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진(여진어: , 만주어: ᠵᡠᡧᡝᠨ Jušen, 문화어: 녀진, 중국어 정체자: 女眞, 간체자: 女真, 병음: nǚzhēn)은 중국의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다. 금대 여진은 국제발음구호로 주션(ʤu-çiɛn), 주션(ʤuʃiən) 등으로, n음이 탈락하면 주셔(ʤuʃə)로[1], 청대 만주어로는 주션(ʤuʃən) 혹은 주션(ʤuʃiɛn)으로 그 발음들이 유사하다.[2]별칭으로는 제신(諸申)·주신(珠申)·주선(朱先), 주리진(朱里眞)·주리진(朱理眞)·주이진(朱爾眞), 주리차특(朱里扯特)·주아차척(主兒扯惕)·졸아찰대(拙兒擦歹)·주리흠(朱里欽), 여직(女直)·여정(女貞)·여질(女質) 등이 있다.[3] 사서에 의하면 금나라를 건국한 여진족 완안아골타의 어버이는 고려 평주에서 여진으로 이주한 고려인 금준(今俊)이라고 전해진다.[4]여진(女眞)은 오랫동안 고구려인으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발해 이후 한반도의 한민족 중앙왕조와는 개별된 활동을 하고 왕조들을 구성했다.명나라 여진족을 세 분파로 구분하였는데, 훨운국(呼倫, 忽溫, 만주어: Hūlun Gurun)을 해서여진, 건주위지휘사와 건주좌위지휘사 그리고 건주우위지휘사가 관할하는 세력을 건주여진(만주어: Giyanju Jušen), 여진족들이 장백산부와 동해여진이라 일컫던 모련위 등을 야인여진(野人女眞, 만주어: Udige Niyalma Jušen)으로 구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