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화연풍(時和年豊)
시절이 평화롭고 해마다 풍년이 든다는 뜻으로, 태평성대를 비유하는 말이다.
時 : 때 시(日/6)
和 : 화할 화(口/5)
年 : 해 년(干/3)
豊 : 풍년 풍(豆/6)
(유의어)
시화세풍(時和歲豐)
시화세풍(時和歲豊)
시화연풍(時和年豐)
출전 : 모시정의(毛詩正義) 소아(小雅)편
이 성어는 모시정의(毛詩正義) 소아(小雅)편에 나오는 "만물이 성다하고 인민들이 충효하니 시화연풍에 도달한다(萬物盛多, 人民忠孝, 則時和年豊)"라는 구절에서 유래한 말이다.
또 진서(晉書) 식화지(食貨志)와 송서(宋書) 공림지열전(孔琳之列傳)에는 "천하가 무사하고 시화연풍하니 백성들이 즐겁게 생업에 종사한다(天下無事 時和年豊 百姓樂業)"라는 구절이 있다.
이 말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도 여러 차례 언급된다.
세종실록 30년 조(條)에 "변경의 성식과 군정의 긴급한 일 외에는, 무릇 흥작이 있는 것을 일체 모두 정치하여, 천견에 답하고, 시화연풍한 것을 기다려서 거행하소서"라는 대목이 있고,
其邊警聲息, 軍情緊急事外, 凡有興作, 一皆停寢, 以答天譴, 待其時和歲豐, 然後擧之.
중종실록 17년 조에는 "(…) 조정에 잘못이 없고 백성에 원한이 없으면 자연 시화연풍(時和年豐)하여 재변이 저절로 사라질 것"이라고 하였다.
朝廷無闕失, 小民無冤抑, 則自然時和歲豐, 災自弭矣.
이와 같이 시화연풍은 나라가 평안하고 경제가 풍요로운 태평성대를 언급할 때 사용된다.
또 시화연풍은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이명박 당선자가 임기가 시작되는 2008년을 맞이하여 새 정부의 수반으로서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드는 국민 성공시대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아 선정한 사자성어이기도 하였다.
⏹ 시화연풍(時和年豊)
나라의 기후가 화평(時和)하여 그 해 풍년이 든다(年豊)는 좋은 뜻의 성어다. 매년 입춘첩(立春帖)에 자주 오르는 비바람은 순조롭고 시절이 태평하여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입춘첩(雨風順調, 時和歲豊)과 같다.
이명박(李明博) 전 대통령이 당선자 시절에 2008년의 사자성어로 국민화합과 경제성장을 바라며 내세워 널리 알려졌다.
이전 농경시대에는 날씨가 순조로운 이상의 바라는 바가 없었다. 비바람이 순조로워 농사가 풍년이 되면 백성이 편안하고 나라는 태평성대를 노래한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집 시경(詩經)에는 제목만 전하는 것이 있는데 전한(前漢) 사람 모형(毛亨)의 모시(毛詩)를 중심으로 당(唐)나라 때 학자들이 주석한 모시정의(毛詩正義)에는 나타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이 성어도 소아(小雅)편에 ’만물이 번성하고 백성들이 충효를 잘 지키니 시화연풍에 이른다(萬物盛多, 人民忠孝, 則致時和年豐)‘라고 등장한다.
이 성어는 일반인에 처음 오르내렸을 때 출전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라고 한 곳이 있을 정도로 우리 고전에 자주 사용됐다. 그만큼 여러 선인들의 문집에서도 쓰임이 많다.
한 곳의 예를 보자. 1448년 세종(世宗) 30년 조에는 우찬성(右贊成)을 맡고 있던 김종서(金宗瑞)가 가뭄을 당하여 상서한 것에 기록이 보인다.
나라는 태평하지만 가뭄이 재앙이 되어 민간에 괴로움이 많으니 아주 긴요한 일 이외에는 모두 중지하고 ‘시절이 화평하여 풍년이 든 이후에 거행하소서(待其時和歲豊, 然後擧之)’하고 올린다.
경제 대통령으로 큰 기대를 모았던 이 전 대통령은 눈에 띄는 성장은 보여주지 못하고 측근 비리와 부패로 수감되는 치욕을 맛봤다. 그 때문은 아니겠지만 좋은 뜻의 이 성어도 사용하기에 떨떠름하게 여겨지게 됐다.
나라가 평안하고 경제가 풍요로운 태평성대를 바라지 않을 사람은 없다. 시끄러운 대립이 없고 수출이 늘어 김종서(國泰民安, 家給人足)이 되는, 실제 말이 문제가 아니라 말에 들어맞는 그러한 시절이 왔으면 좋겠다.
▶️ 時(때 시)는 ❶형성문자로 峕(시), 时(시)는 통자(通字), 时(시)는 간자(簡字), 旹(시)는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날 일(日; 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寺(시)로 이루어졌다. 태양(日)이 일정한 규칙에 의해 돌아간다는 뜻이 합(合)하여 '때'를 뜻한다. 나중에 날 일(日; 해)部와 寺(시)는 之(지)로부터 생긴 글자이고 음(音)도 뜻도 거의 같으며 일이 진행됨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時자는 ‘때’나 ‘기한’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時자는 日(해 일)자와 寺(절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갑골문에서는 日자와 止(그칠 지)자만이 결합해 있었다. 이것은 “시간이 흘러간다.”라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후에 소전에서는 寺자가 발음역할을 하게 되면서 지금의 時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時자는 ‘때’나 ‘시간’과 관련된 글자이기 때문에 때로는 ‘기회’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그래서 時(시)는 (1)시간의 단위로 곧 하루의 1/24. (2)시각을 나타내는 단위로 하루를 24시로 나눔. (3)1주야(晝夜)의 구분으로 지금은 자정(子正)으로부터 오정(午正)까지를 오전(午前), 그 다음부터 자정까지를 오후(午後)라 하며, 그것을 각각 12등분함. 옛날에는 현재의 24시간을 12지(支)에 따라 12등분 하였으며 자시(子時)에서 시작되어 축시(丑時), 인시(寅時), 묘시(卯時) 등으로 불렀음. (4)사람이 난 시각으로 자시(子時), 인시(寅時) 등으로 일컬음. (5)일정한 일이나 현상이 일어나는 시간. 등등의 뜻으로 ①때 ②철, 계절(季節) ③기한(期限) ④세대(世代), 시대(時代) ⑤기회(機會) ⑥시세(時勢) ⑦당시(當時), 그때 ⑧때마다, 늘 ⑨때를 맞추다 ⑩엿보다, 기회(機會)를 노리다 ⑪좋다 ⑫훌륭하다 ⑬관장(管掌)하다, 주관(主管)하다 ⑭쉬다, 휴식(休息)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기약할 기(期)이다. 용례로는 어떤 시각에서 어떤 시각까지의 사이를 시간(時間), 역사적으로 구분한 어떤 기간을 시대(時代), 어떤 일이나 현상이 진행되는 때를 시기(時期), 때가 절박하여 바쁨을 시급(時急), 시간의 흐름 위의 어떤 한 점을 시점(時點), 사람의 한평생을 나눈 한 동안을 시절(時節), 기한이 정해진 시각을 시한(時限), 시간의 어느 한 시점을 시각(時刻), 시간을 재거나 가리키는 기계를 시계(時計), 어느 일정한 때의 어떤 물건의 시장 가격을 시세(時勢), 그 당시에 일어난 일을 시사(時事), 당면한 국내 및 국제적 정세를 시국(時局), 일이 생긴 그때를 당시(當時), 때때로나 그때그때를 수시(隨時), 같은 때나 같은 시간이나 같은 시기나 시대를 동시(同時), 잠시간의 준말로 오래지 않은 동안을 잠시(暫時), 본래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 어떤 일에 당하여 정한 때를 임시(臨時), 그 자리에서나 금방이나 바로 그때나 당장에를 즉시(卽時), 날짜와 시간을 일시(日時), 전쟁이 벌어진 때를 전시(戰時), 임시가 아닌 관례대로의 보통 때를 상시(常時), 나라가 태평하고 곡식이 잘 됨을 시화연풍(時和年豐), 오히려 때가 이르다는 뜻으로 아직 때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시기상조(時機尙早), 자꾸 자꾸 시간 가는 대로를 시시각각(時時刻刻), 한 번 지난 때는 두 번 다시 오지 아니하므로 때를 놓쳐서는 안 된다는 말을 시불가실(時不可失), 한 번 지난 때는 두 번 다시 오지 아니한다는 말을 시부재래(時不再來), 세월이 흐르면 그 사물도 변한다는 시이사변(時移事變), 좋을 때를 만난 기뻐 감탄하는 소리를 시재시재(時哉時哉), 어떤 일에 알맞은 때가 닥쳐옴을 시각도래(時刻到來), 세상을 화평하게 다스리는 정치를 시옹지정(時雍之政), 갑자기 생긴 일을 우선 임시로 둘러 맞춰서 처리함을 임시변통(臨時變通), 해가 돋는 때부터 지는 때까지의 시간을 가조시간(可照時間) 등에 쓰인다.
▶️ 和(화할 화)는 ❶형성문자로 惒(화)는 통자(通字), 咊(화)는 고자(古字), 訸(화)와 龢(화)는 동자(同字)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禾(화)와 수확한 벼를 여럿이 나누어 먹는다는(口) 뜻을 합(合)하여 '화목하다'를 뜻한다. ❷형성문자로 和자는 '화목하다'나 '온화하다'하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和자는 禾(벼 화)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禾자가 '벼'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口자가 더해진 和자는 먹고살 만하니 '화목하다'와 같은 식으로 해석하곤 한다. 그러나 갑골문에서는 龠(피리 약)자가 들어간 龢(화할 화)자가 쓰였었다. 龢자는 피리를 그린 龠자를 응용한 글자로 피리 소리가 고르게 퍼져나간다는 의미에서 '조화롭다'를 뜻했었다. 여기서 禾자는 발음역할만을 했었다. 하지만 금문에서 부터는 소리의 조화를 口자가 대신하게 되면서 지금의 和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和(화)는 (1)관악기(管樂器)의 한 가지. 모양의 생(笙)과 같이 생겼는데, 십삼관(十三管)으로 되었음 (2)합(合)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화하다(서로 뜻이 맞아 사이 좋은 상태가 되다) ②화목하다 ③온화하다 ④순하다 ⑤화해하다 ⑥같다 ⑦서로 응하다 ⑧합치다 ⑨허가하다 ⑩모이다 ⑪화답하다 ⑫양념하다 ⑬나라의 이름(일본) ⑭합계 ⑮악기(樂器)의 한 가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화합할 협(協), 화목할 목(睦),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싸움 전(戰)이다. 용례로는 다툼질을 서로 그치고 풂을 화해(和解), 서로 뜻이 맞고 정다움을 화목(和睦), 화목하여 잘 합하여 짐을 화합(和合), 시나 노래에 서로 응하여 대답함을 화답(和答), 온화하고 순함을 화순(和順), 날씨가 바람이 온화하고 맑음을 화창(和暢), 마음이 기쁘고 평안함을 화평(和平), 급박하거나 긴장된 상태를 느슨하게 함을 완화(緩和), 평온하고 화목함을 평화(平和), 서로 잘 어울림을 조화(調和), 날씨가 맑고 따뜻하며 바람이 부드러움을 온화(溫和), 교전국끼리 싸움을 그만두고 서로 화해함을 강화(講和), 서로 어울려 화목하게 됨을 융화(融和), 성질이 부드럽고 온화함을 유화(柔和), 서로 친해 화합함을 친화(親和), 화창한 바람과 따스한 햇볕이란 뜻으로 따뜻한 봄날씨를 이르는 말을 화풍난양(和風暖陽), 남과 사이 좋게 지내되 義를 굽혀 좇지는 아니한다는 뜻으로 남과 화목하게 지내지만 자기의 중심과 원칙을 잃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화이부동(和而不同),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부드러운 기운이 넘쳐 흐름을 이르는 말을 화기애애(和氣靄靄), 부드러운 바람이 불고 단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날씨가 고름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화풍감우(和風甘雨), 음과 양이 서로 화합하면 그 기운이 서로 어우러져 상서를 냄을 일컫는 말을 화기치상(和氣致祥), 우레 소리에 맞춰 함께한다는 뜻으로 자신의 뚜렷한 소신 없이 그저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을 의미하여 일컫는 말을 부화뇌동(附和雷同),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가 다정하고 화목함을 이르는 말을 금슬상화(琴瑟相和), 서로 뜻이 맞지 않아 일어나는 충돌 또는 둘 이상의 음이 같이 울릴 때 서로 어울리지 않고 탁하게 들리는 음을 일컫는 말을 불협화음(不協和音), 겉으로는 동의를 표시하면서 내심으로는 그렇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동이불화(同而不和), 곡이 높으면 화답하는 사람이 적다는 뜻으로 사람의 재능이 너무 높으면 따르는 무리들이 적어진다는 말을 곡고화과(曲高和寡), 국민의 화합과 나아가 인류의 화합을 지향한다는 뜻을 일컫는 말을 조민유화(兆民有和) 등에 쓰인다.
▶️ 年(해 년/연, 아첨할 녕/영)은 ❶형성문자로 禾(화)는 벼, 음(音)을 나타내는 人(인) 또는 千(천)은 많음을 나타낸다. 年(연)은 가을에 많은 수확이 있음, 익다, 나중에 벼가 자라는 기간에서 연월(年月)의 해란 뜻으로 쓰고, 익다의 뜻은 稔(임)으로 쓴다. ❷형성문자로 年자는 '해'나 '나이', '새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年자는 干(방패 간)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방패'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年자는 禾(벼 화)자와 人(사람 인)자가 결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年자의 갑골문을 보면 人자 위로 禾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볏단을 등에 지고 가는 사람을 표현한 것이다. 볏단을 등에 지고 간다는 것은 수확을 마쳤다는 뜻이다. 농부들에게 한 해의 마무리는 당연히 추수가 끝나는 시점일 것이다. 그래서 年자는 한해가 마무리되었다는 의미에서 '해'나 '새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年(년, 녕)은 ①해 ②나이 ③때, 시대(時代) ④새해, 신년 ⑤연령(年齡) ⑥잘 익은 오곡(五穀) ⑦콧마루 ⑧사격의 하나 ⑨사람의 이름 ⑩익다 ⑪오곡(五穀)이 잘 익다 그리고 ⓐ아첨하다(녕)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한 해 동안을 연간(年間), 한해의 마지막 때를 연말(年末), 새해의 첫머리를 연초(年初), 일년 단위로 정하여 지급하는 봉급을 연봉(年俸), 해의 첫머리를 연두(年頭), 십 년 단위로 햇수를 셀 때 쓰는 말을 연대(年代), 사람이나 생물이 세상에 난 뒤에 살아온 횟수로 나이의 높임말을 연세(年歲), 직장에서 직원들에게 1년에 일정 기간씩 주는 유급 휴가를 연가(年暇), 지나가는 날이나 달이나 해를 연화(年華), 해마다 하게 되어 있는 관례를 연례(年例), 그 해의 안 또는 한 해 동안을 연중(年中), 한 해의 마지막 때를 연모(年暮), 지난해를 작년(昨年), 올해의 다음 해를 내년(來年), 열 살 안팎의 어린 나이를 충년(沖年), 매해나 하나하나의 모든 해를 매년(每年), 앞으로 남은 인생을 여년(餘年), 곡식이 잘 되고도 잘 여무는 일 또는 그런 해를 풍년(豐年), 완전히 성숙하지도 않고 아주 어리지도 않은 사내 아이를 소년(少年), 평상시의 해를 예년(例年), 한 해의 마지막 때와 새해의 첫머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을 연말연시(年末年始), 한 해 동안 하루도 쉬는 일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연중무휴(年中無休), 풍년이 들어 백성이 즐거워 함을 이르는 말을 연풍민락(年豐民樂), 세월이 매우 오래다는 말을 연구월심(年久月深), 나이가 젊고 한창 성함을 일컫는 말을 연부역강(年富力强), 나이가 많거니와 덕도 아울러 갖춤을 일컫는 말을 연덕구존(年德俱存), 백 년을 기다린다 해도 황하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오랫동안 기다려도 바라는 것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을 백년하청(百年河淸), 권세는 10년을 넘지 못한다는 뜻으로 권력은 오래가지 못하고 늘 변함 또는 영화는 일시적이어서 계속되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권불십년(權不十年), 백년을 두고 하는 아름다운 언약이라는 뜻으로 부부가 되겠다는 약속을 일컫는 말을 백년가약(百年佳約), 부부가 서로 사이좋고 화락하게 같이 늙음을 이르는 말을 백년해로(百年偕老), 세상일에 미혹되지 않는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을 불혹지년(不惑之年), 천명을 알 나이라는 뜻으로 나이 오십을 이르는 말을 지명지년(知命之年), 삼 년 간이나 한 번도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뒷날에 웅비할 기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을 삼년불비(三年不蜚), 언제나 깍듯하게 대해야 하는 어려운 손님이라는 뜻으로 사위를 두고 이르는 말을 백년지객(百年之客), 벽을 향하고 아홉 해라는 뜻으로 한 가지 일에 오랫동안 온 힘을 쏟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면벽구년(面壁九年), 냄새가 만 년에까지 남겨진다는 뜻으로 더러운 이름을 영원히 장래에까지 남김을 일컫는 말을 유취만년(遺臭萬年) 등에 쓰인다.
▶️ 豊(풍년 풍/부들 풍, 예도 례/예, 굽 높은 그릇 례/예)는 ❶상형문자로 豐(풍)의 속자(俗字), 禮(례)의 고자(古字), 禮(예)의 본자(本字), 丰(풍), 礼(예), 礼(예)와 동자(同字)이다. 豆(그릇)위에 음식을 담아 올린 모양으로, 하나 잔뜩 들어 있는 것으로부터 풍부(豐富)의 뜻이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豊자는 '풍년'이나 '넉넉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豊자는 豆(콩 두)자와 曲(굽을 곡)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曲자는 굽은 '자'를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모양자 역할만을 하고 있다. 豊자는 제기 그릇 위로 곡식이 풍성하게 쌓여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豊자의 갑골문을 보면 豆자 위로 禾(벼 화)자나 丰(예쁠 봉)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그릇에 곡식이 풍성하게 담겨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豊자는 본래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갑골문에서는 '예도'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후에 곡식이 풍성하게 담겨있는 모습에서 '풍년'이나 '풍성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자 여기에 示(보일 시)자를 더한 禮(예도 예)자가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豊(풍, 례/예)는 ①풍년(豐年) ②괘(卦)의 이름(풍괘豐卦) ③잔대(盞臺; 술잔을 받치는 데 쓰는 그릇) ④부들(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왕골(사초과의 한해살이풀) ⑤풍년(豐年)이 들다 ⑥우거지다, 무성(茂盛)하다 ⑦성(盛)하다(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흥성하다 ⑧두텁다 ⑨살지다(살이 많고 튼실하다), 풍만(豐滿)하다 ⑩넉넉하다 ⑪풍성(豐盛)하다 ⑫가득하다 ⑬크다, 그리고 ⓐ예도(禮度)(례) ⓑ예절(禮節)(례) ⓒ절(남에게 공경하는 뜻으로 몸을 굽혀 하는 인사)(례) ⓓ인사(례) ⓔ예물(禮物)(례) ⓕ의식(儀式)(례) ⓖ굽 높은 그릇(례) ⓗ책의 이름(예기禮記)(례) ⓘ경전(經典)의 이름(례) ⓙ단술, 감주(甘酒; 엿기름을 우린 물에 밥알을 넣어 식혜처럼 삭혀서 끓인 음식)(례) ⓚ예우(禮遇)하다(례) ⓛ신을 공경(恭敬)하다(례) ⓜ절하다(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두터울 후(厚), 길할 길(吉), 짙을 농(濃), 도타울 돈(敦), 넉넉할 유(裕), 지나칠 주(足), 남을 여(餘), 넉넉할 요(饒),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흉할 흉(凶)이다. 용례로는 넉넉하고 많다는 풍부(豐富), 흠뻑 많아서 넉넉함을 풍요(豐饒), 넉넉하고 많음 또는 그런 느낌을 풍성(豐盛), 매우 넉넉하여 부족함이 없다는 풍족(豐足), 흠뻑 많아서 넉넉함을 풍유(豐裕), 물고기가 많이 잡힘을 풍어(豐漁), 넉넉하고 가득하다는 풍만(豐滿), 푸지고 좋은 맛을 풍미(豐味), 땅이 아주 기름지다는 풍옥(豐沃), 풍성하여 넉넉하다는 풍윤(豐潤), 생김새가 살지고 아름답다는 풍염(豐艷), 농사가 아주 잘된 풍년을 대풍(大豐), 풍년이 들었다는 등풍(登豐), 풍년이 듦을 연풍(年豐), 여러 해를 계속하여 드는 풍년을 연풍(連豐), 넉넉하고 많다는 성풍(盛豐), 흉년과 풍년 또는 흉작과 풍작을 아울러이르는 말을 흉풍(凶豐), 세상이 태평성대라 백성이 행복을 누림을 일컫는 말을 풍형예대(豊亨豫大), 많이 가지고도 조금 줌을 일컫는 말을 풍취각여(豊取刻與), 시절이 평화롭고 해마다 풍년이 든다는 뜻으로 태평성대를 비유하는 말을 시화연풍(時和年豊)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