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디자인과도 기구학을 배우나요? 음..기계과도 아니신데 대단한 열정이군요.^^ 학교 후배이신것 같은데... 아무튼 방갑네요.
음. 4절링크라.. 허접답변 시작하겠습니다.
4절링크가 많이 쓰이는 이유는 "1자유도"라는 특성때문에 쓰이는 것입니다. "1자유도"라함은 움직이는 물체의 경로가 1가지 경로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자유도의 갯수)=(일반좌표의 갯수)-(구속조건의 방정식갯수)... 이런 공식이 사용하게 됩니다. 우선 님의 궁금해 하시는 점은 기구학의 수학적 원리보다는 링크의 사용목적이 알고 싶어하시는 것 같은데요..
여기에 대해 좀 자세히 설명하자면, 5절링크, 6절링크를 생각해 보죠. 이 링크 중 한 bar위에 포인트 좀 하나의 찍어보고 이 포인트의 경로가 어떤 식으로 움직일지 상상해 보세요.. 5절, 6절, 7절 가면 갈수록 경로는 예측하기 어려워진답니다.("2자유도","3자유도",...늘어나기 때문이죠.)
반대로, 3절링크(이런 건 필요없겠지만)을 생각해보세요. 우습게로 고정되어서 삼각자의 모양으로 링크의 역할을 할수 없게 된답니다.("0자유도")
이와 같이, 4절링크("1자유도"을 만드는 링크)는 한쪽의 bar(막대기)의 운동이 다른 bar운동을 예측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그 bar위의 한 점의 운동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점의 운동모양을 원하는데로 만들어서 우리 생활에 이용하면 대단히 편하겠죠..그리고 참고로 링크의 상대적 길이에 따라 한쪽의 핀쪽은 부채꼴 모양으로 움직이는 반면에 한쪽의 원운동할 수도 있고 양쪽의 핀 다 원운동 혹은 부채꼴 모양의 운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양쪽 핀 다 원운동만 할 수 있는다는 고정관념을 깨세요!)
우리 실생활에서 응용되는 4절링크의 예라.. ^^' 그건 잘 모르겠지만, 우선, 놀이기구로 많이 타는 바이킹을 비유한다면 좋지 않을까요. 그 밖에 더 알고 싶으시다면 reference로 최신기구학 제3판 김재도외 공역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거기서 본 예인데, 훨체어 브레이크, 슬라이더-크랭크기구, 롤러브레이드 ABT브레이크 시스템, 잔디 물뿌리개 꼭지의 회전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링크 등등이 나와 있습니다.) 그 밖에 기구학에 관련된 서적을 도서관에서 찾아보세요. 그럼 자세히 나와 있을 것입니다. 음.. 아무튼 님이 급하셔서 그러시는 것 같아서 그냥 제 생각 주저리주저리 적어 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좋은 참고자료가 되길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