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16-19
샘물을 얻는 갈렙의 딸 악사 / 박봉웅
시대에 따라 여인의 미에 대한 기준은 변하지만, 시대를 막론하고 지혜롭고 현숙한 여인은 변함없이 환영을 받습니다. 그래서 성경은 지혜롭고 현숙한 여인은 부모와 남편은 물론 그 가정 전체의 축복이라고 말합니다.(잠31:10-31절), 성경에는 많은 여인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기생 라합, 룻과 같이 우리가 잘 아는 유명한 여인들로서 지혜와 신앙으로 가정을 구원하거나 하나님의 구속 섭리에 큰 영향을 끼친 여인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 본문에 나타난 갈렙의 딸 악사도 매한가지로 지혜로우며 현숙한 여인이었습니다.
성경에서는 간략하게 소개되었고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악사는 아버지 갈렙의 신앙을 본받아 고상한 믿음과 소망을 가진 지혜로운 여인이었습니다. 갈렙의 딸 악사의 처신을 살펴보면서 그녀의 믿음과 지혜로움을 통해 은혜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1.악사는 아버지의 뜻에 전폭 순종하는 딸이었습니다. 1)순종하여 옷니엘과 결혼합니다. 가렙은 기럇 세벨을 쳐서 그곳을 취하는 자에게 자신의 딸인 악사를 주겠다고 약속했었습니다.(16절), 그래서 그나스의 아들이요 갈렙의 조카인 옷니엘은 기럇 세벨을 치고 정복함으로 갈렙의 딸 악사를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악사는 아버지 갈렙의 처사에 대해서 어떤 불평이나 이의도 제기하지 않았습니다.
당시에 전쟁에서 이기고온 자에게 딸을 주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었다 할지라도 결혼 당사자였던 악사는 이의를 제기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런 불만도 터뜨리지 않았으며, 아버지 갈렙의 말에 순종하여 옷니엘과 결혼했습니다.
이러한 악사의 모습은 마치 제단에 바치려는 아브라함의 뜻에 전폭 순종한 이삭의 모습같습니다.(창22:1-10절), 성도들은 악사처럼 부모의 말씀에 순종하는 사랑이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부모에게 자녀를 양육할 권한을 주셨습니다. 그러기에 자녀된 자들은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부모에게 순종해야 할 것입니다.
엡6:1-3절에 "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 계명이니 이는 네가 잘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고 했습니다. 2)메마른 땅 남방으로 가라는 말에 순종합니다. 악사에게 부당한 것처럼 보이는 갈렙의 처사는,비단 옷니엘과의 결혼 결정뿐만아 아니었습니다.
아버지 갈렙은 악사에게 남방 땅으로 가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남방"(19절)은 가나안 땅 남단에 있는 "네게브" 사막을 가리키는데 그곳은 매우 메마른 곳이었습니다. 특별히 농사 기술이 발달되지 않은 고대 세계에서 메마른 땅은 곧 어려움과 고통의 삶이 기다리는 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악사는 아무런 반발도 하지 않고 아버지의 말에 순종했습니다. 우리도 때로는 부모의 말씀이 부당하게 느낀다 할지라도 대적하거나 반발하지 말고 악사처럼 순종해야 합니다. 특히 우리의 유익을 위해 섭리하시는 영원하신 아버지 하나님의 뜻에 성도들은 순종해야 복있는 길로 갈 수 있습니다.
아버지 하나님께서 인도하는 곳으로, 가라는 곳으로 일단 갈 수 있는 믿음이 있어야 아브라함처럼 축복을 받습니다.
2.악사는 겸손한 자세로 복을 구한 여인이었습니다. 1)남편 옷니엘과 떠나기 전 악사는 겸손하게 아버지 갈렙에게 한 가지 소원을 청했습니다. 18절에 "악사가 출가할 때에 그에게 청하여 자기 아비에게 밭을 구하자 하고 나귀에서 내리매"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나귀에서 내리매"는 당시의 관습으로서 겸손함과 예의를 지키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악사는 아버지가 옷니엘과 결혼시키고 남방으로 가라고 한 것을 빌미로 삼지 아니하고 겸손하게 간청한 것입니다. 악사가 그러했던 것처럼 성도들에게 가장 요청되는 자세는 겸손입니다.
예수님께서도 본래 하나님과 동등된 분이시지만 겸손하게 아버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심으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성취하셨습니다. 히5:8-9절에 "그가 아들이시라도 받으신 고난으로, 순종함을 배워서 온전하게 되었은즉 자기를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라고 했습니다.
성도들도 아버지 하나님께 무엇을 구할지라도 겸손한 마음, 탐심 없는 마음으로 필요한 것을 구해야 하겠습니다. 자만과 욕심으로 구한다면 하나님께서 외면하실 것입니다. 약4:3절에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구함이니라."고 했습니다.
2)하나님의 축복을 원했습니다. 갈렙은 딸 악사가 나귀에서 내리자 "무엇을 구하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때 악사는 "복을 주소서"라고 구했습니다. "복"을 가리키는 히브리어 "베라카"는 "축복"이나 "선물"혹은 "호의"를 의미합니다. "베라카"는 하나님이 주체일 때 하나님의 호의나 축복을 의미하며, 사람이 주체일 대에는 선물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러기에 여기에서는 일차적으로 "선물"을 의미하며 악사가 출가하면서,필요한 것을 선물로 달라고 하는 요청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고대 사회에서 아버지가 자녀에게 축복을 하는 것은 곧 하나님의 축복과도 같은 것이었습니다.그래서 야곱은 손자인 므낫세와 에브라임에게 엇갈려 손을 얹고 축복하기도 했습니다.(창27:25-30, 48:1-20절),
그런 면에서 볼 때 악사가 복을 구한 것은 결혼 지참금이나 선물 뿐만 아니라 어려운 남방으로 가면서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축복을 먼저 구했던 것입니다. 성도들도 어려운 일을 만낫을 대 먼저 하나님의 신령한 복을 구하는 사람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3.악사는 샘물이 풍성한 지역을 얻게 되었습니다. 악사는 참으로 지혜로운 여인이었습니다. 메마른 땅의 생활에 꼭 필요한 샘물을 구하는 지헤를 발휘했습니다. 19절에 "아버지께서 나를 남방 땅으로 보내시오니 샘물도 내게 주소서 하매 갈렙이 윗샘과 아랫샘을 그에게 주었더라"고 했습니다.
악사가 매우 지혜로운 여인이었다는 것이 바로 이 말씀에서 나타납니다. 악사는 메마른 땅으로 가서 살라는 아버지의 결정에,순종하면서 지혜롭게 샘물을 달라고 하였습니다. 갈렙은 딸 악사의 지혜로운 처사에 "윗샘과 아랫샘"을 주었습니다. 여기서 "윗샘과 아랫샘"이라는 지명은 "고지대와 저지대에 있는 샘물을 뜻합니다.
곧 이것은 아무리 메마른 땅이라 할지라도 악사가 옷니엘과 함께 살게 될 지역이 물이 풍부하여서 살기에 적합한 지역이었음을 암시합니다. 가나안 땅에서 물이 풍부하다는 것은 삶의 조건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악사는 지혜롭게 처신함으로 아버지의 말씀에 거역하지도 불순종하지도 않았으며, 도리어 갑절의 축복을 누려 물이 풍부한 지역을 차지하게 된 것입니다. 성도들도 악사처럼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이나 닥친 일들에 대해서 슬퍼하거나 원망하기 전에 하나님께 그 환경을 이길 수 있는 지혜와 능력을 구해야 하겠습니다.
"악사"라는 이름의 뜻은 "발목걸이"입니다. 발목걸이는 이스라엘 여인들의 발장신구로서 은밀하게 드러나지 않는 장신구입니다. 그러나 여인의 가장 아름다운 신체를 빛내 주는 장신구입니다. 그 이름처럼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효성과 신앙의 아름다운 모범을 보인 여인입니다.
부모에게 철저히 순종한 악사는 좋은 땅을 받는 축복을 누렸습니다.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자에게 하늘의 신령한 복과 땅의 기름진 복을 받을 줄 믿습니다.
출처: 3927Bible 말씀연구소 글쓴이: 박봉웅