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세 신최언 (초당공파 예산종중 )
22세 참판공(辛受和)께서는 4분의 아들을 두셨는데 공은 장자 이시다
과거에 합격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지 이분의 응시 이력을 보면 눈물겹다
남아있는 자료 명지를 보면 진사시 응시를 25세 31세 33세 41세 47세에 응시를 하셨다
4형제분이 모두 열심히 공부하여 세형제분이 과거에 합격하여 모두 정3품 첨지중추부사까지 오르셨으니
집안의 영광이라 할수 있겠다
2017년도에 고문서 시장에 선조유간이 발견되어 구입한 서간문집
첨지중추부사공(辛最彦)의 간찰이 많다
連日
撼頓之餘, 夜來,
氣體若何? 伏慕區區.
子等眠食無事, 伏幸.
辛生昨又來懇甚切, 故修書附其家奴便, 兼上小錄.
下覽後, 林吏如非緊任厥奴, 或有煩訴之擧, 趁卽償債之意, 題給如何?
餘不備, 伏惟下鑑. 上白是.
三月初一日 子最彦等 白是
연일
먼 길을 다니신다고 피곤하신 나머지 밤이 됨에 건강이 어떠하십니까? 그리움 간절합니다.
저희들은 잠자고 밥 먹는 것이 무사하여 다행입니다.
辛生이 어제 또 와서 간절하게 간청하니, 그래서 편지를 써서 그의 집의 노가 올라가는 편에 부치고, 겸하여 소록(부탁하는 편지)도 보냈습니다.
읽어보신 후에 아전 임씨가 그 노에게 긴요하게 맡기지 않는다면, 혹 번거롭게 소송하는 일이 있을 것이니, 즉시 빚을 갚으라는 내용으로 판결을 써서 주심이 어떻습니까?
나머지 말씀은 이만 줄이니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아룁니다.
3월 1일 아들 최언 등이 아룀.
23세 辛最彦이 형조좌랑 아버지(辛受和)께 쓴 편지
고문서점에서 구입한 辛最彦 간찰
伏承二字之問 글월(二字之問)을 받잡고
謹審老炎 삼가 살피니 늦더위에
令旬候起居萬勝 영감 관찰하시는 기거가 평안하심을 살피고
仰慰之餘 위로가 됨이 남습니다
下惠五柄時(疐) 다섯 자루 時(疐)을 보내주셨으니
實荷遠記 실로 멀리서 기억해 주시는 은혜를 입사와
拜領珍謝 삼가 공송히 받고 감사할뿐이요
不知攸喩 무어라 말씀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伏仰 업드려 우러르건데
朝我新節目 조정의 새 절목(節目)에
有除挈眷之 제명(除命)이 있어 임지로 가족을 대동 하였습니다
令云竊想 영감께서 말씀하신 것을 곰곰이 생각건대
凡可恐無異於客館 무릇 가히 객관에서 다름이 없음이 두려워 할만하고
爲之奉念也 매우 염려스럽습니다
自自萬萬 자자만만 하시고
唯冀令履益福 오직 영리에 복을 더하시길 바라오며
伏惟令下察 삼가 영감께서 굽어 살피시길 바랍니다
不備 謹上狀 갖추지 못하고 삼가 올립니다
庚午七月十四日 경오년 7월 14일에
辛最彦拜 신최언 절합니다
승정원일기의 자료
◎승정원일기 30책 (탈초본 557책) 경종 3년 8월 10일 정사 15/25 기사 1723년 雍正(淸/世宗) 1년
黃允濟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辛最彦爲司僕主簿
◎ 승정원일기 30책 (탈초본 559책) 경종 3년 10월 4일 경술 8/20 기사 1723년 雍正(淸/世宗) 1년
宋眞明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批, 以宋眞明爲獻納, 梁得中爲持平, 趙泰億爲刑曹判書, 朴㻐爲司藝, 權益寬爲軍資正, 尹會爲司成, 辛最彦爲義禁府都事
◎ 승정원일기 30책 (탈초본 565책) 경종 4년 4월 19일 임술 7/11 기사 1724년 雍正(淸/世宗) 2년
李仁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李仁復爲左副承旨, 李世瑾爲右副承旨, 金始㷜爲執義, 具命奎爲正言, 沈周觀爲黃海都事, 沈維賢爲海州判官, 辛最彦爲金化縣監, 朴東樞爲郭山郡守, 申喜集爲典獄奉事, 內贍直長吳彦胄, 掌苑直長李山老, 相換, 以尹光益爲司書, 趙尙慶單付兼春秋, 李眞淳·李承源單付副護軍, 金始慶單付副司直, 李獻章·尹容·曺命敎·朴弼健·黃晸單付副司果, 徐命彬·權一衡單付副司正。
◎ 승정원일기 861책 (탈초본 47책) 영조 13년 10월 28일 임자 13/21 기사 1737년 乾隆(淸/高宗)2년
朴師正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朴師正爲承旨, 金始㷜爲刑曹參議, 金漢喆爲修撰, 金光世爲副修撰, 金范甲爲兵曹佐郞, 辛最彦爲歸厚別提, 姜守珪爲景陽察訪。
◎ 승정원일기 48책 (탈초본 874책) 영조 14년 7월 1일 신해 26/41 기사 1738년 乾隆(淸/高宗) 3년
徐宗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曹口傳政事, 禁府都事徐宗曄, 掌樂主簿辛最彦相換, 禁府都事李㢸, 掌苑別提徐命涵相換。
◎ 승정원일기 48책 (탈초본 886책) 영조 15년 2월 20일 정유 29/48 기사 1739년 乾隆(淸/高宗) 4년
鄭泰濟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辛最彦爲社稷令, 李顯道爲典簿, 李渭輔爲工曹佐郞, 洪若水爲監察, 李長夏爲兵曹佐郞, 韓濟爲禮曹佐郞, 趙重晦爲說書, 鄭益河爲廣州試才御史, 趙明履爲江華試才御史。
◎ 승정원일기 53책 (탈초본 981책) 영조 20년 12월 2일 을사 21/24 기사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海興君橿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海興君橿爲都摠管, 李周鎭爲副摠管, 兪億基爲同知, 尹得莘·李台鎭·辛最彦·李宜祿爲僉知
◎ 승정원일기 53책 (탈초본 981책) 영조 20년 12월 20일 계해 22/28 기사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僉知中樞府事 尹得莘과 辛最彦의 改差를 청하는 兵批의 啓
○ 又啓曰, 僉知中樞府事尹得莘·辛最彦, 近得輪疾, 委頓床席, 李台鎭病伏鄕廬, 末由上來, 俱以呈狀乞遞。病勢如此, 則西樞雖是閑局, 不可虛帶, 竝今姑改差, 何如? 傳曰, 允。
◎ 승정원일기 53책 (탈초본 981책) 영조 20년 12월 24일 정묘 20/23 기사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 副護軍沈星鎭·李渭輔·辛最彦·李台鎭·尹得莘, 副司直鄭壽期, 副司果吳命修, 僉知沈廷紀·李昌重竝單付。
승정원일기 자료(위와 반복되는 자료있음)
경종 2년 10월 16일 (무진) 원본546책/탈초본29책 (14/32)
1722년 康熙(淸/聖祖) 61년
李德隣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李德隣爲榮川郡守, 柳鳳齡爲天安郡守, 趙駿命爲戶曹佐郞, 安相朝爲刑曹佐郞, 鄭壽期爲修撰, 禁莩事具爀, 尙衣別提李道顯相換, 刑曹佐郞姜碩泰及漢城判官李敬躋仍任事, 承傳。柳述爲司諫, 李復休爲龜城府使, 以姜鋧爲副摠管, 金始煥爲副摠管, 李復休爲羽林衛將, 南益華爲兼司僕將, 李潚爲忠州營將, 白守一爲晉州營將, 尹㝚爲北評事, 金弘機·尹鳴最·金時相爲僉知, 任道升爲景福假衛將, 趙龜命爲侍直, 尹東源爲洗馬, 辛最彦爲四山監役, 金楚寶爲平薪僉使, 副司果李衡秀, 副司勇金夏英·尹忠敎, 平安中軍閔弘洙單付。
경종 3년 6월 21일 (무진) 원본555책/탈초본30책 (14/37)
1723년 雍正(淸/世宗) 1년
李肇 등에게 加資하고 李世最 등에게 熟馬 1匹씩을 題給하라는 등의 비망기
○ 以備忘記, 傳于梁廷虎曰, 今此會盟親祭時, 贊禮判書李肇, 捧血官禮房承旨朴熙晉, 讀誓文官副司果尹㝚竝加資, 都承旨李世最, 左承旨任舜元, 左副承旨呂必容, 右副承旨宋成明, 同副承旨洪重禹, 各熟馬一匹, 執樽官副校理吳命新, 副司果李巨源, 各半熟馬一匹, 壇司僉正李宜華, 准職除授, 記事官申致雲·尹容竝六品遷轉, 捧血官監役辛最彦等二十五員竝陞敍, 書寫忠義柳星章, 相當職除授, 其餘諸執事以下及假注書李眞洙·洪景輔, 事變假注書金浩, 香祝陪進官正字全聖澤, 各兒馬一匹, 奏時官金大錫等, 各上弦弓一張賜給, 別監以下下人等, 令該曹米布從優分等磨鍊題給
경종 3년 10월 4일 (경술) 원본559책/탈초본30책 (8/20)
1723년 雍正(淸/世宗) 1년
宋眞明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吏批, 以宋眞明爲獻納, 梁得中爲持平, 趙泰億爲刑曹判書, 朴㻐爲司藝, 權益寬爲軍資正, 尹會爲司成, 辛最彦爲義禁莩事, 吳命始爲義禁莩事, 鄭述先爲引儀, 李慶祉爲穩城府使, 崔錫恒爲奉常都提調, 司饔都提調崔奎瑞爲軍資都提調, 李光佐爲司譯都提調, 崔奎瑞爲社稷都提調, 訓鍊都提調禁衛都提調李光佐爲軍器都提調, 趙泰億爲司僕提調, 李明彦爲典牲提調, 李肇爲軍器提調, 尹游爲副校理, 徐命九爲兵曹正郞, 郭鎭基爲明陵參奉, 吳光運單付承文著作, 宋國緯單付承文副正字。兵批, 以李東道·金必祐·崔黽慶·許信·崔泰齡·玄悌綱·白興銓單付副護軍, 金演·權益寬·趙最壽單付副司直, 金尙奎單付副司果, 權冏單付副司正。
경종 4년 4월 19일 (임술) 원본565책/탈초본30책 (7/11)
1724년 雍正(淸/世宗) 2년
李仁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李仁復爲左副承旨, 李世瑾爲右副承旨, 金始㷜爲執義, 具命奎爲正言, 沈周觀爲黃海都事, 沈維賢爲海州判官, 辛最彦爲金化縣監, 朴東樞爲郭山郡守, 申喜集爲典獄奉事, 內贍直長吳彦胄, 掌苑直長李山老, 相換, 以尹光益爲司書, 趙尙慶單付兼春秋, 李眞淳·李承源單付副護軍, 金始慶單付副司直, 李獻章·尹容·曺命敎·朴弼健·黃晸單付副司果, 徐命彬·權一衡單付副司正。
경종 4년 5월 2일 (갑진) 원본568책/탈초본30책 (3/31)
朴東樞 등이 하직함
○ 下直, 郭山郡守朴東樞, 金化縣監辛最彦。
영조 13년 10월 28일 (임자) 원본861책/탈초본47책 (13/21)
1737년 乾隆(淸/高宗) 2년
○ 以朴師正爲承旨, 金始㷜爲刑曹參議, 金漢喆爲修撰, 金光世爲副修撰, 金范甲爲兵曹佐郞, 辛最
彦爲歸厚別提, 姜守珪爲景陽察訪
영조 14년 6월 25일 (병오) 원본873책/탈초본48책 (12/28)
1738년 乾隆(淸/高宗) 3년
○ 都目政事。吏批, 行判書趙顯命, 參判洪鉉輔, 參議鄭羽良進。以李世楫爲繕工奉事, 鄭廣運爲兵曹正郞, 李晉吉爲兵曹佐郞, 韓時泰爲禮曹佐郞, 李師佐爲監察, 李德顯爲司饔主簿, 韓德升爲居山察訪, 具萬喜爲工曹佐郞, 尹侙爲司䆃主簿, 龐櫟爲內贍主簿, 辛最彦爲掌樂主簿, 徐命九爲谷山府使, 李日躋爲淮陽府使, 安𠍱·金衡一·兪鴻觀爲典籍, 崔泰斗爲校檢, 金聖應爲軍器提調, 趙顯命爲冬至正使, 李潝爲副使, 金光世爲書狀官, 吳遂采爲高山察訪, 養賢主簿單鄭東翰, 典牲奉事黃榏, 司饔奉事金漢楨, 相換, 尹東浚爲說書, 成均博士單韓處熙, 李珪輔爲明陵參奉, 沈麟之爲永禧殿參奉, 沈師得爲徽陵參奉, 崔鳳興爲穆陵參奉, 尹瑀爲齊陵參奉, 金相說爲翼陵參奉, 朴泰寧爲健元陵參奉, 沈錪爲禧陵參奉, 沈運熙爲英陵參奉, 宋輝明爲長寧殿參奉, 安商楫爲莊陵參奉, 朴師傑爲繕工假監役, 趙㷜爲西部參奉, 柳瑜爲北部參奉, 李瑞彪爲假引儀, 安𠍱爲兵曹佐郞, 李衡身爲仁同府使, 趙廷佑爲禮賓別提, 權必重爲歸厚別提, 元得文爲典設別提, 軍器主簿單李泰蔓, 兼春秋單安𠍱, 兪肅基爲濟用主簿, 許鋿爲尙衣別提, 李㢸爲禁莩事, 李渭輔爲宗簿主簿, 林天澤爲監察, 趙宗裕爲和順縣監, 尹審爲儀賓都事, 許健爲監察, 李潝爲戶曹參議, 河大淵爲直講, 李漢相爲奉常主簿, 柳漢哲爲昭顯墓守衛官, 柳世煥爲愍懷墓守衛官, 徐宗鎭爲軍資判官, 徐琛爲典籍, 成碩臣爲豐川府使。吏批畢。
영조 14년 7월 1일 (신해) 원본874책/탈초본48책 (26/41)
1738년 乾隆(淸/高宗) 3년
○ 吏曹口傳政事, 禁莩事徐宗曄, 掌樂主簿辛最彦相換, 禁莩事李㢸, 掌苑別提徐命涵相換。
영조 15년 2월 20일 (정유) 원본886책/탈초본48책 (29/48)
1739년 乾隆(淸/高宗) 4년
○ 以鄭泰濟爲禮賓別提, 金宇槪爲司圃別提, 南有容爲永春縣監, 韓師德爲靑山縣監, 李堣爲高山縣監, 宋龜明爲玉果縣監, 權壽麟爲振威縣監, 沈聖希爲江原監司, 洪重耉爲茂朱府使, 曺命宗爲綾州牧使, 沈寶賢爲白川郡守, 趙鳳命爲陜川郡守, 徐宗遜爲杆城郡守, 李蓍選爲槐山郡守, 兪彦鐸爲司畜別提, 尹得重爲掌樂主簿, 申輔爲司僕主簿, 徐宗翕爲司宰主簿, 尹遠敎爲司饔直長, 李顯慶爲義盈直長, 趙明勗爲平市直長, 權國衡爲濟用副奉事, 李鎭衡爲興海郡守, 元重采爲樂安郡守, 李再新爲固城縣令, 曺允成爲理山府使, 金養一爲端川府使, 柳師賢爲富寧府使, 柳瀅爲河東府使, 李聃錫爲龜城府使, 李善泰爲大同察訪, 魚有寬爲活人別提, 李寯相爲掌苑別提, 李夏集爲引儀, 宋翼賢爲長興直長, 李萬增爲司饔直長, 柳絢爲宗廟直長, 尹徹爲典獄奉事, 柳星東爲長興奉事, 李普運爲內資奉事, 尹世謙爲廣興守, 宋瓆爲執義, 崔守迪爲漢城庶尹, 尹東卨爲司宰僉正, 宋敎明爲吏曹正郞, 李益烈爲司宰直長, 李思勗爲崇陵奉事, 金漢佐爲明陵奉事, 李堉爲繕工奉事, 崔纘慶爲陽德縣監, 李萬齡爲求禮縣監, 尙時昌爲靑丹察訪, 許槃爲刑曹佐郞, 洪應恒爲工曹佐郞, 趙榮宗爲宗廟令, 姜鳳休爲江原都事, 李益炫爲監察, 宋堯輔爲公州判官, 崔尙復爲軍資判官, 元慶運爲司饔僉正, 洪昌漢爲副修撰, 沈鏽爲平市奉事, 宋奎錫爲尙瑞副直長, 尹得和爲大司成, 具萬喜爲漢城判官, 趙壽彬爲永禧殿令, 沈得賢爲戶曹正郞, 吳命厚爲蔚山府使, 金墰爲靈巖郡守, 李鳳奐爲康津縣監, 洪以源爲珍島郡守, 鄭東翰爲延曙察訪, 尹光理爲獒樹察訪, 朴台煥爲渭原郡守, 具世智爲利城縣監, 權一衡爲獻納, 金始煒爲正言, 金稙爲持平, 徐命聖爲廣興副奉事, 吳遂采爲兼校書校理, 閔通洙爲中學敎授, 宋敎明爲東學敎授, 辛最彦爲社稷令, 李顯道爲典簿, 李渭輔爲工曹佐郞, 洪若水爲監察, 李長夏爲兵曹佐郞, 韓濟爲禮曹佐郞, 趙重晦爲說書, 鄭益河爲廣州試才御史, 趙明履爲江華試才御史。
조 15년 5월 14일 (기미) 원본890책/탈초본48책 (6/25)
1739년 乾隆(淸/高宗) 4년
○ 又啓曰, 玉堂闕員, 今當差出。而曾前出入之人, 方在解由未出中, 無以推移備擬, 何以爲之? 敢稟。傳曰, 勿拘。又啓曰, 珍島郡守洪以源, 遞付京職事, 命下矣。本曹時無相當窠, 依例送西之意, 敢啓。傳曰, 知道。以具宅奎·曺允成·李鼎輔爲承旨, 金鋐爲持平, 洪昌漢爲兼司書, 辛最彦爲司宰僉正, 金致一爲工曹佐郞, 尹侙爲儀賓都事, 李箕重爲司僕主簿, 申兼濟爲司成, 李彝章爲正言, 校書著作單韓廷旭, 榮川郡守崔尙觀, 奉常僉正柳漢柱, 仍任事承傳。
영조 16년 7월 20일 (무자) 원본917책/탈초본50책 (24/26)
1740년 乾隆(淸/高宗) 5년
○ 二十日卯時, 上具遠遊冠·絳紗袍, 乘輿以出, 御仁政殿, 親臨受冊時, 入侍都承旨尹容, 左承旨韓師得, 右承旨李世璡, 左副承旨宋秀衡, 右副承旨趙明履, 同副承旨朴弼均, 注書李會元, 假注書吳彦儒, 編修官徐琛, 記事官李弘稷等, 以次分入東西俯伏。時大雨。上曰, 雨勢如此, 百官久立雨中, 甚可悶也。儀節擧行等事, 勿爲備禮, 使之速行之意, 承旨傳之, 可也。典儀呼唱, 百官先爲四拜, 承史以入侍之故, 無先後四拜矣。正使左議政金在魯, 陞自東階, 就位而跪, 進冊寶。捧玉冊官金尙迪·韓翼謩, 擧玉冊案者李長夏·朱杞, 褥席執事尹尙喜·辛最彦, 擧讀玉冊案者張世文·李禎恒, 捧玉寶官金漢喆·尹得敬, 擧玉寶案者尹光天·愼爾復, 褥席執事申晙·洪鏡輔, 擧讀玉寶案者崔暐·韓正旭等, 各以其所掌差備, 次第將事。讀冊官李錫杓, 讀寶官洪鳳祚等以次入就於冊寶所讀之位, 讀訖, 亦以次退降復位。正使金在魯, 亦降復位, 百官皆四拜。上曰, 禮房進來。寶冊之解綬, 還結納函, 頗遲, 入小次後, 招入匠手, 善爲結綬內入, 可也。贊儀趨入殿前, 跪啓禮畢, 仍請入小次。上入小次, 侍從諸臣, 隨詣小次外。良久, 將上大王大妃殿冊寶時, 上出自小次, 具冕服, 執圭, 乘輿, 御于仁政殿簷階下版位, 北向立, 侍臣以次陪從。上率百官四拜, 侍臣東西俯伏而已。上跪搢圭, 捧冊官申思建·李命坤, 捧冊函, 捧寶官鄭翬良·洪象漢, 捧寶盝, 授弼均跪進。上受冊寶, 授正使金興慶, 入置於殿內案上。上執圭俯伏興四拜, 通禮, 跪告禮畢。上降階少選向立, 正使金興慶, 捧冊函, 副使閔應洙, 捧寶盝, 由正門降自中階以出。上鞠躬, 過後, 上平身。使者以冊寶, 置于腰彩輿, 與都監都提調及各差備官, 至于大王大妃殿門外, 傳授尙傳以入。上乘輿, 釋圭, 入于內殿, 侍從諸臣, 隨至于門外而退。
영조 17년 2월 21일 (병진) 원본928책/탈초본50책 (24/24)
1741년 乾隆(淸/高宗) 6년
○ 二月二十一日巳時, 上御宣政殿。輪對官入侍時, 右承旨趙明履, 假注書李基德, 記事官李弘稷·邊是重, 輪對官議政府司錄李澤徵, 義禁莩事朴大源, 司饔院僉正兪廣基, 司宰監僉正辛最彦, 繕工監副正宋必煥。諸臣入侍後, 李澤徵進伏。上曰, 職姓名? 對曰, 小臣乃議政府司錄李澤徵也。上曰, 履歷? 對曰, 戊午式年文科, 歷奉常寺奉事, 昨冬待罪政府郞廳矣。上曰, 所懷? 對曰, 府事則大臣掌之, 故小臣別無所懷矣。朴大源進伏。上曰, 職姓名? 對曰, 小臣乃義禁莩事朴大源也。上曰, 履歷? 對曰, 以上尊號時監造官, 移除典設別檢, 又移授見職矣。上曰, 所懷? 對曰, 本府無大段弊事, 故無可達之懷矣。兪廣基進伏。上曰, 職姓名? 對曰, 小臣乃司饔院僉正兪廣基也。上曰, 履歷? 對曰, 初以齋郞, 升奉事直長, 出六爲一縣監, 其後作散, 上年春, 以長興主簿, 移宗廟令, 今月見叨本職矣。上曰, 職掌? 對曰, 僉正, 是奴婢色也。上曰, 所懷? 對曰, 小臣不但新授, 一應院事, 提調稟行, 別無可達之懷矣。辛最彦進伏。上曰, 職姓名? 對曰, 小臣乃司宰監僉正辛最彦也。上曰, 履歷? 對曰, 以四山監役, 歷司僕寺主簿·義禁莩事·金化縣監·歸厚署別提·掌樂院主簿·義禁莩事·社稷令, 見叨本職矣。上曰, 職掌? 對曰, 僉正則別無所掌也。上曰, 所懷? 對曰, 別無所懷矣。宋必煥進伏。上曰, 職姓名? 對曰, 小臣乃繕工監副正宋必煥也。上曰, 履歷? 對曰, 景廟吊宮時, 初付翊衛司洗馬, 登極後因爲陞六, 歷典四五邑, 去年自利川府使, 遞付京職, 爲宗簿寺主簿, 移拜見職矣。上曰, 職掌? 對曰, 以一監長官, 元無所掌之事矣。上曰, 所懷? 對曰, 旣無所掌, 故別無可達之言矣。趙明履曰, 以圭事方欲仰達, 輪對官先爲出送, 何如? 上曰, 出送, 可也。輪對官, 以次退出後, 明履曰, 領相處, 史官往問之, 則以爲凡諸行用之物, 皆以周尺爲之, 而禮器尺, 則三代所用之制, 未能詳知, 宜用周尺云。李德壽自政院問之, 則只以黍之爲尺對之, 而周尺與禮器尺, 何者當用與否, 則不對之矣。上曰, 領相之意旣如此, 則周尺爲好矣。考史撮要, 旣有之, 故考諸尙方之制, 則三寸廣是矣。匠言九寸, 而以一寸五分, 左右捲之而見之, 則古人之定尺寸, 甚好且精矣。尙方多有圭, 故取而觀之, 則其一, 乃端川玉也。廣三寸, 厚五分, 長則皆過九寸, 不知其所以也。今方以九寸制度造之, 何須更問於彼處乎? 此足準於周尺矣。明履曰, 小臣三四日周考古書, 而禮器尺本制, 則終不得詳知矣。上曰, 三寸廣五分厚好矣。長或過於十寸者, 此則似爲剩造矣。仍敎曰, 凡事宜窮理, 而窮理之道, 要極其精, 故以紙捲而較看則甚精, 此乃窮理之一端也。明履曰, 天子之圭厚三寸者, 出於一書矣。上曰, 此乃欲準於諸侯之圭者也。明履曰, 政事, 取稟已入之, 而承旨且有闕矣。傳曰, 政官牌招, 政事當日爲之。出榻敎 經筵則循例自今日稟, 可也。明履曰, 當自明日爲始矣。上曰, 間二日休則不可也, 自明日爲始可也。明履曰, 明日視事, 取稟。傳旨當書之乎? 上曰, 書之, 可也。仍傳曰, 明日晝講爲之。出榻敎明履曰, 然則圭事更勿分付於尙方乎? 上曰, 不須言也。諸臣以次退出。
영조 17년 4월 3일 (정유) 원본930책/탈초본50책 (14/21)
1741년 乾隆(淸/高宗) 6년
又啓曰, 司書沈䥃, 以親病, 陳疏徑出, 原疏以親祭正日, 纔已退却。所當直捧禁推傳旨, 而此與無端徑出有異, 推考警責, 何如? 傳曰, 允。親祭時諸執事, 亞獻官左議政宋寅明, 終獻官綾昌君橚, 進幣瓚爵官吏曹參判鄭羽良, 薦俎官戶曹判書金始炯, 禮儀使禮曹判書徐宗伋, 奠幣瓚爵官吏曹參議李宗白, 堂上執禮大司成尹汲, 堂下執禮副校理金漢喆, 典祀官奉常正金宗台, 廟司令洪允輔, 宮闈令內侍府執樽, 第一室副司果權一衡, 第二室副司果李會元, 第三室副司果李渭輔, 第四室副司果李匡誼, 第五室副司果兪彦國, 第六室副司果成範錫, 第七室執義鄭熙普, 第八室副司果李延德, 第九室正言尹敬周, 第十室副司果李夏宗, 第十一室副司果尹東浚, 第十二室副司果李昌壽, 大祝第一室修撰南泰齊, 第二室副司果朴弼載, 第三室校理鄭翬良, 第四室副司果洪啓裕, 第五室副修撰李成中, 第六室副司果洪鏡輔, 第七室副司果洪象漢, 第八室副司果南有容, 第九室副司果鄭履儉, 第十室副司果曺命敬, 第十一室副司果李昌誼, 第十二室副司果尹得敬, 祝史, 第一室副司果李光湜, 第二室掌令李齊聃, 第三室副司果柳綽, 第四室副司果李大源, 第五室副司果李徵夏, 第六室副司果南泰耆, 第七室副司果鄭基安, 第八室副司果任震夏, 第九室副司果權賮, 第十室副司果洪得厚, 第十一室副司果崔成大, 第十二室副司果宋時涵, 齋郞, 第一室兵曹正郞李耉齡, 第二室副司果金慶衍, 第三室兵曹正郞權祐, 第四室兵曹佐郞鄭夏彦, 第五室兵曹佐郞柳東垣, 第六室副司果朴致文, 第七室禮曹正郞李麟興, 第八室禮曹佐郞全命肇, 第九室副司果金瑞龜, 第十室平市令李奎徽, 第十一室副司果任
, 第十二室副司正金尙喆, 捧俎官, 第一室戶曹正郞金致慶, 掌樂主簿徐敏修, 司宰直長宋輝明, 第二室軍資主簿任崇元, 司宰僉正辛最彦, 禮賓直長沈麟之, 第三室漢城判官洪樗, 司僕判官安健, 濟用直長柳瑜, 第四室敦寧主簿鄭光謙, 尙衣直長李堉, 廣興奉事吳大經, 第五室義盈主簿尹得履, 戶曹佐郞趙榮曾, 司宰奉事朴麟源, 第六室司議權秉性, 戶曹佐郞黃仁謙, 濟用奉事沈重周, 第七室司評李普淳, 氷庫別提李吉輔, 軍資奉事尹堣, 第八室副司果金漢昌, 瓦署別提金宇槩, 司饔奉事李彦基, 第九室內贍主簿吳命鼎, 氷庫別提南德純, 典設別檢金昌運, 第十室司䆃主簿金奎錫, 司饔主簿尹昌東, 繕工直長李瑗, 第十一室工曹佐郞金道澤, 工曹佐郞金喜慶, 司饔主簿尹天復, 第十二室工曹佐郞洪應麟, 漢城主簿尹東濂, 軍資直長韓命德, 盥洗位, 典籍吳命修, 典籍閔光遇, 爵洗位, 典籍洪啓沃, 典籍尹亨基, 亞·終獻官盥洗位, 學正李胤恒, 贊者, 假引儀申緯夏, 假引儀趙泰佐, 謁者, 假引儀鄭守良, 假引儀李瑞五, 贊引兼引儀李顯哲, 假引儀金光績, 掌牲令, 典牲主簿李秀得, 協律郞, 掌樂正李潤身, 七祀獻官, 相禮金廷鳳, 祝史, 學正盧泰觀, 齋郞, 繕工監役李德升, 功臣獻官, 司僕僉正尹尙喜, 祝史, 學錄吳泂, 齋郞, 內贍直長趙德常。
영조 17년 7월 15일 (정축) 원본933책/탈초본51책 (8/20)
1741년 乾隆(淸/高宗) 6년
○ 以權贒爲司諫, 李宗迪·尹得敬爲副校理, 辛最彦爲廣興守, 金相良爲漢城判官, 趙哲命爲漢城主簿, 申晉·兪性中·金益憲爲監察, 李道顯爲典設別提, 宋儒文爲典籍, 尹陽來爲軍器提調, 李匡世爲淸風府使, 朴大源爲順安縣令, 李秉常爲尙衣提調, 任
爲全羅左道京試官, 舍人單, 徐命臣。
영조 20년 9월 10일 (갑신) 원본977책/탈초본53책 (14/29)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 以尹陽來爲判義禁, 金鎭商爲大司憲, 宋德中爲長寧殿別檢, 李秀逸爲惠陵別檢, 徐宗玉爲校書提調, 李縡爲濟用提調, 金始㷜爲平市提調, 尹得和爲司譯提調, 朴東采爲典籍, 李泰重爲奉常主簿, 李師祚爲持平, 沈聖希爲同經筵, 李天輔爲大司成, 金東鼎爲繕工副正, 吳大經爲思陵令, 李世瑍爲同敦寧, 洪禹集爲左水運判官, 趙榮魯爲刑曹參議, 成均博士趙處魯單付, 尹陽來今加崇祿, 金有慶·李震箕·鄭壽期·李聖龍·李夏源·趙遠命·李存道, 今加正憲, 趙錫命今加資憲, 洪好人·安重弼·權𥛚·李命熙·李衡佐·洪重疇·李世璡·李承源·尹東衡·魚有鳳·李世瑍·李廣義·李思悌·權瑊·朴𤨠, 今加嘉義, 河德休·林柱國·尹大英·申致遠·權楫·金希魯·洪重福·南漢紀·黃瑞河·鄭述先·金相勛·朴守義·盧世煥·南弼明·朴弼文·尹誼·李衡坤·金應豪·李德紹·李弘肇·趙尙夔·兪億基·趙榮祿·南允明·尹欅·李榗·洪禹平·尹彙明·趙師徵·尹大震·朴始碩·鄭國良·柳漵, 今加嘉善, 朴㻐·呂光憲·閔致龍·李箕獻·申兼濟·李敬躋·沈廷采·鄭欽先·李肇元·李台鎭·李成允·權養性·尹得莘·兪廣基·沈廷紀·李漢謙·鄭亨泰·閔挺模·李衡秀·吳興昌·金令行·尹世謙·元慶運·元命益·辛最彦·辛夢弼·宋性源·李秉淵, 今加通政, 洪以圖·李徵泰·李希聖·李夏成, 今加嘉善, 金錫耉, 今加資憲, 禹世準今加通政, 洪元益·李蓍命, 今加嘉善, 金愼行·宋堯卿, 今加通政, 南重圭今加嘉善, 以上大殿入耆社後, 推恩加資事承傳。
영조 20년 9월 20일 (갑오) 원본977책/탈초본53책 (25/37)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 以金鎭商·南泰良·金漢喆·李錫杓·金錫基·宋徵啓·金潤·趙斗壽·李彦祥·朴㻐·呂光憲·閔致龍·李箕獻·申兼濟·李敬躋·洪廷采·鄭欽先·李肇元·李台鎭·李成元·權養性·尹得莘·兪廣基·洪廷紀·李漢謙·鄭亨泰·閔廷模·李衡秀·吳與昌·金令行·尹世謙·元慶運·辛㝡彦·辛夢弼·宋性源·李秉淵·禹世準·金愼行·趙台相·沈鳳陽·禹夏亨爲副護軍, 金聖運·朴弼正·李夏宗爲司直, 趙明健·具允明爲副司果, 鄭恒齡·南鶴老爲副司正, 訓鍊副正朴世梓, 僉正申旼, 主簿吳漢迪單付。
영조 20년 12월 2일 (을사) 원본981책/탈초본53책 (21/24)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 以海興君橿爲都摠管, 李周鎭爲副摠管, 兪億基爲同知, 尹得莘·李台鎭·辛最彦·李宜祿爲僉知, 吳
爲內禁衛將, 沈廷紀·李昌重爲五衛將, 鄭亨泰爲曹司衛將, 洪夏疇爲順天營將, 李殷春爲淸州營將, 尹鳳五爲翊贊, 李彦衡爲翊衛, 宋文欽爲侍直, 金澤華爲薺浦萬戶, 金尙喆·安相徽·李昌儒爲文兼, 同知單李德紹, 僉知單梁彬·金養中·林大材, 三田渡別將單崔弘中, 副護軍鄭壽耆·李鎭衡·李鐽·朴弼載, 副司直吳遂采·安慶運·鄭必寧·徐志修·呂善應, 副司正崔台衡。
영조 20년 12월 20일 (계해) 원본981책/탈초본53책 (22/28)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 又啓曰, 僉知中樞府事尹得莘·辛最彦, 近得輪疾, 委頓床席, 李台鎭病伏鄕廬, 末由上來, 俱以呈狀乞遞。病勢如此, 則西樞雖是閑局, 不可虛帶, 竝今姑改差, 何如? 傳曰, 允。
영조 20년 12월 24일 (정묘) 원본981책/탈초본53책 (20/23)
1744년 乾隆(淸/高宗) 9년
○ 副護軍沈星鎭·李渭輔·辛最彦·李台鎭·尹得莘, 副司直鄭壽期, 副司果吳命修, 僉知沈廷紀·李昌重竝單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