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사양은 3월15일경 산수유, 생강나무,
진달래에서 자연 화밀이 조금씩 반입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사양을 시작하되,
이때도 설사병 예방을 위해서 원0봉을
사양액 1말에 2봉지씩 넣어서 사양을 하려고 합니다.
- 유아용 미00산아이지를 조금 타서해도 효과적입니다.
월동사양을 넉넉히 하여 식량이 충분한 경우와
저밀소비를 확보한 봉장에서는 자극사양을 그리
서두를 필요가 없는 듯 합니다.
단, 저밀소비가 확보되지 않고 월동식량마져 부족해서
아사의 가능성이 있는 봉장에서는 일찍부터 자극사양을
해서 굶어죽는 벌이 없도록 합니다.
이때는 사양액에 원0봉이나 미00산아이지를 혼합해서
소화불량으로 설사를 하면서 기는벌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가을철에 넉넉한 저밀소비가 확보된 분은 잘 저밀된
소비를 벌통 내부 안 벽쪽에 한장씩 넣어주어 보온판
역할을 겸하게 하는 방법도 있고,
식량이 좀 부족해 보이는 벌통은 착봉소비와 소비사이
가운데에 한 장을 넣어주어 좌, 우측에서 꿀벌들이 파
먹으면서 빈 소방에 산란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의 전제조건은 착봉이 잘 돼야 합니다.
착봉이 약하거나 불량한 벌에 저밀소비를 넣으면
오히려 역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란 / 육아권 가까이에 충분한 화분떡과 저밀소비가
위치하게 하므로써 안정된 상태에선 여왕벌의 산란이
왕성하고 육충이 잘 됨을 볼 수 있습니다.
자극사양 대신에 저밀소비를 넣어준 경우는 급수가
대단히 중요한데, 물 공급은 자동사양기를 설치해서
24시간 계속 주는것이 좋습니다.
이른 봄철 군세가 약한 상태에서 사양을 과다하게 하면
불필요한 노동이 강요되고 축소시킨 소비에 저밀(貯蜜)을
하므로써 여왕벌의 산란공간을 압박합니다.
특히, 초보자들이 실수하기 쉬운 부분이
바로 초봄의 과다사양입니다.
이른 봄 첫 사양은 3월10일 이후부터 하되,
설탕15Kg 한포에 물 6되를 희석한 비율로 시작해
점차 물의 량을 늘려나가는데,
3월하순 이후엔 설탕 한포에 물 8되의 비율로
묽은 사양액을 만들어 자주 넉넉히 주는것이 좋습니다.
이때부터는 좀 과다사양이 유리합니다.
" 정리채밀 량이 꿀 수확에 비례한다 " 는
말을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많큼 봄철의 사양은
꿀벌의 번식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