장 커다란 안도감을 얻게 된다. 실재(實在)를 접하게 되면 모든 두려움이 사라지고 진정한 자유를 얻게 되면 인생의 참된 의미를 찾게 된다.

 

1 See chap. 23.

주1) 23장을 보라.

 

We need places where we can go to sit, breathe quietly, and look and listen deeply. When we have difficulties at home, we need a room like that where we can take refuge. We also need parks and other peaceful places where we can practice walking meditation alone and with others. Educators, architects, artists, legislators, businessmen ? all of us have to come together to create spaces where we can practice peace, harmony, joy, and deep looking.

우리에겐 조용히 앉아서 호흡을 하고 깊숙이 들여다보고 귀 기울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집안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 편히 쉴 수 있는 방 같은 것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우리에겐 혼자 또는 다른 이들과 함께 걷기 명상을 할 수 있는 공원 또는 그 밖에 다른 평화로운 장소가 필요하다. 교육가, 건축가, 예술가, 국회의원과 사업가를 비롯해서 우리 모두는 함께 힘을 합쳐 평화, 조화, 기쁨과 깊숙이 들여다봄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공간들을 만들어내어야 한다.

 

There is so much violence in our schools.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work together to transform the violence. Schools are not just places for transmitting technical know-how. They must also be places where children can learn to be happy, loving, and understanding, where teachers nourish their students with their own insights and happiness. We also need places in hospitals where family members, health care workers, patients, and others can sit, breathe, and calm themselves. We need City Halls where responsible people can look deeply into local problems. We need Congress to be a place where our real problems are truly addressed. If you are an educator, a parent, a teacher, an architect, a health care worker, a politician, or a writer, please help us create the kinds of institutions we need for our collective awakening.

지금 우리의 학교에서는 폭력이 난무하고 있다. 부모, 교사, 학생들은 이러한 상황을 고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 학교는 그저 지식을 기계적으로 전달해주는 곳이 아니다. 학교 역시 어린이들이 행복, 사랑, 이해를 배울 수 있고 교사들이 자신들의 지혜와 행복을 통해 학생들을 기를 수 있는 곳이 되어야만 한다. 병원에도 가족, 의료진, 환자와 다른 이들이 앉아서 호흡을 하고 자신을 진정시킬 수 있는 장소가 있어야 한다. 시청은 책임 있는 사람들이 지역 문제를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 국회는 우리가 당면한 실제 문제가 참되이 거론되는 곳이 되어야 한다. 우리가 교육가, 부모, 교사, 건축가, 의료진, 정치가 또는 작가라면, 우리의 집단작인 깨달음을 위해 필요한 기관을 설립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Our legislators need to know how to calm themselves and communicate well. They need to know how to listen and look deeply and to use loving speech. If we elect unhappy people who don't have the capacity to make their own families happy, how can we expect them to make our city or our nation happy? Don't vote for someone just because he or she is handsome or has a lovely voice. We are entrusting the fate of our city, our nation, and our lives to such people. We have to act responsibly. We need to create communities of deep looking, deep sharing, and real harmony. We need to be able to make the best kinds of decisions together. We need peace, within and without.

국회의원들은 스스로를 진정시키고 의사소통을 잘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들은 주의 깊게 보고 듣고 사랑이 깃든 말을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자기 가족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능력이 없는 불행한 사람을 뽑는다면, 그들이 우리가 사는 도시나 나라를 행복하게 해주리라고 어떻게 기대할 수 있겠는가? 그저 얼굴이 잘 생겼다거나 목소리가 좋다고 해서 표를 던지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우리의 도시, 나라와 삶을 그런 사람들에게 내맡기는 것이나 다름없는 일이다. 우리는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해야만 한다. 우리는 깊숙이 들여다보고 서로 속내를 털어놓음으로써 진정한 화합을 이룰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어내야 한다. 우리는 최선의 결정을 함께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우리에겐 안팎에 두루 걸친 평화가 필요하다.

 

The heart of the Buddha is in each of us. When we are mindful, the Buddha is there. I know a four-year-old boy who, whenever he is upset, stops what he is doing, breathes mindfully, and tells his mommy and daddy, "I am touching the Buddha within." We need to take care of the healthy seeds that are in us by watering them every day through the practice of mindful breathing, mindful walking, mindfully doing everything. We need to touch the Buddha within us. We need to enter our own heart, which means to enter the heart of the Buddha. To enter the heart of the Buddha means to be present for ourselves, our suffering, our joys, and for many others. To enter the heart of the Buddha means to touch the world of no-birth and no-death, the world where water and wave are one.

부처님의 마음은 우리 각자 속에 있다. 알아차릴 때 부처님은 거기 계신다. 내가 아는 네 살 먹은 어떤 아이는 화가 날 때면 하던 일을 멈추고 알아차리는 자세로 호흡을 하고 나서 엄마와 아빠에게 이렇게 말한다. “나는 지금 내 마음속에 있는 부처님을 만나고 있어요.” 우리는 알아차리는 자세로 호흡하고 걷고 모든 일을 하면서 매일 우리 안에 있는 건전한 씨앗에 물을 줌으로써 그 씨앗을 잘 보살펴주어야 한다. 우리는 우리 마음속에 있는 부처님을 만나야 한다. 우리는 자신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보아야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은 부처님의 마음을 헤아려 본다는 뜻이다. 부처님의 마음을 헤아려 본다는 것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의 세계, 즉 바다와 파도가 하나인 세계를 접한다는 뜻이다.

 

When we begin the practice, we bring our suffering and our habit energies with us, not just those of twenty or thirty years, but the habit energies of all our ancestors. Through the practice of mindful living, we learn new habits. Walking, we know that we are walking. Standing, we know that we are standing. Sitting, we know that we are sitting. Practicing this way, we slowly undo our old habits and develop the new habit of dwelling deeply and happily in the present moment. With mindfulness in us, we can smile a smile that proves our transformation.

수행을 처음 시작할 때 우리에겐 고통과 그저 이삼십 년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모든 조상들에게서 물려받은 습관의 힘이 남아있다. 알아차리는 자세로 살아감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습관을 익히게 된다. 걸을 때는 걷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서 있을 때는 서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앉아 있을 때는 앉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런 식으로 수행하면 옛날의 습관이 차츰 사라지고 지금 이 순간을 행복하게 또 철저하게 살아가는 새로운 습관이 들게 된다. 알아차리는 자세가 확립되면, 우리는 우리가 변화했다는 사실을 입증해주는 미소를 지을 수 있게 된다.

 

The heart of the Buddha has been touched by our being wonderfully together. Please practice as an individual, a family, a city, a nation, and a worldwide community. Please take good care of the happiness of everyone around you. Enjoy your breathing, your smiling, your shining the light of mindfulness on each thing you do. Please practice transformation at the base through deep looking and deep touching. The teachings of the Buddha on transformation and healing are very deep. They are not theoretical. They can be practiced every day. Please practice them and realize them. I am confident that you can do it.

함께 어울려 잘 살아가면 부처님의 마음을 접하게 된다. 개인, 가족, 도시, 나라, 전 세계에 걸친 공동체 차원에서 수행을 해야 한다. 주변에 있는 모든 이들의 행복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숨 쉬고, 웃고 자기가 하는 모든 일에 알아차림의 빛을 비추는 것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 깊숙이 들여다보고 철저하게 접함으로써 근본 변환을 실천에 옮겨야 한다. 변환과 치유에 관한 부처님의 가르침은 매우 심오한 것이다. 그것은 그저 이론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 가르침을 매일 실천할 수 있다. 그 가르침을 실천에 옮겨서 현실화시켜야 한다. 나는 여러분들이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