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궤양
각막은 안구의 제일 앞쪽에 위치하는 검은 동자로 투명하여 눈의 창문역할을 합니다.
이 각막에 염증이 생기면 각막염, 궤양이 생기면 각막궤양이라 합니다.
이 질환을 크게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에 의한 감염성 질환과 면역 계통의 이상에서 오는 질환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바이러스성 각막궤양단순포진 바이러스, 대상포진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됩니다.
처음 증상은 흔히 눈의 자극감, 눈부심, 눈물흘림 등이며 병변이 각막 중심에 있을 때에는 시력장애도 동반됩니다.
발병 초기부터 각막의 감각이 저하되므로 증상이 경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성 각막염은 발열,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는 경우, 외상, 정신적 스트레스, 월경, 면역 저하 등에 의해 자주 재발하므로 되도록 그러한 상황을 피하도록 합니다. 요즈음 우리나라에서는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제제 점안약의 남용으로 진균류 및 바이러스에 의한 각막궤양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치료로는 점안 마취 후 면봉 끝으로 문지르거나 큐렛으로 긁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바이러스가 있는 각막 상피의 병소를 물리적으로 제거합니다.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에는 3일간 압박안대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포진 바이러스성 각막 궤양은 1/3 가량이 2년 이내에 재발되므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감기로 인한 발열이나 몸의 피로가 없도록 항상 주의합니다. 태양광선이나 자외선에 너무 오래 노출되어서도 나쁘고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충격도 가급적 피하도록 합니다.
2. 세균성 각막궤양폐렴구균, 녹농균, 쌍간균 등이 주된 원인입니다. 장년 이후에 많으며 각막에 벼나 보리, 풀잎, 모래에 의한 사소한 외상이 원인이 되는데, 환자 자신은 외상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손상된 각막에 세균이 침범한지 24-48시간에 발병하여 각막에 궤양이 형성됩니다. 심한 통증과 시력 장애를 호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쌍간균의 경우는 알콜중독, 당뇨병, 기타 면역억제성 질환에 의해 신체가 많이 약해진 사람에게서 잘 발생합니다.
각 병원균에 따른 적절한 항생제를 점안 혹은 결막하 주사 및 전신투여를 합니다.
3. 진균성 각막궤양원래 농문들에게서만 발견되었으나 스테로이드 제제 점안약의 남용으로 도시인에서도 흔하게 나타납니다. 감염 경로는 먼저 이물, 손 및 각종 의복, 수건, 때로는 점안약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혹은 혈액을 따라 감염되기도 합니다. 각막의 병변이 궤양으로 진행되어도 통증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