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을동
현택훈
예부터 물이 있는 곳에 사람이 모여 살았지
늘 물이 고여 있는 땅이라서 곤을동
안드렁물 용천수는 말 없이 흐르는데
사람들은 모두 별도천 따라 흘러가 버렸네
별도봉 아래 산과 바다가 만나 모여 살던 사람들
원담에 붉은 핏물 그득한 그날 이후
이제 슬픈 옛날이 되었네
말방이집 있던 자리에는 말발자국 보일 것도 같은데
억새밭 흔드는 바람소리만 세월 속을 흘러 들려오네
귀기울이면 들릴 것만 같은 소리
원담 너머 테우에서 멜 후리는 소리
어허어야 뒤야로다
풀숲을 헤치면서 아이들 뛰어나올 것만 같은데
산 속에 숨었다가 돌아오지 못하는지
허물어진 돌담을 다시 쌓으면 돌아올까
송악은 여전히 푸르게 당집이 있던 곳으로 손을 뻗는데
목마른 계절은 바뀔 줄 모르고
이제 그 물마저 마르려고 하네
저녁밥 안칠 한 바가지 물은 어디에
까마귀만 후렴 없는 선소리를 메기고 날아가네
늘 물이 고여 있는 땅이라서 곤을동
예부터 물이 있는 곳에 사람이 모여 살았지
제주4·3평화문학상 운영위원회(위원장 조명철)가 제1회 제주4·3평화문학상 당선작에 시 분야에 제주시에 거주하는 현택훈 시인의 ‘곤을동’, 소설 분야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구소은 작가의 ‘검은 모래’를 각각 선정하였다.
제주4·3평화문학상은 지난해 12월 20일까지 공모한 결과 시는 123명에 667편, 소설은 50명에 50편이 접수되어 올해 2월에 예비심사 후 지난 3월 15일에 본심사를 개최하고 이같이 선정했다.
시 당선작‘곤을동’은 역사적인 소재를 시화하는데 있어서 소재주의에 매몰되지 않은 점과 시적 정서에 걸맞는 가락이 애잔하게 살아 있는 점 그리고 주변의 일상의 언어로 시화하는 능력과 시의 확장성 측면에서 높게 평가되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며, 소설 당선작 ‘검은 모래’는 재일한국인 또는 귀화한 일본인으로 살아가는 한 가족사에 얽힌 진실과 오해, 그리고 화해라는 정점에 도달하기까지 오랜 질곡의 세월을 살아온 그들의 신산한 삶을 소설 속에 녹여내고 있는데, 당선자는 이 소설을 위하여 일본 도쿄로부터 175km 떨어진 태평양 상의 작은 섬인 미야케지마(三宅島)를 직접 찾아 조사를 벌일 정도로 많은 공력을 들였다고 밝혔다.
시 본심 심사위원에는 신경림(위원장)․김수열․김준태․백무산․이시영 시인등이 참여하였으며, 소설 심사에는 소설가 현기영(부위원장)․윤정모․평론가 김병택, 임헌영, 최원식 등이 참여하였다.
<제주인뉴스> 기사 발췌 양금희 기자, 2013-03-20 오전 10:43:09
첫댓글 다시 한 번 축하드립니다. 뵙지는 못했지만 가깝게 느껴집니다.
제주 4.3사태에 대한 글은 시건 소설이건 재일교포 작가셨던 김석범 선생의 화산도를 뛰어넘을 작품은 어렵지 않겠나 싶습니다. 김석범 선생의 화산도는 우리나라에서는 금서였었지요. 그러다 문민정부인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면서 해금되었고, 실천문학사에서 출간 되었었습니다. 고국의 방문도 그때서야 이루어졌고. 김포공항에 내려 김석범 선생이 비록 시멘트 바닥이긴 하지만 노구로 고국의 땅에 입맞춤 했다던 기사를 읽고 감정이 북받처 울었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지금의 제주 칼호텔이 학살당한 양민의 시신이 가득했던 곳이라던 이야기도 떠오르고, 여고때 수학여행 간 제주도에서 제주 경찰서 서장의 집에 펜팔했던 남학생의 초대를
받아 갔던 기억도 새롭습니다. 목포까지 기차를 타고 가서 목포에서 배를타고 갔는데 바다를 가르며 나아가던 아리랑 호를 날치가 휙휙날며 따라오던 모습도 눈에 선하고....무엇이건 오래 된 것이 기억에 왜 더 선명한 지 모르겠습니다. 이리저리 예나 지금이나 부침이 많은 나라입니다. 남이나 북이나 다른 나라에 매달려 그 나라 눈치를 봐야하고. 우리집 저녁 먹어야 하는데 옆집에다 저녁 먹어도 되는지, 먹는다면 무얼 먹어야 하는지 허락 받아야 하는 처지이니.....
고맙습니다. 임경묵 선생님.
현 시인이 제주에 계셔서 저희가 마음 든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