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격의 성패와 취운법
★재왕생관
갈참정의 사주
乙戊壬壬
卯午子申
◈재가 왕하여 관을 생하는 경우에는 일간은 강하고 상관이 투출하지 않고 칠 살과 혼잡되지 않으면 귀격이다
◈운은 신왕운과 인수운이 좋고, 칠살,상관은 불리하다. 만약 재생관하는 데 인수가 있으면 상관운으로 가더라도 심하게 해롭지는 않는다.
◈재가 관을 생하는 데 식신을 대동하여 국을 파하는 경우에는 인수운이 좋고
칠살운도 좋다
★재가 식상의 생조를 쓰는 경우
양시랑의 사주
辛庚壬壬
巳辰寅寅
일간이 강하고 정관이 노출하지 않고 하나의 비겁을 대동하면 더욱 유정하다
정관이 투간하고 신약하다면 격이 파괴된다
寅月의 庚金으로 시지에 장생지와 겁재가 있고 辰土가 생을 하여 일간은 강하다.
◈재와 식상이 강하고 일간이 약하면 일간을 돕는 운을 좋아한다
◈재와 식상이 약하고 일간이 강하면 거듭 재와 식상운으로 행해야 하며,
칠살운은 꺼리지 않지만 정관운과 인수운은 도리어 불리하다
★재격이 인수를 차는 경우
*외로운 재는 귀하지 않으나 인수를 지니고 있어서 일간을 돕는 다면 인수로 귀를 취하게 된다
증참정의 사주
庚丙甲乙
寅申申未
◈관향을 좋아하고 일간이 약하면서 재격을 보면 인수가 왕한운을 좋아하다
*그러나 재와 인이 서로 나란히 있으면 좋은환경에 있더라도 작은 부자에 불과하다
辛庚己乙
巳寅卯未
*己土와 乙木이 서로 극을 하여 무정하다
★재격에 식신과 인수를 쓰는 경우(財用食印)
*식상과 인성이 서로 장애가 되지 않거나
*혹은 관성을 암장하는데 인성이 식상을 제거하여 관을 보호하면 귀격이다
오방안의 사주 – 식상과 인성이 서로 장애가 안되는 경우(두 戊土가 가로막음)
丙戊戊庚
辰子子戌
펑강백의 사주 – 巳중의 戊土를 辛金이 보호하였다
辛癸乙壬
酉巳巳辰
◈재가 경미하면 재와 식신운이 좋고 일간이 약하면 비겁과 인성운이 좋다
◈정관운은 장애가 되지만 칠살운은 꺼리지 않는다.
★재격에 상관을 쓰는 경우(財用傷官者)
*재가 심하게 왕성하지 않고 비겁이 강하여 대략 하나의 상관을 드러내서 비겁을 변화 시키는 것이다
왕학사의 사주
壬辛辛甲
辰酉未子
*甲木이 투간하여 재격인데 辛金을 만났으나 壬水가 비겁을 변화 시켜 재를 생한다 *재가 왕하고 비겁이 없는 데 상관이 투출하면 도리어 불리한데 이유는 상관은 본래 사흉신으로 재가 경미하고 비겁이 투출하면 어쩔 수없이 상관을 쓰게 된다
◈재운은 형통하고, 칠살운은 불리하다
◈정관운이나 인수운은 좋지못하다
★재격에 칠살을 대동한 경우(財帶七殺者)
*칠살은 합거하고 재를 보존하거나, 칠살을 제압하고 재를 생하면 모두 귀격이다
모장원의 사주 –합살하고 재를 보존한 사주
戊甲庚乙
辰午辰酉
이어사의 사주 – 칠살을 제압한 사주
甲戊戊庚
寅寅子辰
◈합살이나 제살을 논할 것 없이 운은 식상운이나 신왕의 방향이 좋다
★재격에 칠살과 인수를 쓰는 경우(財用殺印者)
*칠살이 무리를 이루어 꺼리게 될 때 인수로 칠살을 변화시키면 부국을 이룬다 가령 겨울의 土일간이 칠살과 인수를 쓴다면 귀격이 된다
첫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