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진난만(天眞爛漫)
하늘에 참 진실이 빛으로 나타난다는 뜻과 천진함이 넘친다는 뜻으로, 조금도 꾸밈이 없이 아주 순진하고 참됨을 이르는 말이다.
天 : 하늘 천(大/1)
眞 : 참 진(目/5)
爛 : 빛날 난(火/17)
漫 : 흩어질 만(氵/11)
두보(杜甫)는 시 기이십이백(寄李十二白)에서, “거침없는 환담으로 구애됨이 없는 삶을 사랑했고, 술을 즐겨 천진함을 보였네.” 라고 이백을 평했다.
劇談憐野逸, 嗜酒見天眞.
李十二(이십이)라고 한 것은 형제 중 열두 째이기 때문이다. 회남자(淮南子) 남명훈(覽冥訓)에서 난만(爛漫)을 사물이 난잡(亂雜)하다는 뜻으로 썼다.
문장강화(文章講話)로 유명한 소설가 이태준은 “명필 동파는 천진난만시오사(天眞爛漫是吾師)라 했다”고 썼다. 소동파도 글씨를 쓰면서 천진난만이 내 스승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조선후기 문신으로, 학자인 성대중(成大中)의 청성잡기(靑城雜記)에 아주 재미있는 도둑의 이야기가 있는데, 천진난만(天眞爛漫(이 나온다.
도둑에게도 태평한 기상이 있다.
偸亦有太和氣象。
한 도둑이 부잣집에 들어가니, 돈과 재물이 가득 쌓여 있고 항아리의 술이 한창 익어 그 향기가 코끝에 진동하였다.
偸入富家, 錢貨堆屋, 而甕酒方濃, 薰香擁鼻。
도둑은 술꾼이었으므로 항상 좋은 술을 실컷 마셔 보고 싶었지만 가난하여 그럴 수가 없었는데, 마침 술항아리를 보고는 뛸 듯이 기뻐 항아리 채로 들고 마셔댔다. 잔뜩 취하자 술항아리를 짊어지고 돌아가겠다는 생각에 여러 번 들어 보았으나 꼼짝도 하지 않았다.
偸酒徒也, 常欲痛飮, 而貧未能也。
得酒大喜, 揭甕而飮, 醉則思負之而返, 屢擧而莫之動也。
마침내 그는 밖으로 나와 외쳐 댔다. “누가 이 술항아리를 지고 우리 집까지 가겠느냐? 옜다, 이 돈 20전을 품삯으로 주겠다.”
乃出呼曰, 孰能負酒甕, 至吾家乎. 雇錢卄文在此。
이 소리를 듣고 부잣집 사람들이 깜짝 놀라 ‘도둑이야’ 하고 소리치자, 취한 도둑은 그제야 자신이 도둑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富家驚起叫賊, 醉者始自知其偸也。
그리하여 황급히 마루 밑으로 기어 들어가 숨으니, 부잣집의 종들이 도둑을 나오게 하려고 작대기를 휘둘렀다.
匍匐匿軒下, 僮持杖撞之使出。
도둑은 마루 밑에서 돌아보고 웃으면서 말했다. “너희들, 작대기를 함부로 휘젓지 마라. 내 눈 다칠까 무섭다.” 부잣집 주인은 웃고서 도둑을 놓아주었다.
偸顧嘻曰, 若杖無輕, 恐傷吾眼. 富家笑而放之。
성대중 평이다. 시(詩)와 예(禮)를 배우고서 남을 해치는 자에 비하면 도리어 천진난만하다 하겠다.
較諸, 詩禮發冢者, 天眞爛漫。
(靑城雜記 卷之三 醒言)
조선 말기의 문신 박영효(朴泳孝)가 1882년(고종 19) 특명전권대신 겸 수신사(特命全權大臣兼修信使)로 일본에 다녀와서 쓴 사행일록(使行日錄)인 사화기략(使和記略)에도 나온다.
사화기략(使和記略)9월 23일
○ 오후 6시에 외무경의 관저에 가니 불놀이[火戲]를 크게 벌였는데. 기이하고 교묘함이 형용하기 어려웠다.
○ 午後六時, 往外務卿官宅, 大設火戱, 奇巧難狀。
여러 나라의 공사와 일본 조정의 진신(縉神)들이 모두 가족을 거느리고 와서 모였는데, 주인인 정상형이 그 부인과 영애(令愛)와 더불어 문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손님을 맞이 하였다. 옷차림은 모두 양장(洋裝)이었다.
諸國公使及日廷縉紳, 皆率眷來集, 主人井上馨與其夫人令愛, 候門迎客. 皆洋裝也。
조금 후에, 악대가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면서 연주하니, 각국의 국기를 정당(正堂)에 걸었다.
少頃, 樂隊奏鼓吹, 懸各國旗章於正堂。
여러 공사들이 아내와 딸의 손을 서로 바꾸어 이끌고는 빙빙 돌면서 발을 구르며 춤을 추는데 그 태도가 천진난만했으니 일황의 천장절을 축하하기 때문이었다.
諸公使替携妻女之手, 環廻蹈舞, 天眞爛漫, 所以賀日皇天長節也。
춤이 끝나자 음악도 그쳤다. 서서 음식을 먹는 모임을 베풀어 그 자리에 온 빈객 5백~6백 인이 탁자에 둘러서서 술을 취하도록 마시고 음식을 배부르도록 먹으니, 이는 서양(西洋)의 연회법(宴會法)을 모방한 것이었다.
舞罷樂撤. 設立食會, 來賓五六百人, 繞卓醉飽, 蓋仿泰西宴法也。
수행원(隨行員)도 모두 왔는데, 밤이 깊어서야 헤어졌다.
隨員亦齊至, 夜深而散。
■ 천진난만(天眞爛漫)
아무런 꾸밈이 없어 참됨이 넘치다.
하늘은 거짓이 없고 참 그대로(天眞)인 것으로 모두 믿는다. 억울한 마음을 알아주지 않을 때 하늘에 대고 맹세한다고 하니 그렇다. 참 진실이 꽃이 활짝 피듯이 화려하면(爛漫) 더 이상 거짓이 발 디딜 틈이 없다. 천진함이 넘치고 조금도 꾸밈이 없는 모습은 어린이에게서 찾는다.
方定煥(방정환)은 ‘어린이는 본 것, 느낀 것 그대로 노래하는 시인’이라고 예찬한다. 남을 속이고 하나라도 더 욕심을 내어 챙기려는 거짓이 판치는 세상에서 천진한 어린이를 보는 것만이라도 마음을 정화시켜 준다. 이처럼 듣기만 해도 미소가 머금어지는 이 성어에 달리 유래가 되는 이야기가 따르지 않아 좀 아쉽다.
고사가 없더라도 이 말을 사용하여 명문으로 남은 글은 몇 군데서 찾을 수 있다. 중국 唐(당)나라에서 詩聖(시성)으로 불렸던 杜甫(두보)는 재주에 비해 불운한 생을 보내는 詩仙(시선) 李白(이백)을 위로하는 시를 썼다. 형제 중 열두 째란 뜻의 ‘寄李十二白’(기이십이백)’이란 제목이다.
‘재미있게 이야기 나누며 초야의 삶을 그리워했고(劇談憐野逸), 술을 좋아하여 천성의 참됨을 볼 수 있었네(嗜酒見天眞).’ 우리나라 현대 소설가 이태준은 그의 ‘文章(문장)’이란 글에서 北宋(북송)의 문인 蘇軾(소식)이 ‘천진난만함은 나의 스승(天眞爛漫是吾師)’이라 말했다고 소개한다.
우리의 고전에는 천진한 도둑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한다. 正祖(정조) 때의 문신 成大中(성대중)이 지은 ‘靑城雜記(청성잡기)’에서다. 한 도둑이 부잣집에 들어갔다가 술이 잘 익은 항아리를 보고는 재물은 뒷전이고 마셔댔다. 취한 도둑이 항아리를 옮기려 했으나 무거워 꼼짝도 하지 않았다. 옮겨줄 사람을 소리쳐 부르다 들켜 마루 밑으로 기어 들어갔다.
도둑을 나오게 하려고 사람들이 막대기를 휘둘렀다. 도둑이 외쳤다. ‘너희들, 작대기를 함부로 휘젓지 마라. 내 눈 다칠까 무섭다(若杖無輕 恐傷吾眼/ 야장무경 공상오안).’ 이런 도둑을 보고 평한다. ‘시와 예를 배우고서 남을 해치는 자에 비하면 도리어 천진난만하다(較諸詩禮發冢者 天眞爛漫).’
詩(시)의 이백이 천진하고, 書(서)의 소식이 스승으로 여겼던 난만도 세사에 물들기 전의 꾸밈없는 어린이에게서 찾은 것이 아닐까. 키덜트(Kidult)라는 말이 유행어가 된지 제법 오래다. 어린이를 말하는 키드(Kid)와 어른 어덜트(Adult)의 합성어다. 유년시절에 갖고 놀던 장난감이나 만화, 의복 등에 향수를 느껴 다시 찾고 사 모으는 성인들이다.
각박한 세상에서 살기 힘들어진 요즘의 젊은 어른들이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어릴 적의 감정으로 되돌아가려는 현상이란다. 부정적으로 볼 것이 아니고 모든 일에 순수함을 지닐 수 있는 세상을 열어간다면 바람직하다.
▶️ 天(하늘 천)은 ❶회의문자로 사람이 서 있는 모양(大)과 그 위로 끝없이 펼쳐져 있는 하늘(一)의 뜻을 합(合)한 글자로 하늘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天자는 ‘하늘’이나 ‘하느님’, ‘천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天자는 大(큰 대)자와 一(한 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갑골문에 나온 天자를 보면 大자 위로 동그란 모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람의 머리 위에 하늘이 있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은 동그랗고 땅은 네모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天자는 사람의 머리 위에 동그라미를 그려 ‘하늘’을 뜻했었지만 소전에서는 단순히 획을 하나 그은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래서 天(천)은 (1)하늘 (2)범 인도(印度)에서 모든 신을 통들어 이르는 말. 천지 만물을 주재 하는 사람, 곧 조물주(造物主)나 상제(上帝) 등 (3)인간세계보다 훨씬 나은 과보(果報)를 받는 좋은 곳. 곧 욕계친(欲界責), 색계친(色界天), 무색계천(無色界天) 등 (4)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하늘 ②하느님 ③임금, 제왕(帝王), 천자(天子) ④자연(自然) ⑤천체(天體), 천체(天體)의 운행(運行) ⑥성질(性質), 타고난 천성(天性) ⑦운명(運命) ⑧의지(意志) ⑨아버지, 남편(男便) ⑩형벌(刑罰)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하늘 건(乾), 하늘 민(旻), 하늘 호(昊), 하늘 궁(穹),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흙 토(土), 땅 지(地), 땅 곤(坤), 흙덩이 양(壤)이다. 용례로는 타고난 수명을 천수(天壽), 하늘과 땅 또는 온 세상이나 대단히 많음을 천지(天地), 타고난 수명 또는 하늘의 명령을 천명(天命), 사람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천연(天然),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이 곧 황제나 하느님의 아들을 천자(天子), 우주에 존재하는 물체의 총칭을 천체(天體), 부자나 형제 사이의 마땅히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를 천륜(天倫), 타고난 성품을 천성(天性), 하늘 아래의 온 세상을 천하(天下), 천체에서 일어나는 온갖 현상을 천문(天文), 하늘과 땅을 천양(天壤), 선천적으로 타고난 뛰어난 재주를 천재(天才), 하늘에 나타난 조짐을 천기(天氣), 하늘이 정한 운수를 천운(天運), 자연 현상으로 일어나는 재난을 천재(天災),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를 천양지차(天壤之差),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자리가 없다는 천의무봉(天衣無縫), 세상에 뛰어난 미인이라는 천하일색(天下一色) 등에 쓰인다.
▶️ 眞(참 진)은 ❶회의문자로 真(진)의 본자(本字)이다. 사방팔방(八) 어느 곳에서 보더라도(目) 올바른 것으로 참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眞자는 ‘참’이나 ‘진실’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眞자는 目(눈 목)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눈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眞자는 본래 鼎(솥 정)자와 匕(비수 비)자가 결합한 글자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鼎자는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던 큰 솥을 뜻하고 匕자는 ‘수저’를 표현한 것이다. 신에게 바치는 음식은 참되면서도 정성이 담겨야 할 것이다. 그래서 眞자는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음식을 바친다는 의미에서 ‘참되다’나 ‘진실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眞(진)은 (1)참 거짓이나 허식이 아님 (2)진실(眞實)의 도리(道理). 진리(眞理) (3)일시적이 아님 변하지 아니함. 상주 불변(常住不變) (4)섞임이 없음. 순수(純粹)함 (5)자연(自然). 천연(天然) (6)해서(楷書). 진서(眞書) (7)일부 명사(名詞) 앞에 쓰이어 참된 거짓이 아닌의 뜻을 나타내는 말 (8)중국의 국호(國號)로 춘추시대(春秋時代)의 12열국(列國)의 하나 (9)삼국(三國)의 위(魏)를 이러서 그 권신(權臣) 사마염(司馬炎)이 세운 왕조(王朝) (10)후진(後晉) (11)진괘(晉卦) (1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참 ②진리(眞理) ③진실(眞實) ④본성(本性) ⑤본질(本質) ⑥참으로 ⑦정말로 ⑧진실(眞實)하다 ⑨사실이다 ⑩참되다 ⑪명료(明瞭)하다 ⑫또렷하다 ⑬뚜렷하다 ⑭똑똑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참 심(諶),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거짓 가(仮), 거짓 가(假), 거짓 위(僞)이다. 용례로는 말이나 태도가 참답고 착실함을 진지(眞摯), 거짓이 아닌 사실을 진실(眞實), 진실하여 애틋한 마음을 진정(眞情), 잘 알려지지 않거나 잘못 알려지거나 감추어진 사물의 참된 내용이나 사실을 진상(眞相), 정말과 거짓말 또는 진짜와 가짜를 진위(眞僞), 참된 마음을 진심(眞心), 참된 도리를 진리(眞理), 거짓이 없이 참으로를 진정(眞正), 진짜 물건을 진품(眞品), 진실하고 솔직함으로 참되어 꾸밈이 없음을 진솔(眞率), 실지 그대로의 경계를 진경(眞境), 인위적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성질을 진성(眞性), 진실하여 잘못이 없음을 진제(眞諦), 진짜와 가짜 또는 참과 거짓을 진가(眞假), 참된 값어치를 진가(眞價), 참뜻으로 참된 의사나 진실한 의의를 진의(眞意), 주로 얼굴을 그린 화상 또는 사진을 진영(眞影), 진정에서 우러나온 거짓이 없는 참된 이야기를 진담(眞談), 실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그려 냄을 사진(寫眞), 마음이 꾸밈이 없고 참됨을 순진(純眞), 임금의 화상이나 사진을 어진(御眞), 공리를 관찰하는 지혜로써 진제의 이치를 꿰뚫어 보는 일을 견진(見眞), 사물의 진상을 알게 됨을 득진(得眞), 가짜가 진짜를 어지럽히고 거짓이 진실을 뒤흔든다는 이가난진(以假亂眞), 천진함이 넘친다는 뜻으로 조금도 꾸밈없이 아주 순진하고 참됨을 천진난만(天眞爛漫),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지경임을 여진여몽(如眞如夢), 마음과 몸이 아주 깨끗하여 조금도 더러운 때가 없음을 순진무구(純眞無垢), 농담이나 실없이 한일이 나중에 진실로 한 것처럼 됨을 가롱성진(假弄成眞) 등에 쓰인다.
▶ 爛(빛날 란/난, 문드러질 란/난)은 형성문자로 烂(난)은 간자(簡字), 燗(난), 爤(난)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불 화(火=灬; 불꽃)部와 음(音)을 나타내며 동시(同時)에 쭈굴쭈굴 해지다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闌(란)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爛(란/난)은 ①빛나다, 밝다 ②화미(華美)하다, 화려(華麗)하다 ③곱다 ④무르익다, (꽃이)흐드러지다 ⑤문드러지다, 문드러지게 하다 ⑥(불에)데다 ⑦너무 익다, 지나치게 익히다 ⑧다치어 헐다 ⑨부스러지다 ⑩마음을 아파하다 ⑪흩어지다 ⑫썩다 ⑬많은 모양 ⑭화려하고 산뜻한 모양 ⑮흩어지는 모양,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빛날 경(炅), 빛날 정(炡), 빛날 형(炯), 빛날 영(煐), 빛날 욱(煜), 빛날 환(煥), 빛날 황(煌), 빛날 휘(煇), 빛날 엽(燁), 빛날 찬(燦), 빛날 요(燿), 빛날 희(熙), 빛날 희(熹)이다. 용례로는 꽃이 만발하여 한창 볼 만하게 탐스러움을 난만(爛漫), 충분히 잘 의논함을 난상(爛商), 눈부시게 아름다운 모양을 난연(爛然), 꽃이 한창 만발함을 난개(爛開), 꽃이 한창 무르녹게 핌 또는 명백히 나타냄이나 한창 나타냄을 난발(爛發), 무르녹게 잘 익음 또는 더할 수 없이 충분히 발전 되었거나 성숙됨을 난숙(爛熟), 충분히 익힘을 난습(爛習), 돈이나 물건을 대중 없이 함부로 씀을 난용(爛用), 음식물을 충분히 찜을 난증(爛蒸), 화상으로 인하여 죽음을 난사(爛死), 음식물을 충분히 잘 씹음을 난작(爛嚼), 빛이 눈부시게 아름다움을 찬란(燦爛), 눈이 부시도록 찬란함을 현란(絢爛), 익숙하고 솜씨 있음을 능란(能爛), 썩거나 헐어서 문드러짐을 미란(糜爛), 썩어 문드러짐을 부란(腐爛), 불에 타서 문드러짐을 소란(燒爛), 불에 데어 부풀어 오름을 초란(焦爛), 낱낱이 들어 잘 토의함을 이르는 말을 난상토론(爛商討論), 여러 사람들이 자세하게 충분히 의논함을 이르는 말을 난상공론(爛商公論), 옳지 않은 일에 부화뇌동함을 이르는 말을 난만동귀(爛漫同歸), 자세하게 충분히 의논함을 이르는 말을 난상숙의(爛商熟議), 온갖 꽃이 피어 흐드러짐을 이르는 말을 백화난만(百花爛漫),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울 때에 그 사이에 있는 약자가 해를 입음을 이르는 말을 하란경전(蝦爛鯨戰), 물고기가 썩어 문드러지고 강의 둑이 터진다는 뜻으로 사세가 매우 위태로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어란하결(魚爛河決), 일 따위에 익숙하고 솜씨가 좋다는 말을 능수능란(能手能爛), 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인다는 말을 휘황찬란(輝煌燦爛), 뱃속이 짓무른다는 뜻으로 내부에서의 붕괴를 이르는 말을 복심내란(腹心內爛), 천진함이 넘친다는 뜻으로 조금도 꾸밈없이 아주 순진하고 참됨을 이르는 말을 천진난만(天眞爛漫) 등에 쓰인다.
▶ 漫(흩어질 만)은 ❶형성문자로 澷(만)과 澫(만)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널리 퍼진다는 뜻을 가진 曼(만)으로 이루어졌다. 물이 끝없이 퍼진다는 뜻이 전(轉)하여 함부로란 뜻이 있다. ❷회의문자로 漫자는 ‘질펀하다’나 ‘가득 차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漫자는 水(물 수)자와 曼(끌 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曼자는 모자를 쓴 사람의 눈을 잡아끄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끌다’라는 뜻이 있다. 漫자는 이렇게 ‘끌다’라는 뜻을 가진 曼자에 水자를 더한 것으로 진흙이 뒤섞인 물이 자꾸 잡아끈다는 의미에서 ‘질퍽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물이 질퍽한 상태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연상케 하므로 주로 안 좋은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漫(만)은 ①흩어지다 ②질펀하다(질거나 젖어 있다) ③방종(放縱)하다 ④가득 차다 ⑤넓다 ⑥넘치다 ⑦더럽(히)다 ⑧멀다 ⑨함부로 ⑩성(姓)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물결 랑(浪), 흩어질 환(渙), 놓을 방(放), 흩을 산(散), 느릴 완(緩), 풀 해(解), 풀 석(釋)이다. 용례로는 어떤 목적이 없이 되는대로 하는 태도가 있음을 만연(漫然), 일정한 주의나 체계가 없이 생각나는 대로 비평함 또는 그 비평을 만평(漫評), 사물의 특징을 과장하여 간단하고 익살스럽게 그리어 인생이나 사회를 풍자하는 그림을 만화(漫畫), 술이 몹시 취함을 만취(漫醉), 함부로 하는 말을 만어(漫語), 붓이 돌아가는 대로 쓴 글을 만록(漫錄), 재미있고 익살스러운 말로써 인정을 비판이나 풍자하는 이야기를 만담(漫談), 글제가 없이 생각나는 대로 시나 시조 따위를 지어서 읊음을 만음(漫吟), 멀고도 지리함을 만만(漫漫), 별로 생각이 없이 아무렇게나 함부로 하는 대답을 만답(漫答), 생각나는 대로 아무렇게나 함부로 물음을 만문(漫問), 한가로이 거니는 걸음을 만보(漫步), 함부로 하는 말을 만언(漫言), 이곳저곳으로 두루 돌아다니며 놂을 만유(漫遊), 한가로이 거니는 걸음을 만행(漫行), 이렇다 할 느낌을 받지 않고 저절로 일어나는 흥취를 만흥(漫興), 엉터리 없고 제멋대로임을 방만(放漫), 어수선하여 걷잡을 수 없음을 산만(散漫), 의견을 주고 받음이 미흡한 데가 없이 충분함을 난만(爛漫), 탐탁하지 않고 등한함을 한만(汗漫), 한가하고 느긋함을 한만(閑漫), 옳지 않은 일에 부화뇌동함을 이르는 말을 난만동귀(爛漫同歸), 온갖 꽃이 활짝 피어 아름답게 흐드러짐을 백화난만(百花爛漫), 중요하지 않고 일이 많지 않아 한가로운 벼슬 자리를 한사만직(閑司漫職), 천진함이 넘친다는 뜻으로 조금도 꾸밈없이 아주 순진하고 참됨을 천진난만(天眞爛漫)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