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염화실
 
 
 
카페 게시글
*** 좋은글(스크랩)모음 스크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5월 8일 후기/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
관문 추천 0 조회 43 14.05.10 21:3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 불기 2558년(2014년) 5월 8일 후기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 (1)

 

영어 공부와 불서 읽기의 묘미 5월 8일 후기.hwp

 

서울경기강원지역방 2897번 글 http://cafe.daum.net/altlovebuddha/PEK/2897

의 후속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첫 번째로 읽었습니다. 오늘 불서읽기에는 반야화 법우, 환희장엄 법우, 저 관문 이렇게 3명이 참석했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모였던 장소 ‘Cafe 57th’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이곳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나와 80 미터 가량 직진하신 후 풍문여고를 오른 쪽에 끼고 돌아서 약 60 미터 가면 보이는 곳입니다. 모이는 때는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입니다.

 

오늘은 우리의 교재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 Author's NoteIntroduction 읽었습니다. 관문이 가지고 있는 책으로 IX-X 페이지와 1-9 페이지입니다.

 

<달라이 라마 스님의 The Art of Happiness>를 읽는 동안의 후기는 저희가 그 날 읽은 내용 중에서 감명 깊은 부분을 발췌해서 영어와 저희가 시도해 본 번역을 올리겠습니다. 번역본으로 <달라이 라마 & 하워드 커틀러/류시화 옮김,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김영사> 를 가끔씩 참고하겠습니다.

오늘 읽은 부분은 류시화 번역본에는 없지만, 책 전체의 분위기 파악에 중요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전체 내용을 저희가 읽은 대로 번역을 올려보기로 하겠습니다.

 

The Dalai Lama and Howard C. Cutler, The Art of Happiness/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AUTHOR'S NOTE

저자의 말

 

In this book, extensive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have been recounted. The private meetings with the Dalai Lama in Arizona and India, which form the basis of this work, took place with the express purpose of collaborating on a project that would present his views on leading a happier life, augmented by my own observations and commentary from the perspective of a Western psychiatrist. The Dalai Lama generously allowed me to select whatever format for the book I felt would most effectively convey his ideas. I felt that the narrative format found in these pages would be most readable and at the same time impart a sense of how the Dalai Lama incorporates his ideas into his own daily life. With the Dalai Lama's approval, I have organized this book according to subject matter, and thus at times I have chosen to combine and integrate material that may have been taken from several different conversations. Also, with the Dalai Lama's permission, where I deemed necessary for clarity or comprehensiveness, I have woven in material from some of his public talks in Arizona. The Dalai Lama's interpreter, Dr. Thupten Jinpa, kindly reviewed the final manuscript to assure that there were no inadvertent distortions of the Dalai Lama's ideas as a result of the editorial process.

이 책에는 달라이 라마 존자와(이하 존자님으로 표기함)의 광범위한 대화가 상술되어 있다. 아리조나와 인도에서의 존자님과의 사적인 만남은, 이 책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데, 존자님의 더 행복한 삶을 사는 데 대한 견해를 제시하고, 나의 서양 정신과 의사의 관점에서 본 관찰과 주석으로 강화된, 프로젝트에 협동한다는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이루어졌다. 존자님은 관대하게도 이 책에서 내가 그의 사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어떤 형태를 선택해도 좋다고 허락해 주셨다. 나는 이 책에서 나타날 이야기식의 형태가 가장 읽기 쉽고 동시에 존자님이 자신의 사상을 일상생활에 어떻게 구체화시키는지를 전해준다고 생각했다. 존자님의 승인 하에, 나는 이 책을 주제별로 구성했고, 그래서 때로는 여러 다른 대화에서 가져온 자료를 짜 맞추고 종합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존자님의 허락으로, 명확성과 포괄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경우에는, 아리조나에서의 몇 가지 대중 강연에서의 자료도 짜 넣었다. 존자님의 통역인 툽텐 진파 박사가 친절하게도 편집 과정의 결과로서 존자님의 사상을 무심코 왜곡한 것은 없는지를 확실히 하기 위해 최종 원고를 재검토해 주셨다.

 

A number of case histories and personal anecdotes have been presented to illustrate the ideas under discussion. In order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nd protect personal privacy, in every instance I have changed names and altered details and othe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so as to prevent identification of particular individuals.

                                                            -- Howard C. Cutler, M.D.

수많은 사례 기록과 개인의 일화가 토론 중인 생각을 예증하기 위해서 제시되었다. 비밀을 유지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경우에 이름을 바꾸고 세부 사항과 다른 두드러진 특징을 변경시켰다. 이는 특정 개인의 신분이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 의학 박사 하워드 커틀러

 

INTRODUCTION

서문

 

I found the Dalai Lama alone in an empty basketball locker room moments before he was to speak before a crowd of six thousand at Arizona State University. He was calmly sipping a cup of tea, in perfect repose. "Your Holiness, if you're ready...."

아리조나 주립대학교에서 6,000명의 대중 앞에서 강연하기로 되어있는 몇 분전에 텅빈 농구장 대기실에 홀로 있는 존자님을 나는 찾았다. 존자님은 완벽한 평안 속에서 차를 조용히 마시고 있었다. “성하님, 준비되셨으면....”

 

He briskly rose, and without hesitation he left the room, emerging into the thick backstage throng of local reporters, photographers, security personnel, and students -- the seekers, the curious, and the skeptical. He walked through the crowd smiling broadly and greeting people as he passed by. Finally passing through a curtain, he walked on stage, bowed, folded his hands, and smiled. He was greeted with thunderous applause. At his request, the house lights were not dimmed so he could clearly see his audience, and for several moments he simply stood there, quietly surveying the audience with an unmistakable expression‎ of warmth and goodwill. For those who had never seen the Dalai Lama before, his maroon and saffron monk's robes may have created a somewhat exotic impression, yet his remarkable ability to establish rapport with his audience was quickly revealed as he sat down and began his talk.

존자님은 기운차게 일어나서, 주저 없이 방을 떠났고, 지방 기자들, 사진사들, 안전 요원과 학생들로 빽빽이 차있는 무대 뒤로 들어갔다. 그들은 탐구자들, 호기심에 가득 차 있는 자들과 회의적인 자들이었다. 존자님은 환하게 미소 지으며 군중 사이를 걸어가셨고, 지나는 길에 만나는 사람들에게 인사를 했다. 마침내 장막 사이를 지나, 무대로 걸어가서, 절을 하고, 합장을 하고, 미소를 지었다. 군중들은 우레와 같은 박수로 존자님을 환영했다. 존자님의 요구로, 객석의 조명은 어둑하게 하지 않았다. 존자님이 청중을 분명히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존자님은 따뜻함과 호의를 뚜렷이 나타내는 표정으로 청중을 조용히 살펴보면서 몇 분 동안 그 자리에 서 있었다. 존자님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존자님의 적갈색과 선홍색의 승복이 다소 이국적인 인상을 자아냈다. 그러나 존자님의 청중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놀라운 능력이 자리에 앉아 강연을 시작하면서 재빨리 드러났다.

 

"I think that this is the first time I am meeting most of you. But to me, whether it is an old friend or new friend, there's not much difference anyway, because I always believe we are the same; we are all human beings. Of cours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cultural background or way of lif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our faith, or we may be of a different color, but we are human beings, consisting of the human body and the human mind. Our physical structure is the same, and our emotional nature are also the same. Wherever I meet people, I always have the feeling that I am encountering another human being, just like myself. I find it is much easier to communicate with others on that level. If we emphasize specific characteristics, like I am Tibetan or I am Buddhist, then there are differences. But those things are secondary. If we can leave the differences aside, I think we can easily communicate, exchange ideas, and share experiences."

“여러분 대부분을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생각되는군요. 그러나 나에게는 오랜 친구나 새 친구나간에 많은 차이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언제나 우리가 꼭 같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는 모두 인간입니다. 물론 문화적 배경이나 생활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우리의 신앙이 다를 수 있고, 피부 색깔이 다를 수 있지만, 우리는 인간의 몸과 인간의 정신으로 이루어진 인간입니다. 우리의 신체구조가 똑같고 정서적 본질도 같습니다. 나는 어디에서 사람들을 만나더라도, 언제나 나 자신과 꼭 같은 또 한 명의 인간을 만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는 그런 차원에서 남들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우리가, 나는 티벳인이라든가 나는 불교도라든가 하는 특정한 성질을 강조하면, 차이가 생겨납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은 이차적인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그런 차이를 제쳐 놓을 수 있다면, 우리는 쉽게 소통하고, 사상을 교환하고 경험을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With this, in 1993 the Dalai Lama began a week-long series of public talks in Arizona. Plans for his visit to Arizona had first been set into motion over a decade earlier. It was at that time that we first met, while I was visiting Dharamsala, India, on a small research grant to study traditional Tibetan medicine. Dharamsala is a beautiful and tranquil village, perched on a hillside in the foothills of the Himalayas. For almost forty years, this has been the home of the Tibetan government-in-exile, ever since the Dalai Lama, along with one hundred thousand other Tibetans, fled Tibet after the brutal invasion by Chinese forces. During my stay in Dharamsala I had gotten to know several members of the Dalai Lama's family, and it was through them that my first meeting with him was arranged.

이러한 말로, 존자님은 1993년에 아리조나에서의 일주일간에 걸친 연속 대중 강연을 시작했다. 존자님의 아리조나 방문 계획은 10년도 넘는 이른 시기에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우리가(나와 존자님) 처음 만난 것은 내가 전통적인 티벳 의학을 연구하기 위해 자그마한 연구보조금으로 인도의 다람살라를 방문했을 때였다. 다람살라는 히말라야 산맥의 기슭의 언덕에 자리 잡은 아름답고 고요한 마을이다. 거의 40년 동안, 이곳은 존자님이 10만 명의 티벳인과 함께 중공군의 야만적인 침공 후에 티벳을 빠져나온 이래 줄곧 티벳 망명 정부의 본거지이다. 내가 다람살라에 머무는 동안 나는 존자님 가족 몇 명을 알게 되었고, 존자님과의 첫 번째 만남은 그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In his 1993 public address, the Dalai Lama spoke of the importance of relating as one human being to another, and it was this very same quality that had been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our first conversation at his home in 1982. He seemed to have an uncommon ability to put one completely at ease, to quickly create a simple and direct connection with a fellow human being. Our first meeting had lasted around forty-five minutes, and like so many other people, I came away from that meeting in great spirits, with the impression that I had just met a truly exceptional man.

1993년 대중 연설에서, 존자님은 한 인간으로서 다른 인간과 친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말했다. 1982년 존자님의 집에서 가졌던 우리의 최초의 대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특징이 바로 이와 꼭 같은 성질의 것이었다. 존자님은 사람을 완전히 편하게 만들고, 동료 인간과 단순하고도 직접적인 연결을 재빨리 만들어내는 비상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았다. 우리의 최초의 만남은 약 45분간 지속되었고,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나는 이제 막 진정으로 특별한 인간을 만났다는 인상과 합께, 엄청난 활기에 넘쳐, 그 만남에서 떠났다.

 

As my contact with the Dalai Lama grew over the next several years, I gradually came to appreciate his many unique qualities. He has a penetrating intelligence, but without artifice; a kindness, but without excessive sentimentality; great humor, but without frivolousness; and, as many have discovered, the ability to inspire rather than awe.

다음 몇 년에 걸쳐 존자님과의 친밀한 접촉이 계속됨에 따라, 나는 점차적으로 존자님의 많은 독특한 자질을 충분히 인식하게 되었다. 그는 술책 없으면서 꿰뚫어보는 지성과, 과도한 감수성이 없으면서 친절함과, 경박하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유머를 가지고 있다. 또 많은 사람들이 발견했듯이, 위압하기 보다는 활력을 불어넣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Over time I became convinced that the Dalai Lama had learned how to live with a sense of fulfillment and a degree of serenity that I had never seen in other people. I was determined to identify the principles that enabled him to achieve this. Although he is a Buddhist monk with a lifetime of Buddhist training and study, I began to wonder if one could identify a set of his belief or practices that could be utilized by non-Buddhists as well -- practices that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our lives to simply help us become happier, stronger, perhaps less afraid.

시간이 지나면서 나는 존자님이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성취감과 어는 정도의 평온함 가운데서 살아가는 법을 배웠다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다. 나는 존자님이 이것을 달성하도록 만든 원칙들을 확인해 보기로 결심했다. 존자님은 평생에 걸친 불교 수행과 연구를 한 불교 승려이기는 하지만, 나는 비불교도들도 활용할 수 있는 일련의 신념이나 수행을 확인할 수 있을지를 궁금히 여기기 시작했다. 즉, 단적으로 우리를 더 행복하고, 더 강하고, 아마도 두려움이 줄어들도록 도와서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수행을 말이다.

 

Eventually, I had an opportunity to explore his views in greater depth, meeting with him daily during his stay in Arizona and following up these discussions with more extensive conversations at his home in India. As we conversed, I soon discovered that we had some hurdles to overcome as we struggled to reconcile our different perspectives: his as a Buddhist monk, and mine as a Western psychiatrist. I began one of our first sessions, for example, by posing to him certain common human problems, illustrating with several lengthy case histories. Having described a woman who persisted in self-destructive behaviors despite the tremendous negative impact on her life, I asked him if he had an explanation for this behavior and what advice he could offer. I was taken aback when after a long pause and reflection, he simply said, "I don't know", and shrugging his shoulders, laughed good-naturedly.

마침내 나는 심층적으로 그의 견해를 탐구할 좋은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아리조나에 존자님이 머무는 동안 날마다 그와 만나면서, 그 후로는 인도의 존자님 집에서 좀 더 광범위한 대화를 통해 이 토론을 계속해 나가면서, 우리가 대화를 계속해 가면서, 나는 곧 우리의 다른 관점과 화해하기를 애쓸 때 극복해야 할 몇 가지 장애가 있는 것을 알았다. 존자님의 불교 승려로서, 또 나의 서양 정신과 의사로서의 관점을 말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첫 번째 토론 기간 중 한 번은 나는 어떤 보편적인 인간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했다. 나는 상세한 사례 연구 여러 가지를 예로 들었다. 자신의 삶에 엄청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도 불구하고,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고집하는 한 여인의 상황을 묘사하고 난 후, 나는 존자님에게 이러한 행동에 대한 설명과 또 어떤 조언을 해줄 수 있는지를 물었다. 한 종안 침묵하면서 생각한 후에 존자님이 그저 “모르겠는데요.”라고 말했을 때, 나는 깜짝 놀랐다. 존자님은 어깨를 으쓱하면서 사람 좋은 웃음을 웃었다.

 

Noting my look of surprise and disappointment at not receiving a more concrete response, the Dalai Lama said, "Sometimes it's very difficult to explain why people do the things they do ... You'll often find that there are no simple explanations. If we were to go into the details of individual lives, since a human being's mind is so complex, it would be quite difficult to understand what is going on, what exactly is taking place."

좀 더 구체적인 대답을 받지 못한 것에 놀라고 실망하는 나의 표정을 알아차리고는, 존자님은 말했다. “때때로 사람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만약 우리가 개인의 삶의 세부 상황에 들어간다고 할 때, 인간의 마음은 너무도 복합적이기 때문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히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이해하기란 아주 어려울 겁니다.”

 

I thought that he was being evasive. "But as a psychotherapist, my task is to find out why people do the things that they do ...."

나는 존자님이 대답을 회피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심리치료사로서 저의 임무는 사람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알아내는 것입니다만...”

 

Once again, he broke into the laugh that many people find so extraordinary -- a laugh saturated with humor and goodwill, unaffected, unembarrassed, beginning with a deep resonance and effortlessly climbing several octaves to end in a high pitch of delight.

다시 한 번 존자님은 많은 사람들이 특이하다고 여기는 웃음을 터뜨렸다. 그 웃음은 유머와 호의로 가득 차 있고, 영향 받지 않고, 당혹함 없이 깊은 공명에서 시작해서 힘들이지 않고 몇 옥타브를 올라가서는 환희의 높은 음역에서 끝났다.

 

"I think that it would be extremely difficult to try and figure out how the minds of five billion people work," he said, still laughing. "It would be an impossible task! From the Buddhist viewpoint, there are many factors contributing to any given event or situation .... There can be so many factors at play, in fact, that sometimes you may never have a full explanation of what's going on, at least not in conventional terms."

“50억이나 되는 사람들의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내려고 애쓰는 것은 지극히 어렵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여전히 웃으면서 존자님은 말했다. “그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불교의 견해로 보자면, 어떤 주어진 사건이나 상황에 기여하는 많은 요인들이 있습니다....사실은 너무도 많은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어서 때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완벽한 설명은 적어도 전통적인 용어로는 결코 할 수 없을 것입니다.”

 

Sensing some discomfort on my part, he observed, "In trying to determine the source of one's problems, it seems that the Western approach differs in some respects from the Buddhist approach. Underlying all Western modes of analysis is a very strong rationalistic tendency -- an assumption that everything can be accounted for. And on top of that, there are constraints created by certain premises that are taken for granted. For example, recently I met with some doctors at a university medical school. They were talking about the brain and stated that thoughts and feelings were the result of different chemical reactions and changes in the brains. So, I raised the question: Is it possible to conceive the reverse sequence, where the thought gives rise to the sequence of chemical events in the brain? However, the part that I found most interesting was the answer that the scientist gave. He said, 'We start from the premise that all thoughts are products or functions of chemical reactions in the brain.' So it is simply a kind of rigidity, a decision not to challenge their own way of thinking."

내가 좀 불편하게 느끼는 것을 알아채고, 존자님은 논평을 가했다. “인간의 문제의 근원을 결정하려고 애쓸 때, 서양의 접근 방법은 여러 면에서 불교의 접근 방법과 다른 것 같습니다. 모든 서양식 분석 양식의 근저에는 매우 강한 이성적 경향이 있습니다. 즉 모든 것은 설명될 수 있다는 가정 말이지요. 그리고 그 위에, 당연하다고 여기는 어떤 전제에 의해 야기되는 제한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 나는 의과 대학에서 몇 몇 의사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은 두뇌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생각과 느낌은 두뇌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적 반응과 변화의 결과라고 설명하더군요. 그래서 내가 의문을 제기했죠. 두뇌 안에서 생각이 화학적 사건이라는 결과를 일으킨다는 반대의 결과를 상상해 보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그러나 내가 가장 재미있다고 느낀 부분은 그 과학자가 한 대답이었어요. 그는 말하기를, ‘우리는 모든 생각은 두뇌 안에서 화학적 반응의 산물 혹은 기능이라고 하는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그러면 그것은 그저 일종의 경직성이고, 그들 자신들의 사고방식에 도전하지 말라는 결단적인 말이었습니다.”

 

He was silent for a moment, then went on: "I think that in modern Western society, there seems to be a powerful cultural conditioning that is based on science. But in some instances, the basic premises and parameters set up by Western science can limit your ability to deal with certain realities. For instance, you have the constraints of the idea that everything can be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a single lifetime, and you combine this with the notion that everything can and must be explained and accounted for. But when you encounter phenomena that you cannot account for, then there's a kind of a tension created; it's almost a feeling of agony."

존자님은 잠시 침묵했다가 다시 계속 말했다. “내 생각으로는 현대 서양 사회에서는 과학에 토대를 둔 강력한 문화적 조건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서양 과학에 의해 설정된 기본적인 전제와 제한이 어떤 실재를 다루는 우리의 능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당신들은 모든 것이 단 한 번의 생이라는 틀 안에서 설명될 수 있다는 생각이라는 제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신들은 이것을 모든 것은 설명될 수 있고 또 설명해야만 한다는 관념과 연결 짓습니다. 그러나 당신들이 설명할 수 없는 현상과 마주치게 되면, 일종의 긴장이 발생합니다. 그것은 거의 고뇌 수준이지요.”

 

Even though I sensed there was truth in what he said, I found it difficult to accept at first. "Well, in Western psychology when we come across human behaviors that on the surface are difficult to explain, there are certain approaches that we can use to understand what's going on. For example, the idea of the unconscious or subconscious part of the mind plays a prominent role. We feel that sometimes behavior can be a result of psychological processes that we aren't consciously aware of -- for instance, one might act in a certain way so as to avoid an underlying fear. Without being aware of it, certain behaviors may be motivated by the desire to not allow those fears to surface in the conscious mind, so we don't have to feel the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m."

나는 존자님의 말에 진리가 들어있다고 느끼기는 했지만, 처음에 그것을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지요, 서양 심리학에서 표면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인간 행동과 마주쳤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어떤 접근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신의 무의식적인 혹은 잠재의식적인 부분이 뛰어난 역할을 한다는 생각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행동은 우리가 의식적으로는 알지 못하는 심리적 과정의 결과일 수 있다고 느낍니다. 예컨대, 사람은 근저에 깔린 공포를 피하기 위해서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을 할지도 모릅니다. 그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하면서, 어떤 행동은 그러한 공포가 의식 수준에 표면화하지 않도록 하려는 욕망에 의해서 동기화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 불편함을 공포와 연결해서 느낄 필요는 없습니다.

 

Reflecting for a moment, the Dalai Lama said, "In Buddhism there is the idea of dispositions and imprints left by certain types of experiences, which is somewhat similar to the idea of the unconscious in Western psychology. For instance, a certain type of event may have occurred in an earlier part of your life which has left a very strong imprint on your mind which can remain hidden, and then later affect your behavior. So, there is this idea of something that can be unconscious -- imprints that one may not be consciously aware of. Anyway, I think that Buddhism can accept many of the factors that the Western theorists can come up with, but on top of that it would add additional factors. For example, it would add the conditioning and imprints from previous lives. In Western psychology, however, I think that there may be a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role of the unconscious in looking for the source of one's problems. I think that this stems from some of the basic assumptions that Western psychology starts with: for instance, it does not accept the idea of imprints being carried over from a past life.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ssumption that everything must be accounted for within this lifetime. So, when you can't explain what is causing certain behaviors or problems, the tendency is to always attribute it to the unconscious. It's a bit like you've lost something and you decide that the object is in this room. And once you have decided this, then you've already fixed your parameters; you've precluded the possibility of its being outside the room or in another room. So you keep on searching and searching, but you are not finding it, yet you continue to assume that it is still hidden somewhere in the room!"

잠시 생각하고 나서 존자님이 말했다. “불교에는 어떤 유형의 경험에 이해 남겨진 성향과 인상(흔적)이라는 생각이 있는데, 이는 서양 심리학의 무의식이라는 생각과 좀 유사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유형의 사건이 우리 생의 초기에 발생해서 우리의 정신에 강한 인상을 남기고, 드러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가 나중에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무의식적일 수 있는 그 어떤 것이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의식적으로는 알지 못하는 인상이 있다는 말이지요. 어쨌든 불교는 서양 이론가들이 생각해 낼 수 있는 요인 중 많은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위에 불교는 부가적인 요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불교는 전생으로부터의 조건화와 흔적을 추가합니다. 하지만, 서양 심리학에는 인간의 문제의 근원을 찾는 데 있어서 무의식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나는 이것이 서양 심리학이 출발한 몇 가지 기본적인 가정에서 유래했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서양 심리학은 전생에서 전해져 온 인상이라는 생각을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동시에 모든 것은 이 생 안에서 설명되어야 한다는 가정이 있지요. 따라서, 무엇이 어떤 행동과 문제를 일으키는지 설명할 수 없을 때는, 언제나 그것을 무의식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는 것입니다. 그것은 마치 당신이 어떤 물건을 잃어버렸는데, 그 물건이 그 방안에 있다고 단정 짓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일단 그렇게 결정하고 나면, 당신은 이미 제한을 고정시킨 것입니다. 당신은 그것이 방 바깥에 또는 다른 방에 있을 가능성을 배제해 버린 것입니다. 그래서 당신은 계속해서 찾고 또 찾지만, 발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당신은 여전히 그것이 그 방 어디엔가 감추어져 있다고 가정합니다.”

 

When I initially conceived of this book, I envisioned a conventional self-help format in which the Dalai Lama would present clear and simple solutions to all life's problems. I felt that, using my background in psychiatry, I could codify his views in a set of easy instructions on how to conduct one's daily life. By the end of our series of meetings I had given up on that idea. I found that his approach encompassed a much broader and more complex paradigm, incorporating all the nuance, richness, and complexity that life has to offer.

내가 처음에 이 책에 대해 상상했을 때, 존자께서 모든 인생의 문제에 대해 분명하고 간단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전통적인 자가 치료 형태를 마음에 그려보았다. 나의 정신 의학의 배경을 사용해서, 나는 존자님의 일상생활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에 대한 일련의 쉬운 지시를 문서화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우리의 연속적인 만남이 끝날 때쯤에는 나는 이런 생각을 포기했다. 나는 존자님의 접근 방식은 훨씬 더 넓고 복잡한 패러다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삶이 제공해야 하는 미묘한 부분, 풍부함, 복합성을 구체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Gradually, however, I began to hear single note he constantly sounded. It is one of hope. His hop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while attaining genuine and lasting happiness is not easy, it nevertheless can be done. Underlying all the Dalai Lama's methods there is a set of basic beliefs that act as a substrate for all his actions: a belief in the fundamental gentleness and goodness of all human beings, a belief in the value of compassion, a belief in a policy of kindness, and a sense of commonality among all living creatures.

그러나 서서히, 나는 존자님이 꾸준히 내는 한 가지 소리를 듣기 시작했다. 그것은 일종의 희망이다. 존자님의 희망은 순수하고 지속적인 행복을 얻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신념에 근거한 것이다. 모든 존자님의 방법의 근저에는 모든 존자님의 행동의 토대로 작용하는 일련의 기본적인 신념이 있다. 그것은 모든 인간의 근본적인 부드러움과 선의에 대한 믿음, 연민의 가치에 대한 믿음, 친절이라는 정책에 대한 믿음과 모든 생명이 있는 존재 사이의 보편성이라는 감각이다.

 

As his message unfolded, it became increasingly clear that his beliefs are not based on blind faith or religious dogma but rather on sound reasoning and direct experience. His understanding of the human mind and behavior is based on a lifetime of study. His views are rooted in a tradition that dates back over twenty-five hundred years yet is tempered by common sense and a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modern problems. His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issues has been forged as a result of his unique position as a world figure, which has allowed him to travel the world many times, exposing himself to many different cultures and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exchanging ideas with top scientists and religious and political leaders. What ultimately emerges is a wise approach to dealing with human problems that is at once optimistic and realistic.

존자님의 메시지가 전개됨에 따라, 존자님의 신념이 맹신이나 종교적 교리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건전한 추론과 직접적인 경험에 근거한 것임이 점점 더 뚜렷해졌다. 존자님의 인간 정신과 행동에 대한 이해는 평생에 걸친 연구에 토대를 두고 있다. 그의 견해는 2,500년도 넘는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상식과 현대의 문제에 대한 세련된 이해에 의해서 단련된 것이다. 그 분의 현대의 문제에 대한 인식은 세계적 인물이라는 독특한 그의 지위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지위는 그로 하여금 여러 번에 걸쳐 온 세계를 여행하면서, 일류 과학자들과 또 종교, 정치 지도자들과 생각을 교환하면서, 많은 다름 문화와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 주었다. 궁극적으로 나타난 것은 낙관적이면서 실제적인 인간 문제를 다루는 현명한 접근법이다.

 

In this book I have sought to present the Dalai Lama's approach to a primarily Western audience. I have included extensive excerpts from his public teachings and our private conversations. In keeping my purpose of trying to emphasize the material that is most readily applicable to our daily lives, I have at times chosen to omit portions of the Dalai Lama's discussion that concern some of the more philosophical aspects of Tibetan Buddhism. The Dalai Lama has already written a number of excellent books on various aspects of the Buddhist path. Selected titles can be found at the end of this book, and those interested in more in-depth exploration of Tibetan Buddhism will find much of value in these books.

이 책에서 나는 원칙적으로 서양의 독자들을 상대로 존자님의 접근법을 제시하려고 했다. 존자님의 많은 대중 강연과 사적인 대화에서 광범위한 발췌를 인용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가장 손쉽게 적용 가능한 자료를 강조한다는 나의 노력을 계속하기 위해서, 때때로 티벳 불교의 철학적인 면에 관심을 두는 존자님의 토론을 생략하기로 했다. 존자님께서는 이미 불교의 진리에 대한 많은 훌륭한 책을 쓰셨다. 이 책의 끝 부분에 가려 뽑은 책 제목이 있다. 티벳 불교에 깊은 관심을 가진 독자들은 이 책 제목에서 많은 것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