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실제 개인정보유출 피해자에게 손실 보상금가짜 명목으로 접근합니다! |
□ 최근 사기범들은 로또 판매업체*, 로또 번호 예측 사이트 등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피해자 등에게 손실 피해보상금을 지급한다며 전화(대포폰), SNS(문자메시지, 카카오톡 등), 이메일 등으로 접근**합니다.
* ’23년 중 ◎◎복권(로또 판매 사이트) 등에서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유출 피해가 있었음
** 사기범들은 피해자들의 로또 구매 사이트명, 금액 등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신뢰를 확보
2 |
| 금융회사 또는 가상자산사업자의 직원가짜을 사칭합니다! |
□ 위조한 명함 또는 사원증을 제시하면서 금융회사 또는 가상자산사업자*의 재무관리팀 소속 직원을 사칭하며 투자자를 안심시키는 수법을 씁니다.
* 사기범들은 ◍◍COIN, ◉◉PAYBACK, ▨▨PAYMENT 등의 업체명을 사용하며 미신고가상자산사업자임에도 가상자산사업자인 것처럼 속이기도 함
3 |
| 정부기관 명의의 문서가짜를 실제와 같이 위조하여 제공합니다! |
□ 정부기관*의 실제 공문과 유사하게 보이도록 외관을 도용(로고 및 직인을 첨부)한 가짜 문서를 제공하면서, 정부기관으로부터 직접 위임받아 손실 보상금을 지급한다고 투자자를 유인하고 있습니다.
* 예) 개인정보유출 보상금으로 유인 시,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문 양식 도용
4 |
| 손실 보상금을 코인가짜으로 지급한다고 속입니다! |
□ 손실 보상금은 현금으로 지급할 수 없고 당일 환급 가능한 코인으로만 지급*한다고 속이며, 코인을 지급하기 위해서 자체 개발한 코인 지갑사이트의 회원가입이 필요하다며 개인정보를 요구합니다.
* 주로 ➊손실 보상금이 너무 많아 현금으로 지급이 어렵다, ➋로또 개인정보 유출 불법업체 환수금이 코인이다, ➌정부기관과 협의하여 코인으로만 지급하기로 했다라고 속임
◦가짜 코인 지갑사이트 화면에서는 실제로 코인이 지급된 것처럼 금액, 수량 등이 표시되어 투자자가 현혹되기 쉽습니다.
5 |
| 코인 판매금 명목으로 거액을 요구하고 대출을 강요합니다! |
□ 최초 지급 예정이었던 보상금(수백만원) 보다 더 많은 코인이 지급(수천만원∼수억원 상당)되었다며 코인 판매금(담보금) 명목으로 거액을 요구합니다.
◦ 피해자가 여유자금이 없다고 하면 사기범들은 ‘온라인 대출신청링크’를 보내주면서 제2금융권(저축은행, 카드사)의 대출을 유도한 후 거액의 대출금을 편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